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원국의 글쓰기 - 남과 다른 글은 어떻게 쓰는가
강원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대통령의 글쓰기’, ‘회장님의
글쓰기’에 이어 나온 <강원국의 글쓰기>로 ‘글쓰기 3부작’이 완성되었습니다. 저자인 강원국은 김대중, 노무현 정권 때, 청와대 연설비서관으로 활동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요. 팟캐스트와 방송에 나온 것을 보고 너무나 재미있어서 읽게 되었던 ‘대통령의 글쓰기’는 두 전 대통령의 일상까지 함께할 수 있어서 참
좋았어요. 그리고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로 방점을 찍는 이 책을 읽게 되었네요. 글쓰기에 워낙 관심이 많아서 강원국과 백승권이 함께하는 ‘글쓰기
바이블’이라는 팟캐스트를 듣기도 하지만, 이렇게 책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이 더욱 좋기는 하네요.
글을 읽으며 제일 부러운 것은, 그가 이야기를 말로 풀어낼 때의 그
유쾌함이 그대로 글에 스며들어 있다는 것이죠. 저는 말로 할 때와, 글로
쓸 때의 분위기가 정말 많이 달라지는 거 같거든요. 마치 머리와 손가락 사이에 거리가 아예 차원이 달라지는
것처럼 말이죠. 사람의 일상은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이고, 이 것을 통해 자신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고 하는데, 저는 왜 이렇게 다 각자 놀고 있는 거 같은지요. 그래도 가끔씩은
말을 참 재미있게 한다는 소리를 듣곤 하는데, 글을 쓸 때는 전혀 아니거든요. 그러다 책 속에서 제 나름대로 답을 찾기도 했는데, 생각에서 시작하여
독자로 끝나야 하는 것이 글쓰기인데, 저에게는 독자가 잘 인식되지 않는 거 같아요. 그래서 늘 그렇듯이 일기를 쓰듯이 독후감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하면, 그런 글쓰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생각하던 중, 마치 절 위해 준비해놓은 듯한 길이 책 속에서 보이더군요. 바로
‘글동무’입니다. 함께
모여서 글을 쓰고, 고치고, 서로의 글을 통해서 배우고, 학습하는 과정이 필요한데요. 저는 독후감을 쓰기 전에 다른 사람의
글을 보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글을 쓴 이후에 다른 사람들의 글을 살펴보곤 해요. 잘 못해서, 내 생각이 아니라 그 사람의 생각을 그대로 담아낼까
봐 그런 것인데요. 그런데 다른 분의 글을 읽다보면, 이런
식의 접근도 가능하구나, 혹은 나와 전혀 다른 생각을 하는구나, 라며
혼자 또 다시 생각을 정리해보게 되거든요. 물론 오프라인에서 만나서 모임을 하는 것이 좋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서 제 글에 담아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저자의 가장 좋은 글동무 아내처럼 가족과 함께하는 것도 좋겠지요.
글은 결국 단어의 나열이라고 하죠. 단어가 무여서 문장이, 문장이 무여서 문단이, 문단이 모여서 글이 되기 때문에, 단어를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도 글을 쓰다 보면 제 머릿속에
있는 그 감각과 개념에 딱 맞는 단어를 기억해내지 못해서 답답해할 때가 많은데요. 이럴 때를 위해서
글과 노는 법, 즉 단어를 풍성하게 연결시켜두는 법을 배울 수 있는 점도 좋았네요. 유익한 글도 많지만, 일단 읽다 보면 정말 유쾌한 이야기들 많아서, 곁에 두고 참고하며 학습하고 싶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