-
-
내가 너에게 절대로 말하지 않는 것들
셀레스트 응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셀레스트 응은 데뷔작, <내가 너에게 절대로 말하지 않는 것들>로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세계적인 문학상을 휩쓸며 큰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나 역시 이 책을 읽으며, 그럴 만 했다라는
생각을 했다.
1970년대 봄, 오하이오
주의 미들우드라는 작은 도시의 한 가정에서는 평소와 다른 아침이 시작되었다. 이야기는 “리디아는 죽었다. 하지만 그들은 아직 이 사실을 모른다”라는 강렬한 문구로 시작된다. 그리고 작가의 말을 리디아의 동생 한나가
마무리한다. “언니가, 오늘은 아주 늦어.” 사실 나는 이 책을 미스터리라고 생각했기에, 이 도입부가 참 마음에
들었다. 그 후에 이어지는 이야기는 나의 작은 기대를 저버렸다. 하지만
내가 바라던 재미보다 더 큰 울림을 주었던 소설이기도 하다.
리디아의 아버지 제임스 리는 미국인으로 태어났고 대학에서 미국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이방인 취급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중국계 미국이다. 그리고 리디아의 어머니 메릴린 리는 여성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집안에서
반대하는 결혼을 선택하고 꿈까지 접어야 했다. 시대적 배경을 생각해보면 두 사람의 성격은 정반대에 가깝다고
느껴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이 끝내 가질 수 없었던 것들을 리디아를 통해 이루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리고 리디아는 부모님의 바람에 “응 하고 싶어. 하고 싶어. 하고 싶어”라고
답하곤 했다. 하지만 그녀의 마음 속에는 가족에게조차 털어놓을 수 없는 말들이 쌓여가고 있었다. 아빠를 닮아 상점을 갔다 만난 사람에게도 인종차별적인 조롱을 받아야 했던 네스와 한나와는 달리 혼혈이지만 혼혈티가
나지 않는 리디아에게 두 사람이 쏟는 기대는 특별했다. 그리고 그만큼 네스와 한나에게는 집에서조차 마음
붙일 곳이 없어지게 되기도 했다. 리디아의 비밀을 조금씩 엿보고 있던 네스, 이 모든 일에 충실한 관찰자가 되는 한나의 마음 속에도 물론 밖으로 내어놓을 수 없는 말들이 쌓이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그런 것일 것이다. 그들은
가족이지만, ‘절대로 말하지 않는 것’이라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있었다. 그리고 리디아의 죽음은 그들 사이에 가로놓여져 있던 벽의 실체를 드러나게 만든다. 세상 그 누구의 기대보다 부모님의 기대가 무겁게 느끼며 살아온 나로서는, 리디아를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보게 되었다. 하지만 어느새 이들 가족의 이야기에 다 공감하고, 이들의 상처에 아파하고 있었다. 뭐처럼 참 좋은 소설을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