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야마시로 아사코 지음, 김은모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2월
평점 :
야마시로 아사코 = 오쓰 이치 = 나카타 에이이치, 모두 동일인물?!
역시나 세상은 넓고 읽을 책은 넘쳐난다. 1년 평균독서량을 훨씬 웃도는 책을 읽어도 처음 만나는 작가가 있다. 그동안 우물안 개구리처럼 좀 맘에 드는 작가가 있으면 스토커마냥 물고 늘어지는 성격때문에 아마 미처 만나지 못했을수도 있다. 그런데 이 작가 참 재미있다. 미스터리 소설을 쓸때는 '오쓰 이치'가 되고, 청춘 로맨스를 쓸때는 '나카타 에이이치'이고, 호러소설을 쓸때는 '야마시로 아사코'란다. 라이트 노벨을 쓸 때는 '에치젠 마타로' 영화감독으로 활동할 때는 '아다치 히로타카'라는 본명을 사용한다고 한다. 내가 이런 말을 해도 될런지 모르겠지만 참 재능이 많은 사람 같다. 부럽다.....
이 책은 여덟편의 단편이 모여있다. 단편에 약한 나인데도 불구하고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아마도 내 스타일인 듯하다. 완전 스토커 대상...
첫번째 단편 「세상에서 가장 짧은 소설」부터 아주 제대로 몰아친다. 아내와 둘이서 사는 맨션에서 얼마전부터 낯선이가 출몰하기 시작한다. 억울하게 죽은이의 영혼 한조각으로 인해서 벌어지는 현상.. 그는 어떤 사연이 있길래 이들 부부의 맨션에 나타나는 걸까. 호러 소설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이야기이다.
「아이의 얼굴」이라는 이야기도 보면 살짝 섬짓하면서도 무언가 메세지를 던진다. 고등학교 때 같은 반이었던 친구가 자신의 아기를 죽였다. 또 한 친구도, 그리고 또 한 친구도.. 결혼한 후 새집으로 이사했을 때 친구에게서 편지가 왔다. 그 옛날 괴롭힘을 당해서 죽은 친구. 그런데, 자신이 결혼하고 아기를 낳았는데, 그 아이가 그 친구를 닮았다는... 너는 한걸음 뒤쪽에 물러나 있었으니 조금 경감되지 않겠냐는 이야기.. 하지만 여지없이 그녀도 아이의 얼굴에서 그 옛날 친구의 모습을 보게 된다. 우리는 가끔 과거에 발목을 잡히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과거에 학교폭력의 주범이었든, 사기를 쳤든, 그야말로 남의 눈에 피눈물 흘리게 하면 언젠가 자신도 피눈물을 흘릴수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그런 이야기였다.
「무전기」 이야기는 참 슬프다. 2011년 일본에 몰아친 쓰나미에 아내와 아이를 잃은 남자. 장난감 무전기를 사주고 아들과 무전을 하며 놀아주었는데, 그 어린 아들이 쓰나미에 휩쓸렸다. 집은 수백 미터나 떨어진 곳에서 1층은 없어지고 2층만 산비탈에 걸려 있는채로 발견되었고, 아들과 아내는 찾지 못했다. 대지진이 일어나고 2년이 지났을 때 갑자기 아들의 무전기에서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마음이 아픈 이야기이다. 얼마전에 딸아이가 열이 펄펄 끓었었다. 큰 아이였는데도 걱정이 되서 밤새 곁을 지켰는데, 그 어린 아이를 잃어버리고 나서 얼마나 상실감이 컸을까. 뭐라도 하나 잡고 싶는 심정일 것 같다.
이 외에도 「머리 없는 닭, 밤을 헤메다」, 「곤드레 만드레 SF」, 「이불 속의 우주」,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아이들아, 잘자요」의 단편들이 있다.
그의 소설은 분명 호러 소설이라고는 하지만 무섭다기 보다는 사람사는 냄새가 나는 그런 따듯함도 느낄수가 있다. 귀신은 무섭지만 그냥 지나치지 않는 부부에 의해 그 사연을 알아내기도 하고, 머리를 잃은 닭이 자신을 아꼈던 소녀를 찾아 헤메는 모습이나, 남편과 딸을 동시에 잃고 슬픔에 빠진 한 여인. 모두가 이명이라고 약을 먹지 않아서 그런다고 하지만 그 소리는 도움의 손길을 바라는 이에게 다다르게 한다. 어떻게 호러 소설이 이렇게 따뜻할수 있을까. 정말로 야마시로는 천재인가보다. 아무래도 오늘은 그의 다른 작품도 찾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