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st Days of Socrates (Paperback)
Plato / Penguin Classics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주, 잠실 교보문고에 갔다가 펭귄 클래식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The Last Days of Socrates) 원서를 샀고, 야밤에 필사가 하고 싶어서 무작정 시작했다.

오랜만이라 손이 아프고 한 페이지에 10분 정도 걸린 것 같다. 노트제외하고 170페이지 정도되니 하루 10분이면 내년 더울 때 쯤에 마칠 수 있을 것 같다.

필사하니 손이 아픈데, 장점은 필사가 무척 느리니 느리게 읽어도 읽을만하다.

원서를 살 때마다 느끼지만, 영어를 그대로 읽는 사람들은 좋겠다고 생각한다. 번역은 또 하나의 작품이니. 물론 영어도 고어를 조금씩 바꿀 수 있겠지만.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5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0-11-19 00: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대단하시네요! 거의 펜을 사용할 일이 없는 요즘에는 필사가 더욱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

초딩 2020-11-19 16:09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맨날 키보드만 치니, 연필로 쓰는 일이 점점 더 없어지는 것 같아요. ^^ 감사합니다~

scott 2020-11-19 00: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대단! 고전을 필사 하는것 만큼 초딩님 대단하세요. 저는 첫번째 글자가 뒤로 갈수록 작아지는데 ㅎㅎ 영어 필기체 멋져요!

초딩 2020-11-19 16:10   좋아요 2 | URL
앗 아닙니다... 꾸준히 하고 싶어서 이렇게 부러 포스팅을 했습니다. 응원해주시는 분들을 보며 끝까지 해보려고요 ^^
앗 그리고 악필인데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용 2020-11-19 09:0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좋은 문장을 필사하는건 재밌기도 하고 오래 남아서 좋지요

초딩 2020-11-19 16:10   좋아요 0 | URL
아 김용님 ^^ 감사합니다. 열심히 끝까지 해보겠습니다!

Grace 2020-11-19 10: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만년필로 하시면 팔도 덜 아프고 필감이 좋아서 필사에 푹 빠지실것 같습니다.

초딩 2020-11-19 16:11   좋아요 0 | URL
아아아!!!! 맞습니다 미끄러지듯 써지는 만년필! 굳어있는 만년필 따뜻한 물에 좀 담궈서 풀고 해보겠습니다.
조언 넘넘 감사드립니다!

파이버 2020-11-19 12: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글 정말 잘 쓰시네요 대단하세요!

초딩 2020-11-19 16:11   좋아요 1 | URL
ㅜㅜ 에고 과찬의 말씀 넘넘 감사합니다!
파이팅 감사드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페크pek0501 2020-11-20 15: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대단하신 걸요.
저는 요즘 시 필사, 시작했어요. 얼마나 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시작함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파이팅!!!

초딩 2020-11-20 22:50   좋아요 1 | URL
우앙 페크님은 글씨 아주 예쁠 것 같아요 ^^
화이팅합니다 ^^

ㅇㅇ 2020-11-21 00: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의지가 대단하세요 게다가 영문!!

초딩 2020-11-23 19:3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좋은 한 주 되세여~
 
[eBook]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 지적대화를 위한 30분 고전 49 지적대화를 위한 30분 고전 49
안형준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적'이라는 말은 왜 사람들에게 신뢰를 줄까? 실험을 통해 입증하고, 과거의 지식으로부터 쌓아 올려 진리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기 때문일까?

그런데, 그렇게 믿었던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뀌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적 과학이 뉴턴의 고전 물리학으로 대체되고, 그것은 다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으로, 그리고 양자역학으로 대체되고, 연소를 설명하던 플로지스톤이 라부아지에의 산소로 인해 대체되는 것은 왜일까? 실험에 의해서 입증되었던 것들이, 선배 과학자들로부터 쌓여왔던 상아탑이 한순간에 바뀌어 버리는 이것을 보고 우리는 '과학적'이라는 말을 신용할 수 있을까? 수십 년에서 수백 년 더 나아가 천년이 넘게 믿어왔고 '과학자'라는 사람들은 아무도 반론을 제기하지 않고 충실히 따르던 것이 한순간에 바뀌어버리는 듯한 이 현상을 보고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 하버드 물리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토머스 쿤은 이 질문을 머릿속에서 지울 수 없었다. 그래서 전공을 바꾸어 과학역사를 공부하며 이 문제를 파헤쳤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과학 세상을 찬반론으로 휘저었다.


그는 바로 과학이 결코 진리를 향해 가는 꾸준한 과정이 아니라, 과학자들의 믿음의 틀이 혁명적으로 바뀌는 것이라고 주장한 토머스 쿤입니다.

p25


쿤은 이 틀을 ‘패러다임’이라고 불렀는데, 과학자들은 어딘가에 숨어 있는 자연의 참된 진실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패러다임에 따라 연구 방법을 결정하고, 실험하고, 또 이론을 만들고 검증한다고 보았습니다. 마치 답이 이미 정해져 있는 수수께끼를 풀듯 과학을 한다고 말입니다. p27


그리고 그 틀을 패러다임이라고 했다. 그는 과학의 역사를 과학자는 물론 일반인까지 교과서와 과학 교양서로 모두 믿고 따르는 '정상 과학'의 시대와 그 정상 과학으로 해명이 안 되는 현상들이 생기는 '위기'의 시대와 그 문제들을 풀어내 버리는 이론이 정상 과학을 대체하는 ''과학혁명'의 시대로 나누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정상 과학'의 시대에는 과학자들이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라는 것이다. 그 시대에는 틀 안에서 이론들을 더 상세화하고 그 상세화된 것들을 연구를 통해 입증한다고 한다. 과학혁명에까지 다다르는 새로운 이론을 발견해도 자신의 실험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양자역학, 지동설, 산소 연소의 과학혁명을 생각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패러다임' 은 '효율'이라고 생각한다. 제로에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거인의 어깨 위'에서 시작하는 것인 효율적이고 더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학혁명처럼 문제의 본질에 대해서 의구심을 가지는 것을 잊지도 말아야 할 것이다.

그는 바로 과학이 결코 진리를 향해 가는 꾸준한 과정이 아니라, 과학자들의 믿음의 틀이 혁명적으로 바뀌는 것이라고 주장한 토머스 쿤입니다. - P25

쿤은 이 틀을 ‘패러다임’이라고 불렀는데, 과학자들은 어딘가에 숨어 있는 자연의 참된 진실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패러다임에 따라 연구 방법을 결정하고, 실험을 하고, 또 이론을 만들고 검증한다고 보았습니다. 마치 답이 이미 정해져 있는 수수께끼를 풀듯 과학을 한다고 말입니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스티브 잡스
월터 아이작슨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1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오랜만에 스티브 잡스 영상 하나를 봤습니다. Forbes에서 제작한 것 같습니다.

저에게는 스티브 잡스는 가슴을 뜨겁게 만들어주는 사람입니다. 그와 애플과 아이폰이요.

첫 직장을 그만두게 했고, 첫 회사를 만들게 했고, 또 지금의 회사에 다니게 했으면, 지금도 꿈꾸게 해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OS7cX7TuOo&list=FLTTqV4wKNp99zqdmt-xDj_g&index=467


There's a difference between convincing someone to buy a laptop for that one transaction. It's quite different to enchant that person with the totality of your company. Apple in particular has enchanted its customers.

제품 하나를 사게 만드는 것과 회사 전체에 대해 매료시키고 열광시키는 것은 굉장히 다른 이야기입니다.


A lot of times people think they're crazy. But in that craziness, we see genius. And those are the people we're making tools for.

애플의 앱 개발 철학 중 하나는 사용하기 쉽게 만들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자기 일로도 알아야 할 것 해야 할 것들이 많으니, 앱이 거기에 복잡함을 더하면 절대 안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말처럼, 세상 사람들이 미쳤다고 생각하는 그 사람들이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만들어내고, 애플은 그 사람들을 위해 만듭니다.

(Think Different full version: https://www.youtube.com/watch?v=5sMBhDv4sik )


It's in Apple's DNA that technology alone is not enough. That it's technology married with liberal arts, married with the humanities...

그 유명한 애플의 교차로 표지판입니다. 기술이 인문학과 만난 것이지요. 애플이 아이폰을 세상에 처음 내놓았을 때, 제가 있던 회사에서도 스마트 폰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그 시절에는 기능이 잘 동작하는 것, 오류가 없는 것에 온통 치중해 있었습니다. 그때 아이폰을 세로에서 가로로 돌리는 순간 화면이 부드럽게 가로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보고 모두 탄성을 내지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애플을 절대 따라갈 수 없구나라고 모두 생각했습니다. 생각해보세요, 우리가 애니메이션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초당 30장 정도의 이미지를 화면에 뿌려주는 것입니다. 무슨 동영상도 아니고, 회전하면서 가로축과 세로축이 바뀌니 각 좌표가 연속적으로 바뀔 것인데, 그 연산과 투사를 그 작은 폰에서 해낸 것입니다.

애플은 기능도 좋지만, 디자인 (정적인 디자인뿐만 아니라 이동, 전환과 같은 동적인 디자인) 도 좋다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디자인은 기술 수준이 아주 높아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애플은 기능이 동작하는 것을 넘어서 인간이 그 기능을 가장 잘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라는 표현이 더 맞을 것입니다.


(WWDC 2013 - Intro Video - Apple's Product Strategy: https://www.youtube.com/watch?v=XAEPqUtra6E )


Words of Jobs

- “People don't know what they want until you show it to them.”



댓글(3) 먼댓글(0) 좋아요(5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 2020-11-08 02: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PC는 인간 정신의 자전거”라고 했다죠. 그 말에 홀려가지고 십년 넘게 앱등이인 사람 올림 ㅋㅋ

초딩 2020-11-08 02:44   좋아요 1 | URL
애플의 컴퓨터는 사람들의 지성과 창조성의 자전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을 사랑합니다 :-) 좋은 밤 되세요~
ㅜㅜ 아 근데 방수 광고 믿고 수영장에서 신나게 촬영하다 침수 되어서
울면서 또 웃으면서 12 pro 했어요 ㅎㅎㅎ

하나 2020-11-08 02:46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 저도 전에 비슷하게 서비스 센터 갔다가 “방수”가 되는 거지 “잠수”가 아니라고 핀잔 들었어요. 우와 그래도 그 김에 12프로 쓰시게 됨 ㅋㅋㅋ 좋은 밤 되세요 초딩님도!
 
[eBook] 뉴타입의 시대 -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돌파하는 24가지 생각의 프레임
야마구치 슈 지음, 김윤경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의 인재상을 수요와 공급으로 설명한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는 과잉 공급이고 의미 있는 문제를 발견하는 인재는 부족하다고 한다. 그리고 현대는 뷰카의 시대라고 한다. 뷰카는 VUCA로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을 의미한다. 즉,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 급변하는 시대라는 것이다. 그래서 과거의 경험과 지식이 무용하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그 대응력을 위해 학습 민첩성을 요구하는 뉴타입의 시대라는 것이다.

이 책은 여러 가지 사례를 나름의 일반화를 통해 이원화해서 바라본다.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고 구상해야 한다든지, 숙련된 기장이 조정할 때 보다 보조 기장이 운전하며 기장이 봐줄 때 사고가 덜 난다든지, 신자유주의로 인해 다수를 겨냥한 시장은 거대한 GAFA (Google, Apple, Facebook, Amazon)에 의해 독점되었기 때문에 니치 시장을 겨냥해서 글로벌로 확대하는 니치 X 글로벌 전략을 세워야 한다 등을 극단적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풍부하진 못한 몇몇 전래동화 같은 사례로 성급하고 극단적인 일반화와 이원화로 새로운 것을 뉴타입으로 그렇지 않은 것을 올드 타입으로 나누어 올드타입을 버리고 뉴타입을 쫓아야 한다고 하는데, 말 그대로 극단적이다. 후반부로 가면 좋은 것은 뉴타입 나쁜 것은 올드타입으로 재판해버린다.

실리콘밸리의 책들이 몇몇의 임팩트 있는 사례를 제시하고 메인 이론을 향해가는 각 장에서 사례도 맞추어 구체화하고 추가 사례를 덧붙여서  의도한 메인 이론을 내미는 방식이 좀 더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인재를 중요시 다루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것 같다.

신입 사원 때가 기억난다. 어떤 임원분이 우리 신입사원들을 보고, "대안 없는 문제 제기는 하지 마라. 어떤 광고에 누가 안 어울린다고 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 광고에는 누가 더 잘 어울린다고까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라고 말했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오랫동안 아무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 팀을 이끌고 지위가 낮은 사람들을 이끌 수 있을 때가 되어서야 겨우 '문제 제기'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아야하는)를 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로 운전을 하며 오디오북을 듣고, 들은 오디오북의 전자책 또는 종이책을 다시 보고 있는데, 1.2배속으로 듣고, 하루 1시간 30분 정도 운전을 하니 눈으로 읽는 것이 귀로 듣는 것을 못 따라간다. 게다가 잠시 멈춰 생각을 해야 하거나 내용이 어려우면 오디오북으로 끊임없이 듣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오디오북으로 들은 책이 쌓여가니, 정말 오디오북을 그만 듣고 다시 팟캐스트를 들어야 하나 고민하던 중에 웅진지식하우스의 지적 대화를 위한 30분 고전 50권 시리즈를 만났다. 윌라에서만 있는 오디오북인줄 알았는데 알라딘에도 전자책이 있다. 윌라는 월정액이니 무제한으로 들을 수 있고 알라딘에서 전자책으로만 파는 이 시리즈는 50권인데 권당 3,000원이다! 30분 고전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는 1시간 조금 넘게 들어야 한다. 전자책도 60페이지부터 100여 페이지까지이다.

슈뢰딩거는 예전부터 읽고 싶어서, 먼저 들어보았고 내친김에 칼 세이건과 토머스 쿤도 들었다. 그리고 다시 1권 플라톤의 국가를 듣고 있다.

기본 구성은 저자와 배경에 대해서 소개하고, 원본 책을 정리해주고, 저자와 책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가치와 후대에 끼친 영향에 관해 설명해준다.

원본 책이 분량이 적은 경우는 대부분을 읽어준다. 플라톤의 국가는 예전에 읽었기 때문에 이 오디오북 시리즈가 어떻게 책을 설명하고 요약하는지 알 수 비교할 수 있었다. 오디오북 분량 자체가 원본 책에 비해 아주 적기 때문에 당연히 많은 부분이 생략되었지만, 생각보다 주요한 내용을 잘 요약해주었다. 특히, 앞 뒤 해설의 내용이 풍부하고 책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참고로 300여 페이지 책은 오디오북으로 5시간이 조금 넘는 분량이다.

원본 책을 읽기 전후로 이 시리즈를 들으면 무척 좋을 것 같다.

책도 여러 번 읽으면 그 의미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10-30 13: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오늘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큰글씨책으로 장바구니에 담았어요. 더클래식. 인간을 알 수 있는 책 같아서요.
저도 오디오북은 매일 듣는 편이어서 많이 구매했어요. 저는 폰으로 결제하고 폰에 저장해 듣는데
결제할 때마다 구글 페이먼트코리아, 라고 뜨더라고요. 눈 피로를 줄이기 위해 오디오북, 큰글씨책 사용 등
여러 방법을 쓰고 있어요. 제 눈이 너무 혹사당하는 것 같아서요. ㅋ

초딩 2020-10-30 18:57   좋아요 0 | URL
아 ~ 군주론 책장에 있는데~ 눈을 위한 큰글씨책! 좋을 것 같아요 ^^
알라딘 등의 오디오북은 기계가 읽어주는데, 윌라는 성우 녹음이여서 좋은 것 같아요~ 대신 아직 책이 많이 없는게 좀 아쉬워요 ^^
페크님 항상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 되세요.

scott 2020-10-30 20: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목소리에 민감해서 책내용보다 목소리에 끌려서 들어요.코스모스는 어떤 분이 읽어줄지 궁금하네요 ^.^.

초딩 2020-11-08 02:14   좋아요 1 | URL
^^ 지적 교양 시리즈는 윌라에서 3분 정도가 낭독하시던데 코스모스는 남자분인데 차근 차근 설명도 잘 해주시고, 또 인문학적인 대목은 감성적으로도 잘 읽어주셨어요 ^^
좋은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