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 하나, 꽃 한 송이
김이랑 지음, 꾸까 도움말 / 미호 / 2018년 4월
평점 :
일러스트레이터 김이랑의 <마음하나, 꽃 한 송이> ‘꽃 그림 이랑 그림’이라는 뜻의 이름이라고 하는데요. 이 책을 읽고 나니 ‘꽃 그림 이랑 좋은 글’이라는 생각도 들던걸요. 섬세하면서도 아름다운 꽃 그림과 함께 좋은 글을 읽을 수 있어서 참 좋은 책이었으니까요.
저도 꽃을 정말 좋아해서 항상 집에 꽃을 가져다 놓곤 해요. 꽃이라는
것이 보면 볼수록 그 모양 자체부터가 너무나 섬세한 존재라고 생각해 와서인지, 그림에서도 그러한 느낌이
잘 느껴져서 참 좋았습니다. 계절별로 40여종의 꽃이 나와서
그 계절에 맞는 꽃이 무엇인지도 가늠해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요즘은 자연에서 꽃을 만끽하기보다는 꽃집에
가서 꽃을 구입하는 일이 많다 보니 계절감이 약간 떨어져 있는 것도 사실이니까요. 여름의 ‘능소화’, 이 꽃을 보고 나팔꽃과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아래 나온 영어명을 보니 ‘Chinese Trumpet Creeper’더군요. 능소화는 꽃이 시들지 않고 꽃송이가 통째로 떨어진다고 해요. 그것도
잘 표현해놓은 것이 참 예뻤어요. 중국이 원산지인 능소화이기에, 한국에서는
사신단이 들어와서 전해주어야 키울 수 있었기에, 양반꽃이라고 불리기도 했다고 알고 있었는데요. 물론 그런 이유가 컸겠지만, 선비의 곧은 기개를 느낄 수 있었기에
사랑받은 면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네요.

또한 제가 너무나 사랑하는 봄의 라일락, ‘향기만은 나를 따라오는
듯’, 정말 이 표현이 라일락과 딱 어울리는 거 같아요. 그
향기에 저 역시 발길을 멈추고 되돌아갈 수 밖에 없으니 말이죠. 그리고 가을이면 떠오르는 코스모스, 저에게는 외갓집이 바로 떠오르게 하는 꽃이기도 한데요. 언제나 가을이면
찾아오는 코스모스지만, 이제 저에게는 외갓집의 이야기들이 언제나 찾아오는 가을만큼 멀어지는 추억일 뿐인
거 같아서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또한 눈과 너무나 잘 어울리는 겨울의 동백꽃도 있고요. 부록으로 ‘한 송이에 담간 마음’이라
하여 꽃에 대한 설명이 더해져 있는데요. 그 중에서 ‘알스트로메리아’가 절 끌어당기더군요. 처음에는 백합이랑 닮았네 하며 지나갔던 꽃인데요. 그 꽃의 이야기와 꽃말을 보니 다시 책장을 앞으로 넘기게 되더라고요. 피어나기
전에는 볼품없었지만, 피어나면 더 없이 화사하고 오래 가는 꽃인데요.
꽃말마저 ‘우정’이라니, 너무나 모든 것이 잘 어우러지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내일
친구와 만나기 전에 이 꽃을 들고 가서, 꽃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