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서 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 - 웨이보 인싸 @하오선생의 마음치유 트윗 32
안정병원 하오선생 지음, 김소희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어서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 암요, 암요, 처음이지요.
예전에 의사라면 좀 무뚝뚝, 물어봐도 이야기 안해줄것 같은 그런 느낌이랄까. 특히나 종합병원 의사들은 말이다. 그런데, 엄마때문에 알게된 종합병원 의사선생님은 얼마나 친절하신지 그리고 질문에도 대답을 잘해주신다. 하지만 몇몇 의사들은 아무래도 본인들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직업군이다 보니 가끔은 환자를 내려다보는 그런이들도 없지않아 있다. 갑자기 화가 치밀어 오르기도 하는군. 그래도 몇몇 실제로 만났던 사람들중에 기분나쁜 의사보다는 좋은 느낌의 의사들이 훨씬 더 많은 것 같아 다행스럽다. 이 책의 저자인 하오선생은 아무래도 후자의 좋은 느낌의 의사를 넘어 살짝 허당끼가 있는 의사라고 할수 있겠다.
정신과라고 하면 예전에는 좀 진료받기가 껄끄럽고 뭔사 제정신이 아닌사람 같아 보이고, 혹은 그냥 아픈 것인데 우리는 그것을 조롱하기도 한다. 하지만 지금 사회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너무나도 극에 달했고, 우울증, 불면증등의 많은 문제가 야기되므로 난 정신과 치료에 대해 별로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정신과 치료라고 하는게 꼭 앞에서만 열거한 것만 있는것이 아니지 않을까. 뭐, 난 전문가가 아니니 잘은 모르겠지만 말이다.
이 책의 원제는 원래 <어서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가 아니었다고 한다. <당신도 버섯인가요?>가 이 책의 원제라고 한다. 정신병원을 찾은 환자가 우산을 들고 모퉁이게 가만히 쪼그려 앉아 있었다고 한다. 기이한 행동에 모두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했지만, 아무도 왜 환자가 그런 행동을 하는지 알수가 없었고, 이러지고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한 의사가 우산을 들고 환자를 따라 쪼그려 앉았다고 한다. 그러기를 한 달, 환자가 드디어 입을 열었단다. "저기..... 당신도 버섯인가요?" 그렇게 말문을 연 환자는 버섯도 잠을 잘수 있다, 버섯도 약을 먹을수 있다라며 호응해주는 의사와 함께 열심히 잠도 자고 약도 먹으면서 치유했다고 한다.
정신 질환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로 오해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미디어에서는 스토리를 위해 정신 질환을 과장해 표현하기도 하고, 언론은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위해 정신 질환이 타인에게 주는 피해를 확대해서 보도하기도 합니다. 그 때문에 정신질환과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점차 악마화되었고, 대중들은 오해 속에 공포심을 갖기 시작했죠. 안 그래도 설 곳이 좁았던 정신 질환 환자들은 한걸음 더 밀려나게 된 것입니다.(p.8, 9)
정신질환도 그저 감기처럼 몸이 아픈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나도 당연히 맞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끔 전철에서 이상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우선 겁이 나긴 한다. 그리고 때론 조현병 환자들이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관심을 갖고 치료를 받는다면 병이 회복되고 나면 다 똑같은 삶을 살게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우리가 조금만 더 너그럽게 그들을 바라봐 주고 지속적인 치료를 할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한다면 함께 어울려 살수 있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많은 에피소드 중에 <호두나무의 약속>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저자의 어린시절 소꿉친구인 구이즈는 태어나자 마자 아빠를 사고로 잃었다. 그런데 그 시절 과부에 대한 시선이 그리 좋지 않아 사고로 남편을 잃었지만 이를 과부상이네, 역귀네 하는 말들이 오고 갔다고 했다. 구이즈 또한 아빠 없는 아니라고 놀리기도 했다고 한다. 아니 이것이 왜 놀림을 받아야만 하고 지탄을 받아야만 하는가. 그런데 종종 자신을 무시하던 사람들을 향해 구이즈의 엄마인 천아주머니가 평소엔 온화했던 분이 남편에게 빙의라도 된 듯 변하더란다. 그를 보고 사람들은 귀신이 씌었다며 더 멀리 했고 소문이 안좋게 나자 갑자기 구이즈와 천아주머니는 마을을 떠났다고 한다. 어른이 된 저자는 정신과 전문의가 되고 나서야 천아주머니는 악귀에 씐것이 아니라 히스테리성 빙의로, 흔한 히스테리성 발작 중 하나라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천아주머니가 재앙을 부른다는 역귀가 되었던건 무지몽매한 시대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시대는 변했다. 하지만 변하지 않고 예전의 무지몽매함을 지닌 사람들이 많다. 우리가 올바르게 성장하고 건강한 생각을 가졌다면 사고로 아빠를 잃은 아이에게 아빠가 없다고 놀리지도 않을 것이고, 얼굴이 보이지 않는 인터넷 세상에 산다고 함부로 대하지도 않을것이며, 믿음을 주는 사람들에게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
괜히 이야기가 어둡게 흘러 온것 같지만 이 이야기는 유쾌하게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많다. 제목처럼 정말로 이런 의사는 처음이다.
"우리는 신이 한 입 베어 문 사과처럼 누구나 결점을 갖고 있다.
만약 그 결점이 비교적 크다면 그것은 신이 특히나 그 사람의 향기를 좋아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