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즐겁게 살자, 고민하지 말고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사람은
언젠가는 죽는다, 그러나 그 때를 모르니 전전긍긍하지 말고 마음껏 즐겁게 살자.”라는 가훈을 가진 이누야마 집안의 세 자매의 삶과 연애 그리고 결혼을 다룬
<즐겁게 살자, 고민하지 말고>를
읽으며 생각했던 말이 있다. 바로 어떤 사회에서 유난히 강조하는 가치가 있었다면, 실제로는 그 가치가 부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첫째인 아사코, 그녀는 남편이 휘두르는 가정폭력이라는 굴레에 갇혀
버렸다.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라는 시가 떠오를 지경이라고
할까?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부부관계를 홀로 부여잡고 있는 그녀는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유리에를
구해주면서, 비로서 자신의 현실을 제대로 바라보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존재가치를 남편에 두고 있는 그녀가 다시 돌아갔을 때, 내 뒷목은 절로 뻣뻣해졌다.
둘째인 하루코, 성공한 커리어 우먼인 그녀는 돈은 없지만 더없이 착한
스포츠라이터 구마키와 동거 중이다. 구마키의 청혼을 거절하는 그녀는 아버지의 외도로 사랑에 대한 믿음이
사라진 상태였다. 순간의 사랑은 믿지만, 그 사랑의 지속성을
믿을 수 없는 그녀에게 결혼은 두려움 그 자체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참 공감이 가는 캐릭터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녀가 한눈을 팔면서 떠나갔던 구마키가 다시 돌아왔을 때 했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학창시절 왜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고 말하지 않냐고 화를 내던 선생님께 내가 했던 답과도 정말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생각은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거 같기도 하다.
셋째인 이쿠코, 자신을 ‘서부영화에
나오는 창부 같다고’ 평가하는 얼핏 봤을 때는 정말 쿨해보이는 여성인 줄로만 알았지만, 그녀는 원나잇으로 흘려 보내고 있는 인연들 속에서 쉼없이 상처받고 있었다. 마치
속이 텅 빈 솜사탕 같지만, 일기를 쓰며 자신을 돌아보고 있어서 더욱 안타까웠다. 자신이 진정으로 꿈꾸는 사랑을 만들어갈 자신이 없어서인지, 다른
사람의 것을 탐내는 모습에 어느 순간부터는 아사코보다 더욱 걱정스러운 눈으로 바라보게 되는 인물이기도 했다.
사실 처음에 책을 읽을 때는 마치 도덕군자라도 되는 양, 세 자매에
대해 입바른 소리를 곧잘 하곤 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도리어 그런 내가 가식적으로 느껴졌다고 할까? 나 역시 인생을 살면서 쉼 없이 실수를 했고, 그런 나를 보며 친구들이
뒷목을 잡은 적도 많다. 심지어 실패 속에서 배우기는커녕 도피하기 급급했던 적도 있다. 그렇게 내 삶과 연애 그리고 결혼을 돌아보며 이 책을 읽다 보니, 이누야마
자매들의 가훈이 다시 보였다. 어쩌면 나처럼 그녀들 역시 자신만의 방법대로 ‘즐겁게 살자, 고민하지 말고’라는
가훈을 지켜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적어도 즐겁게 살아가는 것에만은 정답이 없을 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