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가 틀렸어
미셸 뷔시 지음, 이선화 옮김 / 달콤한책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아기 얼굴이 너무나도 슬퍼보여서.. 마음이 아프고 시작했던 책인데,
'오우 이 작가 미셸 뷔시 괜찮네'라는 생각을 하면서 또 한명의 스토커질을 할 작가가 생겨버렸다. 어쩌면 이렇게 이야기가 짜임새가 있을까 싶다.
책을 읽으면서 그 내용에 한번 놀랬고, 계속되는 반전에 도무지 눈을 뗄수가 없다. 언젠가 나눔받은 책 중에 미셸 뷔시의 책 <절대
잊지마>라는 책이 있었는데 이 책도 얼른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할만큼 이 <엄마가 틀렸어>라는 책이 무척 마음에
든다.
세살배기 말론, 아마도 외국은 만나이를 쓰니까 이제 겨우 4살 혹은
5살의 어린이다. 아이가 커서 이 어릴적 기억을 문득 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다행히 그 기억을 지워버리고 살게 되면 좋겠지만 말이다.
말론은 자기 엄마가 진짜 엄마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래서 아망다를
'다 엄마'라고 부른다. 진짜 엄마와 구분하기 위해서. 아무도 말론의 이야기를 귀기울여 듣지 않는 가운데 오직 학교 심리 상담사 바질만이 말론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어릴때 성적으로
학대를 당한 사람이 기억을 묻어버리고 부정하며 성장했지만, 어른이 되어서 그 기억이 생생하게 떠올라 고통스러워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진짜
기억인지 가까 기억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무의식을 떠도는 환영이 있습니다. 마치 보이지 않는 충실한 수호천사처럼 평생을 따라 다니죠.
결국은 트라우마를 받아들이고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한 가지 방법밖에 없어요.
사랑입니다.
아이는 무엇보다 안전과 애정을 필요로 해요. 안정적인 생활, 자신을 보호해주는 성인에 대한 신괴. 트라우마를 끄집어내서 말하느냐, 숨겨두느냐는
사람에 비하면 중요하지 않아요. 엄마든 아빠든 아니면 그 누구라도 아이를 보호해주는 사람의 사랑, 그 사랑만 있다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
본문 中, p.79 -
이 글을 보더라도 아이들에게 사랑은 참 중요한 것 같다. 처음 이
책 초반 심리 삼당사 바질의 대사에 이런 말도 나오고, 혹시 말론이 아동학대를 당하는 것은 아닌가 걱정도 했다. 하지만 '다 엄마'는 말론을
사랑한다. 이 사건의 담당자인 마리안 경감은 한 강도 사건을 추적한다. 두 사건이 어느 순간 한 접점에서 기가 막히게 만나게 된다. 그래서
말론이 왜 엄마를 기다리는지, 말론의 진짜 엄마는 말론의 기억이 사라지지 않도록 어떤 방법을 썼는지, 말론은 왜 그리 구티에 집착을 하는지
말이다.
아이의 기억은 그리 오래가지 않는다고 했는데, 물론 아이가 자라면서
그 기억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진다고는 하지만 말론은 참 똑똑한 아이같다. 아니면 진짜 엄마와 떨어져 있기에 진짜 엄마를 만나기 위해 그 기억을
그렇게 오래 기다리고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엄마가 마법을 건것일까. 비행기에 타기
직전에 이 말을 해야 해. 네가 천 번도 넘게 연습한 말. 하지만 바로 그 순간에 말해야 해. 바로 이 말을 말론이 기억하는 순간 이 모든 계획은 완성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 순간 내 몸에도 소름이 돋았으니 말이다.
아무래도 진지하게 이 작가의 책을 수첩에 얼른 적어놔야할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