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의 기분 - 인생의 맛이 궁금할 때 가만히 삼켜보는
김인 지음 / 웨일북 / 2018년 2월
평점 :
사루비아 다방 대표 김인의 <차의 기분>을 읽다 보니, 문득 나는 왜 차를 마시는가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지금도 향기로운 차 한잔을 옆에 두고 글을 쓰고 있어서일까요? 문득
‘삶의 향기로운 쉼표를 찍고 싶을 때’라는 답이 떠오르지만, 그건 너무 멋을 낸 것이고 제 경우에는 그냥 아무 때나 마시는 거 같아요. 그냥
다양한 차를 즐기는 것이 일상처럼 되어버렸다고 할까요? 그런 생각을 하며 책을 읽으니 이 책의 저자
역시 그러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외로워서, 심심해서, 혼자서, 편치 않을 때, 비우려고, 시간마다’ 이런 수식어들이 결국 삶의 모든 순간처럼 느껴졌거든요.
워낙 차에 대해 관심이 많았기에, 나름 다도를 배우기도 하고, 차문화가 발달한 나라에 가면 꼭 경험을 늘려보려고 노력하는데요. 그런데
집에서 차를 마실 때를 떠올려보면, 나에게 원하는 차를 고르는 것에서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찻잔에 남은 식은 차들을 번갈아 마시는 상황까지 가게 될 때도 있는데요. 그래서 다도에 대해서 ‘자투리 시간을 벌기 위한 고의적인 제스처’에 가깝다던지, ‘백 번쯤 우려 마시면 자신의 몸과 기질, 취향에 맞는 방식을 저절로 체득’할 것이라는 말에 웃게 되더군요. 저 역시 다도를 배울 때, 비슷한 생각을 했던 거 같고, 식은 차를 마시는 것이 나의 취향이라는 나름의 깨달음을 얻게 되더군요.
차에 대한 이야기들도 많았는데요. 그 중에 저 역시 너무나 사랑하는
백차에 ‘맛에 요령이 없다’라는 말에 얼마나 공감이 가던지요. 다방에서 차를 마셨을 때 너무 좋아서 사가지고 왔지만, 막상 집에서는
전혀 다를 때는, 찻집의 분위기와 다르고 무엇보다 물이 달라서 그런가 하던 저이기에 ‘차는 물과 가장 닮았기에 물맛을 가장 잘 기억한다’라는 글에 위로를
받기도 합니다. 차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절로 고개를 끄덕이며 읽어나갈 수 밖에 없는 책이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