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혼자 스페인을 걷고 싶다 - 먹고 마시고 걷는 36일간의 자유
오노 미유키 지음, 이혜령 옮김 / 오브제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인생과 여행에서 짐을 꾸리는 방법은 같습니다. 쓸모 없는 물건을
점점 버리고 나서, 마지막의 마지막에 남은 것만이 그 사람 자신인 것입니다.”
세계의 3대 성지중 하나라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으로 향하는
800㎞의 순례길을 카미노 데 산티아고(Camino de Santiago)라고
부른다. <나는 혼자 스페인을 걷고 싶다>이 작가
오노 미유키는 삶의 무게에 지쳐가는 상황에서 예전에 만났던 인류학자 김양주 선생의 말을 떠올리고, 산티아고
순례길로 향하게 된다. 1장은 그녀의 발걸음을 따라가는 순례길에서의 시간과 함께한 사람들과의 이야기가
이어지고 2장에서는 순례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여행에
대한 너무나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 자체가 ‘정답 맞추기’가
되는 우를 범하지 않을 수 있게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도 잊지 않고 있다.
“Take your time”
산티아고 순례길 자체는 노랑색 화살표를 따라가기만 하는 심플한 방식을 따르고 있지만, 그녀는 어느새 도시의 시간을 따르려고 했었다. 그래서 그녀에게 이런
충고를 해주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 중에 리타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거기다 자신이
아닌 주위사람에게 좌우되는 도시의 시간은 산티아고 순례길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도시의 시간이라는 것, 어쩌면 나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시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안정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안정 속에서 자유를 잃어가는 거 같다는 생각도 동시에 들었다. 심지어 시간조차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Take your time”이라는 말이 기억에 오래 남았다.
“스페인에는 말이지, 이런 속담이 있단다. ‘판 콘 하몬 이 비노, 에레스 토도스Pan con jamon y vino, eres todos! (빵과 햄과 와인,
그걸로 충분하다!)’”
루카스가 들려준 이 말도 참 좋았다. 이 속담은 산티아고 순례길에도
딱 어울리는데, 순례를 하는데 가장 필요한 세 가지이고, 그녀가
순례길에서 만끽한 것이기도 했다. 단순한 방식의 순례길을 걷다 보면 어느새 욕망 자체도 심플해질 수
있다는 것에 자꾸 눈길이 간다. 쇼핑을 할 때를 제외하곤 걷는 걸 좋아하지 않는 나인데, 이상하게 산티아고 순례길을 걸은 사람들의 책에는 관심이 많다. 심플한
삶에 대한 책을 수없이 읽어도, 막상 나는 아주 작은 욕심조차 내려놓지 못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한다. 순례길의 끝자락에서 조안나에게 들은 말도 생각난다. 순례길을 걷다
보면 모두가 철학가가 되는 것일까? 아니면 닦아내고 닦아내다 보면, 철학가인
자신을 만나게 되는 것일까? 작가뿐 아니라 그녀가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가 하나하나 참 소중하게 느껴졌다.
“그래. 장미는 말이지 봄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게 하려고 겨울에 일부러
잎과 가지를 쳐낸단다. 험한 환경에 처해야 더욱 강하게 단련되거든. 하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아. 그렇게 자란 사람에겐 반드시 한계가 오지. 인간은
생명이니까. 물을 주고 시든 잎은 따주고 햇살 강한 날은 그늘을 만들고 추우면 옷을 입으면서, 그렇게 해서 처음으로 그 사람 자신의 꽃을 피우게 되는 거야."
"자신의 재능을 키울 수 있는 사람이란 자신에게 그런 기회를
줄 수 있는 사람이란다. 미유키, 자신을 겨울 장미가 아닌
한여름의 해바라기처럼 대해주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