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아니스트의 뇌 - 뇌과학으로 풀어낸 음악과 인체의 신비
후루야 신이치 지음, 홍주영 옮김 / 끌레마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프로게이머의 뇌를 관찰하여 어떻게 뇌의 발달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 것을 보고 놀라워했던 적이 있다. 심지어 그들이 어떤 게임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발달되는 부분이 다르기도 했었다. 그래서 이번에 뇌과학을 통해 피아니스트의 뇌와 몸을 연구한 <피아니스트의
뇌>에 대한 기대가 정말 컸다. 아무래도 타고난 재능에
더해 어린 시절부터 집중적인 훈련을 하게 되는 음악가이기에 그러했다. 거기다 일본 아마존 장기 베스트셀러라더니
쉽게 풀어서 쓴 첨단 뇌과학의 연구가 정말 흥미진진했다. 책을 읽고 나니 인간이 갖고 있는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기도 했다.
클래식 공연을 보러 가서 아름다운 음악을 듣고 오면 연주자들의 뛰어난 재능에 감탄하게 된다. 특히나 무아지경에 빠져 피아노를 연주하는 피아니스트는 늘 나의 눈을 사로잡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내가 감상했던 수많은 공연이 연주자들의
끊임없는 연습이 더해져서 만들어졌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오랜 시간 동안 해온 피아노 연습이 그들의
뇌와 몸을 변화시키고 단련시켰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었다. 현란하게 움직이는 그들의 손가락이 가진 근력이
음악가가 아닌 사람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에 당황하기도 했고, 그 근원에는 바로 뇌가 있었다. 또한 음악가들은 눈으로 얻은 정보를 음으로 변환시키는 능력을 갖게 되는데, 피아니스트는
음소거를 한 연주장면을 보면 소리를 듣기 위한 신경세포가 활동한다고 한다. 즉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그 음을 머릿속으로 그리는 것인데, 트럼펫 연주자의 경우에는 입술의 피부감각을 소리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비슷하게 훈련을 통해 변화된 음악가들의 뇌는 자신의 악기소리를 더욱 잘 듣게 하기
때문에, 협주가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피아니스트의 연주는 우리가 말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말을 할 때, 주변환경이 시끄러워지면 자연스럽게 목소리를 크게 내곤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피아니스트들은 자신이 실수할 것을 예지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건반을 약하게 치게 된다니 놀랍지 않은가? 또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자신이 연주해야 할 음악을 하나의 맥락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긴 연주도 할 수 있는 것이었다. 늘 나와는 다른 세상의 사람이라고만 생각했던 연주자 특히 피아니스트들의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고, 천부적인 재능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니 더욱 그들의 연주가 감동스럽게 느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