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비 파스타 간단해서 더 맛있는 쾌속 요리
에밀리에 페랭 지음, 김혜영 옮김, 나카가와 히데코 감수 / 로그인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남편이 맛있는 파스타를 종종 만들어줘서~ 저도 해주고 싶었는데, 이렇게 심플하고 또 맛있는 파스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다니 너무 궁금하네요. 저도 `나만의 시그니처 메뉴`를 하나 만들수 있을거 같은 자신감이 생겨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노래 듣다가 네 생각이 나서
천효진 지음 / 베프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디오를 즐겨 듣는 편은 아니지만, 라디오에서 사연을 소개한 후, 마치 그 사람을 소중하게 여기는 친구가 들려주고 싶을 법한 노래를 틀어주는 것을 보며 놀라워 한 적이 몇 번 있다. 그래서 tbs 교통방송의 라디오 PD인 천효진의 <이 노래 듣다가 네 생각이 나서>를 읽으며 내가 영 헛 짚은 것만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세대를 초월한 수많은 노래를 소개하고, 아름다운 가사와 거기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풀어내니 말이다. 거기다 노랫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QR코드를 통해 직접 감상할 수 있게도 해주고, 마음에 와 닿는 가사를 직접 써볼 수 있는 공간까지 있어서, 정말 팔방미인과도 같은 책이다.

아빠가 기타로 연주를 하며 많이 불러주셨던 해바라기의 <그대 내게 행복을 주는 사람>은 따로 영상을 보지 않아도 머릿속에서 아빠의 목소리와 나를 둘러싸고 있던 따듯한 감정들이 저절로 떠오른다. 책에서도 나의 사랑이 부디 이기적이지 않고, 그들을 기쁘게 했으면이라고 했는데, 이 노래만큼 그 마음이 잘 어울리는 노래도 없을 듯 하다. 정말이지 노래는 현재 진행형의 추억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부모님과 함께 갔던 조용필의 콘서트에서 들은 <바람의 노래>도 그러하다.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별다른 말 없이 노래만 들려주고, 아직 조용필의 노래를 많이 알지 못하던 때라 아주 조금은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했었다. 하지만 나의 작은 지혜로는 알 수가 없네, 내가 아는 건 살아가는 방법뿐이야라던 가사는 웬일인지 내 마음 속에 깊이 파고들었다. 그리고 힘든 일이 있을 때면, 귓가에 울리는 듯 했던 걸 보면, 내 인생의 노래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 하다.

책을 읽으며 알게 된 좋은 노래도 많다. 스트릿건즈의 <꽃이 져서야 봄인 줄 알았네>는 가사만 보고는 산울림의 <청춘>과 비슷한 노래가 아닐까 했는데, 막상 찾아보니 내 예상과는 전혀 다른 노래였다. 그리고 그 느낌 그대로 매력적이라 앞으로도 즐겨 듣게 될 거 같다. 또한 가사가 너무나 아름다운 박정현의 <Song for me>도 있다. “힘든 기억도 추억이 돼. 편하기만 한 여행은 없잖아. 언제까지나 미룰 순 없어. 작은 기적은 내가 시작해야 해.” 라는 가사는 정말 나에게도 들려주고 싶은 그런 노래이기도 하다. 이 노래와 함께한 글처럼 "오늘을 소비하는 것이 행복인가? 내일의 행복을 기대하며 오늘은 축적하는 것이 행복인가?"라는 고민을 안 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래서 더욱 이 노래가 내 마음을 보살펴주는 듯 한 느낌을 받았다. 좋은 노래와 좋은 글을 함께할 수 있어서 참 행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강 : 회복하는 인간 Convalescence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 24
한강 지음, 전승희 옮김, K. E. 더핀 감수 / 도서출판 아시아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출판 아시아에서 나오는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에서는 한국문학작품을 한글과 영어로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다. 이번에 작가 한강이 맨 부커상(Man Booker Prize)에서 영연방 외 작가와 번역가에게 공동으로 수여하는 인터내셔널 상에 선정되면서 화제가 되었다. 우리의 문학작품을 외국에 소개함에 있어 번역가의 역량 역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상황에서, 이 시리지를 만나게 된 것도 의미있게 느껴진다. 시리즈의 24번째로 출판된 것은 한강의 <회복하는 인간: Convalescence>이다. 한강의 단편소설을 하버드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연구원인 전승희가 번역하였는데, 일단은 원서를 먼저 읽고 이어서 번역본을 읽어보니 더욱 흥미롭게 느껴졌다. 마치 딱 맞는 보석을 고르듯 영어 표현을 골라 정제한 듯한 느낌도 든다고 할까? 때로는 나라면 이런 표현을 사용했을 거 같다는 생각에, 나름 왜 이런 표현을 사용했을까 하며 다시 한번 원문을 읽으며 가늠을 해보기도 했었다.

괜찮아. 진짜 금방 낫는대. 시간만 지나면 낫는대. 누구나 다 낫는대.

It's ok. They say this will get better soon. It's only a matter of time. Everyone get better.

어른들은 시간이 약이라는 말을 자주 들려주신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를 들으며 성장한 나 역시 결국 시간이 약이었음을 살면서 깨닫게 되기도 한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곤 하지만, 단순히 흐르는 시간에 나를 맡겨둘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어찌되었든 나름의 바닥을 쳐야 된다고 할까? 마치 이 소설에 등장하는 당신처럼 말이다. 접질린 발목을 치료하려다 큰 화상을 입게 된 당신이 들려주는 이야기 역시 그러했다. 어느새 발목의 상처가 아닌 마음의 상처에 대해서 이야기하게 되는 당신’, 그리고 마음을 최대한 차갑게, 더 단단하게 얼리기 위해 애썼다라는 말로 설명하고 싶어지는 당신의 이야기는 어느 순간 의 이야기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막상 그 상황에 서면 더없이 느리게 느껴지겠지만, 도대체 이 끝이 무엇인가 하는 생각에 좌절할지도 모르지만, 혹시 다른 방법이 없을지 궁리하게 되겠지만 결국 시간이 답이다. 인간에게 회복이란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팩트체크 : 정치.사회 편 - 세상을 바로 읽는 진실의 힘 팩트체크 2
JTBC 뉴스룸 팩트체크 제작팀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거기간 정치인들이 쏟아내는 발언에 거짓말 정도를 검증하는 책임 저널리즘으로 시작된 팩트체크가 한국으로 와서 다양한 사회적 이슈로 확장되며 꽃피우게 되었다. 1권을 읽고 나서 귀이개, 사이다, 효자손, 그리고 팩트체크라는 제목으로 독후감을 썼을 정도로 정말 좋아했던 책인데, 이번에 정치사회 편을 집중적으로 다룬 팩트체크, 두 번째 이야기가 나와서 너무나 반가웠다. '한 발 늦은 뉴스'일 수 밖에 없지만 누구보다 '한 걸음 더 들어갈 수 있는 뉴스'인 팩트체크는 JTBC 뉴스룸에서 방송되고 있기도 하지만, 이렇게 책으로 다시 정리하여 우리 곁으로 찾아오길 바라게 된다.

인사청문회 때 던져지는 질문인 "5.16은 쿠데타인가, 혁명인가?"에 대한 답을 유형별로 정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이 놀랍기도 했다. 5.16은 역사적 평가가 엇갈리는 사안도 아니고, 역사교과서나 법원판결 그리고 역대 정부의 입장이나 해외 언론의 시각까지 종합하여 봐도 그러하기 때문이다. 왜 이런 답변이 나오는지에 대한 분석도 흥미로웠지만, 이런 질문을 하고 그 답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탐탁지 않았다. 또한 낙인효과에 대한 용어를 바꿔야 한다는 요지의 이슈에서 사용된 장애인 픽토그램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어준 것도 인상적이었다. 기존의 수동적인 모습이 아닌 능동적인 모습으로 장애인 픽토그램을 교체하는 운동이 진행 중이고, 이 역시 낙인효과에 하나일 수 있기에 스스로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정치인들의 말을 검증하는 과정도 매우 흥미로웠다. 강력한 공권력을 인정하지만, 공권력이 남용되지 않기 위해 모니터링을 쉬지 않는 미국의 노력을 무시한 채, 그저 공권력이 행사하는 강력한 폭력을 인정하는 것이 선진국이라는 식의 발언이 있었다. 노조문제가 경제성장의 장애물이 되었다던지, 외국인 근로자의 후생복리가 지나치게 좋아지는 것이 아니냐는 발언과 비슷한 맥락이었다. 공인의 위치를 자각하지 못한 채, 검증되지 않은 말로 사회문제를 왜곡하고 있는 정치인들의 말이 일방적으로 수용되고 재 인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좋은 장치가 바로 팩트체크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건은 좋아하지만 홀가분하게 살고 싶다 - 적게 소유하고 가볍게 사는 법
혼다 사오리 지음, 박재현 옮김 / 심플라이프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설레지 않는 물건은 버려라라는 이야기를 보고, ‘바로 이거야라는 생각에 바로 드레스룸으로 향했다. 그런데 어쩜 그렇게 하나하나 다 설레던지, 물건에 대한 욕심이 심플라이프를 살아가고 싶은 내 이성을 늘 이겨내는 거 같다. 그래서 <물건은 좋아하지만 홀가분하게 살고 싶다>라는 책 제목을 보자마자 마치 내 마음을 그대로 읽어낸 거 같아 너무나 끌렸다.

정리수납 컨설턴트로 활동중인 혼다 사오리, ‘홀가분하게를 캐치플레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녀를 물건에 욕심이 없는 사람으로 오해하곤 한다. 하지만 그녀는 솔직하게 자신은 물건 욕심이 굉장히 많은 사람이라고 고백하며, 그럼에도 작게 소유하고 가볍게 사는 법으로 어떻게 나아가고 있는지를 이 책을 통해서 잘 보여준다.

나는 늘 수납공간이 좁다 싶으면,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러다 보니 특별히 필요 없는 것들이 나와 계속 함께 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켜켜이 쌓여 있는 과거를 짊어지면서 다니면, 결국 아무리 넓은 집도 나에게 부족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의미 있는 것만 남겨진집을 만드는 방법을 유심히 읽기도 했다. 그 중에 일단 내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은 후회하지 않게 물건을 처분하는 것이다. 변덕이 심한 성격 탓에 물건을 버리려고 해도, 너무 멀쩡해서 망설이게 된다. 그래서 누군가 사용해도 좋은 물건을 따로 바구니에 담아두고, 집에 놀러 온 사람들과 나누는 방법이 마음에 쏙 들었다.

또한 자신의 소비량을 파악해서 화장품을 구입하라는 조언도 인상적이었다. 비슷한 제품을 여러 개 사는 습관도 고칠 수 있고, 무엇보다 많이 사서 결국 유통기한이 지나버리는 딜레마에서도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람은 변화하고 그래서 기호나 취향도 변화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물건을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바로 심플 라이프로 변할 수는 없다. 그녀와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나아가는 길이기에, 이 책을 곁에 두고 도움을 많이 받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