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0 영 ZERO 零 ㅣ 소설, 향
김사과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정신의 <소설, 향> 시리즈의 첫번째 이야기 김사과님의 <0 영 ZERO 零>이다.
1998년 "소설의 향기, 소설의 본향"이라는 슬로건으로 첫선을 보인 '소설향'을 리뉴얼해 선보이는 중편 소설 시리즈로, "소설의 본향, 소설의 영향, 소설의 방향"이라는 슬로건을 가진다. 요즘에는 이렇게 시리즈로 한국소설을 선뵈고 있는 출판사가 많은것 같다. 그래서 유심히 여러 출판사의 작품들을 눈여겨 보고 있었는데 그 중 처음으로 작가정신의 <소설, 향>을 만났다. 책이 작고 아담하고 또 내가 좋아하는 양장본이라 책장에 쪼로록 세워놔도 매우 뿌듯하리라 생각된다.
'0'이 숫자로 한글고 영어로 한자로 늘어져 있어서 무언가 '0'을 강조하는 느낌, 혹시 아무것도 없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인가라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소설을 다 읽고 나서 다시 이 리뷰를 작성하기 위해 제목을 타이핑 하다가 한자를 보고 무언가 뜻을 숨겨놓은듯한 것을 느꼈다.(아닐수도 있지만 뭐, 그것은 독자의 몫이 아니던가) 한자 영(零)은 숫자가 없다라는 뜻도 있지만 떨어진다, 비가 온다, 부슬부슬 내리다라는 뜻도 있다. 처음에는 "떨어질"이란 의미만 보고 나락으로 떨어지는이라고 생각을 했다가 비가 부슬부슬 내리다라는 뜻도 있는 것을 보면 내 생각이 잘못되었을수도 있다고 생각도 했고 여러가지 중의적 표현이 아니겠는가라는 생각도 해본다. 앞에도 언급했지만 이것은 뭐 온전하게 나의 몫이니까 잘못 짚었어도 상관없다. 이 책을 읽는 동안의 느낌은 나의 것이니 말이다.
1인칭 시점으로 묘사하는 이 소설은 남자친구인 성연우와 헤어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분명 연인과 헤어지는 장면인데 알리스(주인공이 지은 영어식 이름)는 무언가 다름이 느껴진다. 이야기를 하는 연우에 전혀 집중하지 않고 주위 사람들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진다. 방학때는 유럽에서 지냈다. 그곳에서 만난 피터 슐츠. 하지만 그는 김명훈이라는 이름의 한국인이다. 부모님은 이혼했고 엄마가 재혼하면서 이름이 피터 슐츠가 되었다. 피터의 이야기를 할때는 매우 인정이 많은 사람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야기에 진행됨에 따라 무언가 이상한점을 느끼게 된다. 알리스 그녀는 매우 독버섯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식인(食人)하는 종족이다. 일단 그것을 인정해야 한다. 윤리와 감정에 앞서서 현실을 받아들여라 한다. 무슨 말인고 하니, 세상은 먹고 먹히는 게임이라는 것이다. 내가 너를 잡아 먹지 않으면, 네가 나를 통째로 집어 삼킨다. 조심하고, 또 경계하라.(본문 中, p.46)
어쩌면 인간의 본성에 가장 충실한 사람이 알리스인지 모르겠다. 자신이 살기 위해서는 남을 잡아 먹어야겠지. 하지만, 모두 그렇게 남을 잡아먹으면서 살지 않는다. 아마도 이성적인 판단을 할수 있기에 만물의영장이라는 표현을 하는 것이 아닐까. 무조건 남을 밞고 일어서지는 않는다. 그런면에서 알리스는 자신의 삶외에는 중요한게 없어보인다. 다른이들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말이다. 대부분 화자들은 나쁜 사람들을 보지 못해서 매우 이 소설의 알리스가 독특해 보였던 것 같다. 분명 악인인것 맞는것 같은데, 어찌보면 그녀의 상황을 이해할수 있었다가 또 어찌보면 뭔가 이상해 보이고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독버섯 같은 알리스 같은 사람은 솔직히 만나고 싶지 않은데... 첫느낌이.. 안좋아서.. 근데, 한번 다시 이 소설을 읽어봐야할것 같다. 그러면 알리스의 다른면이 보일것 같은 느낌에서이다. 혹시 나도 알리스의 독에 중독된것은 아닐까. 조심해야 겠다. 아무래도 조심하지 않으면 알리스에게 잡아먹힐것 같은 느낌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