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가 사라지던 밤 1 나비사냥 3
박영광 지음 / 매드픽션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 독서모임 몽블랑으로 < 나비 사냥 >을 처음 만나고, 하태석 형사가 주인공인 < 시그니처 >,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저자는 현직에서 형사로 재직하고 있기도 하고, 이 "나비사냥 시리즈"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어서 더 현실감 있고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더군다나 그 실제 사건도 당시 충격적인 상황을 기억하고 있어서 그런지 한 번 잡은 책은 놓을수가 없었다. 그런데, 세가지 이야기 모두 몰입해서 읽었지만 이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은 너무나도 마음이 아리기까지 했다.

7년전 태석을 고향으로 전출시켰던 사건.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이었다. 분명 태석은 김동수를 범인으로 확신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었고, 교묘하게 법망을 뚫고 김동수는 당당히 걸어나갔고, 태석은 징계를 받았다.그런데, 그 김동수가 살해당했다. 범인으로 체포된 사람은 미순의 아버지 임춘석과 선미의 언니 정유미였다. 서로 다른 곳에서 붙잡힌 이들은 서로 자신이 죽였다고 주장했지만 칼에서는 임춘석의 지문이 발견되었고, 유미는 풀려났다. 아직 미순과 선미의 시체가 발견된 것도 아니고, 단순히 실종상태였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두가족은 철철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어떤 범죄가 발생하면 피해 당사자만이 피해자가 아니고 그 가족 모두가 피해자가 되기 마련이다. 법제도가 제대로 범인을 잡지 않았기에 또 다른 살인사건을 만들게 되었다는 비난이 일자, 우선 미제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팀을 만들고, 태석이 팀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을 파헤치게 된다.

범죄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범죄자에게 어떠한 형벌이 과연 적절한 것일까? 가족 모두가 고통속에서 살아가야 하고, 무너지게 되는 것을 과연 그들이 징혁형을 받는다고 위로가 되고 범죄피해가 옅어지게 되는 것일까. 죗값을 치뤘다고 나와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를 수 있지만,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평생을 지우지 못한 상처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에 등장해서 직접 단죄하는 가족들을 비난할 수가 없다.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언젠가 범죄로 아내를 잃은 남편이 판사에게 아이들을 성인이 될때까지 키우고나서 자신이 범인을 죽일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아마도 피해자의 가족들은 다 같은 맘이 아니었을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전함 강감찬 몽실북스 청소년 문학
박지선 외 지음 / 몽실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아~ 드디어 강감찬 장군님이 등장하시는군요^^ 매우 용맹스러울 내용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자리를 내어 줍니다
최현주 지음 / 라떼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아~ 매우 따듯한 이야기를 담은것 같아됴^^ 표지도 따뜻해 보이네요, 어서 읽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마음 속에는 선과 악이 공존하면서 외부의 영향과 상황에 따라 그것은 반응하는 것이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기로운 행복정원 - 교장샘의 재미있는 꽃이야기
조상제 지음 / 모데미풀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수필은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재미있는 꽃이야기 수필이다. 마치 옆에서 교장선생님이 조곤조곤 꽃에 대해 설명해주는 것 같아, 참 재미있게 읽었다. 사진과 더불어 있는 꽃들이 참 예쁘다.

승진이나 영전을 하게 되면 축하의 뜻으로 난을 선물로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새로 부임한 곳에 사악한 기운을 쫓아내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하다. 또한, 하늘 향해 돋아나는 난초 잎처럼 지조와 절개를 지키면서 고고하게 향기 나는 사람이 되라는 뜻이라고 한다. 화려한 꽃다발보다는 그저 화분에 있는 모습이 보기 좋아서 그런줄 알았는데 싶은 뜻이 있었구나. 또한 춘추시대에 공자가 전국을 돌아다니며 자신을 등용할 것을 호소하였으나 누구도 받아주지 않아 꽤 참담한 심정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깊은 골짜기를 지날 때 향란(香蘭)이 고고하게 향기를 내뿜고 있는 것을 보고, '아! 저 향란은 아무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도 고결한 향기를 홀로 피우는구나!'라며 노나라로 돌아와 제자를 양성했다고 한다. 역시 수선을 떨지 않아도 그윽한 향을 낼 사람들은 따로 있구나 싶다.

또한 전혀 다른 친구라고 생각했는데 백합과 나리는 같은 종이라고 한다. 백합은 한자어이고, 나리는 우리말이라고 한다. 굳이 따진다면 산야에 사는 자생나리를 사람들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하기 위해 품종을 개량한 원예종을 백합이라고 하는데, 이 글을 보고 곰곰히 생각해보니 나리가 훨 예뻐보인다.

생각해보면 어릴때는 나름 꽃이름도 알았던 것 같다. 사루비아 꽃을 따서 꿀을 쪽쪽 빨아먹은 기억이 있는데... 정말로 꿀을 먹어서인지, 그냥 먹었다고 허세를 부린 것인지.. 산까지는 아니어도 이리 저리 돌아다니며 놀았기에 그나마 이름을 조금 알지 않았을까. 하지만 요즘에는 정신없이 회색 도시를 누비기 때문에 가까운 곳에 있는 이름 모를 풀꽃들도 무심하게 지나치지는 않나 싶다. 조금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둘러보면 참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