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을 빚어낸 여섯 도읍지 이야기
이유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4월
평점 :
유구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중국이기에, 저 역시 파편적인 역사를
알고 있을 뿐인데요. 이번에 시안, 뤄양, 카이펑, 항저우, 난징, 베이징이라는 중국의 도읍지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중국을
빚어낸 여섯 도읍지 이야기>를 읽으니 제가 갖고 있는 짤막한 지식들이 조금씩 연결되는 느낌이 들더군요. 예를 들면 삼국지 연의에서 동탁이 낙양을 불태우고 장안으로 천도한 이야기가 나오잖아요. 여기에서 나오는 낙양이 바로 뤄양이고 장안은 시안인데, 동탁이 그러한
선택을 한 이유가 책을 읽다 보면 어렴풋이 보이더라고요. 이 책에서도 약 200여페이지, 3분의 1이
넘어가는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곳이 바로 시안인데요. 중국의 가장 많은 왕조가 도읍으로 둔 곳이기도
하여 세계 4대 고도로 손꼽히는 곳이죠. 또한 “서양엔 로마, 동양엔 장안”이라는
말처럼 중국 역사의 황금기를 이끌고 또 시진핑의 ‘중국의 꿈’의
중심지 역시 시안입니다. 저에게 시안은 두보의 ‘춘망’덕분에 조금은 쇠락한 이미지가 강했기에 더욱 흥미롭게 읽은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시안에서 자부심을 찾고 뤄양에서 기도하며, 카이펑에서 기개를 얻고 항저우에서 낭만을 맛본다. 난징에서 와신상담하며, 베이징에서 미래를 본다.”
아무래도 이 말을 의식하면서 읽어서일까요? 성인의 무덤이라는 호칭인
‘림’을 받은 두 명의 인물, 공자와 관우의 무덤인 공림과 관림이 있는 곳이 뤄양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지네요.
거기에 중국 3대 석굴로 손꼽히고 불교 예술의 그기를 보여주는 용문석굴이 자리잡은 곳이기도
하니까요. 카이펑은 인공운하인 변하를 통해 황하와 회하와 이어지는 요지에 자리잡은 곳입니다. 황하하면 문명의 발상지이기도 하고, 물을 다스리는 것이 모든 것을
다스리는 것이라는 것이 한자에 그대로 나올 정도로 상당한 의미가 있는 곳이죠. 카이펑 지층에 켜켜이
자리잡은 유적지속에서 그 곳에서 전설 속 왕조가 아닌가 했던 하나라의 역사가 드러나고 있다니, 어쩌면
하나라의 시조라 하는 우왕의 전설이 역사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호기심이 생기기도 하더군요. 항저우에서는
낭만을 맛본다고 했죠. 아무래도 동파거사라 불린 소식의 존재감 덕분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또한 차 애호가 건륭제가 항저우의 용정차를 어차에 봉할 정도로 즐겼다고 하는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생각해보면 건륭제를 등장시켰던 중국 드라마 ‘황제의 딸’에서도 차를 즐기는 황제의 모습이 자주 등장하죠. 또한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하며 수도로 정한 난징, 하지만 슬픈 역사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난징에 이어,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베이징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지면서 다시 시안으로 옮겨가는 느낌이랄까요? 결국 베이징의 미래와 시안의 자부심은 접점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역사에 대한 이야기가 정말 많고, 역사를 현재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것, 또 역사를 그 시대의 관점에서 제대로 이해하는 과정이 많아서 흥미로운 시각이 정말 많았던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