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다가 잃고
잃다가 잊는다

이번 생에도
끝내 알아채지 못한다

- 우리가 잊고 잃은 것 - - P37

흔들리지 않고 달리는 생은 없다

- 원래 그래 - - P104

아프지 마라 원래 그런 것이다
다르다는 것은 잘못이 아니라 특별함이다
그저 네 자리가 아닐 뿐이다
차가웠던 돌이 따뜻해진다

- 돌 - - P1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디를 가든 썩어빠진 사람들이 있어. 그들은 좋은 사람들이 아니야. 아주 나쁜 사람을 보고 싶니? 그럼 평범한 사람은 상상도 못할 성공을 안겨줘 봐. 언제든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어떤 행동을 하는지 한번 보는 거야."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이 사라진 뒤에
조수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배들이 가끔 그러잖아요. 그래도 지금은 세상 많이 좋아진 거라고. 그런데 그게요. 어른들이 한 일이 아니에요. 죽은 아이들이 한 일이야. 아이 하나가 죽어야 그나마, 아주 조금씩 세상이 변해가는 거예요"(p.139, 140)

얼마전에 또 한 아이가 세상을 떠났다. 체험학습을 간다고 떠났던 아이는 차가운 바다 속에서 부모와 차에 탄채 발견되었다. 사람들은 너나없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한다. 우리는 아이들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는 왜 생각을 못하는 것일까. 아이 하나가 죽어야 그나마, 아주 조금씩 세상이 변해가는구나.

소녀는 아이 아빠가 누군지 잘 몰랐다. 임신을 한 걸 알았을때, 부모는 도움을 요청할 만한 대상이 아니었다. 그녀도 방임되고 있었다. 좋은 부모에게 아이를 입양시켜주겠단 남자를 만났다. 그리고 아이를 낳았고, 소녀는 떠났다. 소녀가 낳은 딸은 남자의 손에 키워졌다. 그 곳에는 다른 아이들도 많았는데, 그 아이들 모두 세상에 흔적이 없는 아이들이었다. 여기서 사육되다가 입양되거나 장기적출을 당했다. 하지만 소녀의 아이는 영특했다. '아이'라는 이름을 받고 그곳에서 살아남았다. 이것이 소설 속 이야기라고만 믿고 싶다. 그래야만 한다. 현실에서는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이런 이야기들을 현실에서 접하게 된다. 너무나도 속상하다. '아이'는 장애가 있는 남자아이 '도우너'를 데리고 그 지옥같은 곳을 탈출한다. 그리고 학대받거나 방임으로 힘든 아이들을 구조(?)한다.

작가는 '평택 아동 살해 암매장 사건'을 계기로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찾아보니 나도 기억이 나는 사건이다. 하지만 우리들은 거기서 멈추게 하지 못했다. 반복적으로 사건은 발생했고, 많은 아동들은 짧은 삶을 고통만 알다가 떠나갔다. 왜 우리는 아이들이 사라진 뒤에야 현실을 직시하는 것일까. 아이들에게 미안하고 미안하고 또 미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무표정한 침묵, 그건 바로 비겁한 침묵이었다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이 되면 가끔 사는게 복잡해질 때도 있거든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