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땅의 야수들 - 2024 톨스토이 문학상 수상작
김주혜 지음, 박소현 옮김 / 다산책방 / 202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처음 읽을때는 괜히 심술이 났다. 책이 잘못된 것은 아니고,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지만 우리가 일본의 식민지가 되고 '더 이상 대한제국은 없다'라는 기사가 났다라는 것을 본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비참했다. 나라 잃은 백성들이 신문의 기사를 마주했을 때의 그 심정이란 어떠했을까.. 일본의 침략을 어떻게든 막아보려는 노력들이 허사가 되었고, 그렇게 한 나라가 없어졌는데, 왜 이제서야 당시 시대의 이야기들에 세계는 열광들을 하는가라는 "심술"이랄까. 하지만 어찌보면 그저 우리의 당시 일제 강점기라는 것은 배경에 불과하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보여주는 관심일 것이다. 어디든, 누구든, 인생의 역경은 있을테니 말이다.

호랑이를 죽이는 건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만이이라고. 그리고 그건 호랑이 쪽에서 먼저 너를 죽이려고 할 때뿐이다. 그럴 때가 아니면 절대로 호랑이를 잡으러 들지 말아라. 알겠느냐? (p.23)

우리는 대륙에서 뻗어 나와 대양으로 쭉 뻗어가는 모습의 한반도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대륙에서 자신들을 위협하듯 솓아나왔다고 우리나라를 생각한다고 했다. 같은 것을 보고도 각자의 생각을 제각기 다른 것 같다. 일본은 우리 한반도를 지나 세계로 뻗어가려 했던 야망은 번번히 실패하고 마는 것 같다. 조선시대에도 그랬고, 그때보다 조금더 나아갔지만 결국엔 한반도에 살고 있는 작은 야수들을 이기지는 못했다. '호랑이를 죽이는 건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만인데 그들은 그런 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호랑이를 죽이려 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비록 집이 가난해서 기생집에 허드렛일을 하러 엄마 손에 이끌려 갔던 옥희는 덜컥 견습생이 되었다. 꼬박 2년을 일하며 모아야 하는 50원을 옥희 어머니는 받고, 다시는 찾아오지 말라는 말을 옥희에게 전한다. 딸이 기생이 되었다면 다른 아이들에게 미칠 영향을 생각했던 탓이겠지만.. 그러면 끝까지 옥희를 품었어야 하지 않았을지... 내심 옥희 식구들이 행복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옥희는 견습생을 거쳐 조선극장 배우가 되었고, 호랑이 사냥꾼의 아들이면서 옥희를 사랑했던 정호는 인생이란 무엇이 나를 지켜주느냐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지켜내느냐의 문제이며 그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겠다(p.250)며 옥희를 지켜내리라는 다짐을 하지만, 자꾸만 그녀와 엇갈리게 된다. 그리고 돈많은 후원자보다는 좋아하는 사람을 선택하게 되는 옥희. 하지만 당시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삶의 여정은 그리 녹록치만은 않다. 그래도 그들은 각자 나름대로 자신의 온 몸을 태워 한시대를 살아가지 않았나 싶다. 작은 땅이지만 포효를 잊지 않는 호랑이들처럼 말이다.

여담이지만 작가가 1.5세대 이민자이다 보니, 이 책은 한국어로 번역된 것이다. 그래서 옥희(Jade), 연화(Lotus), 월향(Luna), 은실(Silver)의 이름은 한국어 이름으로 지어보도록 제안 받은 역자의 작품이라고 한다. 당시 배경을 생각한다면, 옥희, 연화등으로 안 바꾸었으면 큰일날 뻔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본문중에 왜 '한국'이라고 할까? '조선'이나 '대한제국'이어야 하는데 라는 의문이 들었는데, 작품내에서도 'Korea'로 표기하고 있는 만큼 어느 특정 시대에 고정되어 소비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 독자들이 현재의 한국까지를 한 국가의 역사로 인식하도록 이끄는 원작의 의도를 존중하기 위함이었다(옮긴이의 말 中)라고 한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 나니, 이 책을 처음 펼때의 내 잠깐의 심술이 정말 못된 심술이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이란 무엇이 나를 지켜주느냐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지켜내느냐의 문제이며 그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겠다 -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랑이를 죽이는 건 선택의 여지가 없을때만이라고. 그리고 그건 호랑이쪽에서 먼저 너를 죽이려고 할 때 뿐이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어링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98
조규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일곱살 수민이. 고등학교 신입생이 되고 새로산 무선 이어폰이 없어졌다. 미니라고 이름까지 붙힌 이어폰인데, 아무리 찾아도 없자 담임선생님에 도움을 요청했는데 그것이 사달이 났다. 1시간 넘게 담임 선생님의 설교는 지속되었고, 수민이는 아이들에게 '극혐 1호'로 낙인 찍혔다. 성적도 그리 좋지 않고, 친구들과 잘 사귀지 못하는데 이어폰 사건으로 수민이에게 아무런 관심도 갖지 않았다. 그에 반해 세진이는 중학교때 전교 2~30등 정도의 성적이었는데, 배치 고사 전교 1등을 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학교에는 세진이를 비롯해서 상위권에 있는 특별한 그룹이 있었다. 네명의 아이들이었는데, 그중 성적이 떨어지는 아이 하나가 전학을 가버렸다. 그즈음 세진이 수민에게 함께 봉사할 것을 제안한다. 그다지 봉사 점수에 신경쓰지 않던 수민은 수락을 했고 함께 봉사를 갔는데, 어째, 나머지 둘은 보이지 않고, 그나마 함께 온 세진이마저 학원 시간이 되었다고 먼저 훌쩍 가버린다. 괜시리 세진에게 이용당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아이들과 만난 방송실에서 주운 검은색 무선 이어폰에서 소리가 들려온 건 그무렵이었던 것 같다. 누군가는 망가진 이어폰이라고 했는데, 분명 수민이에게는 말소리가 들린다.

같은 반에서 공부하기는 하지만 그들을 친구라고 말할 수 있을까. 아이들을 경쟁속으로 몰고 가는 것은 어른들이다. 예전 딸아이가 교우관계로 고민을 할 때 반아이들과 모두 친구일 필요는 없다, 너무 고민하지 말라라고 한 적이 있는데, 훗날 딸아이는 말한다. 지금도 아주 유명한 의사가 '프렌드'와 '클래스 메이트'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걸 보면서 내가 했던 말이 기억나더라고... 그런데 모두 다 친구일 필요는 없지만, 요즘은 '프렌드'의 비중보다 '클래스 메이트'의 비중이 더 높아지는게 아쉬울 따름이다. 자기의 속내를 드러내지 못해 방황하는 아이들에게 마법처럼 나를 이해해주는 목소리가 들려온다면 아이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까. 아이들과 가까운 곳에 있는 직업이다 보니 종종 힘들어 하고 고민을 털어놓는 친구들을 보기도 하다. 얼마나 내가 위로가 될까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지만.. 이 소설을 읽다보면, 아이들이 숨을 쉬고 싶을때 그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 많은 위안이 될 수 있겠다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나는 아이들 곁에 있다고 해서 나도 빛나지는 않았던 것이다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