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린 미트 - 인간과 동물 모두를 구할 대담한 식량 혁명
폴 샤피로 지음, 이진구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지구에는 수많은 동물이 있다. 사자가 4만 마리라고 하면 가축용 돼지는 10억 마리, 코끼리가 50만 마리라면 가축용 소는 15억 마리, 펭귄은 5,000만 마리라면 닭은 500억 마리가 있다. 평상시에 사자, 돼지, 코끼리, 소, 펭귄, 닭... 이렇게 동물들의 종류만 생각했고 멸종 위기종의 동물에 대해서만 생각했지 가축용으로 길러지고 있는 동물들의 숫자는 한번도 생각하지 못했다. 전세계 인구들의 의식주를 풍족하게할 동물들이 이렇게 많은 숫자가 있으리라곤 생각하지 못했다. 그들의 복지를 염두해두지 않는 공장식 사육의 문제점만 생각했지 엄청난 숫자의 동물들이 희생을 당하고 있는지는 생각하지 못했다.
세계 인구가 늘어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육식을 선호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수요를 맞추기 위해선 더 많은 가축들이 희생되어야 하며 그 많은 가축들을 도축 기준에 맞도록 키우기엔 또 많은 사료들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만약 소에서 근위성 세포를 추출하여 배양액에서 넣어 증식시켜 실제 근육으로 자라게 한다면, 소 한마리에서 얻은 샘플 하나당 고기 20톤, 즉 소 40만 마리 분량의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맥도날드 쿼터파운더버거를 1억 7,500만개를 만들수 있는 양이다. 그런데 과연 실제로의 식감을 재현할수 있을까. 정말로 고기를 먹기 위해서 이렇게 해야 할 것인가라는 생각을 했다.
동물로부터 얻어지는 유제품이나 알류같은것도 전혀 섭취하지 않는 비건 정도라면 인정할수 있지만 어설픈 채식주의자들은 완전이 끊지도 못하면서 보이는 면에서만 동물을 사랑한다 하는 것인가라는 생각도 한다. 조금더 동물 복지에 힘쓰고, 억지로 사료를 먹여가며 지방간을 만들면서 요리하는 푸아그라 같은 것만을 외면하면 되지 않겠느냐 생각도 했다. 생태계에서도 먹고 먹히는 관계가 존재하는데 왜 굳이 인간들만 유난인가라는 생각도 하지 않은건 아니다.
하지만 읽으면서 인간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먹이 피라미드의 한쪽으로 비껴 서있는 존재인것만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먹이사슬내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동물을 빼내서 본인들의 욕심을 채우는 이들인것 같다. 내가 원하는 것은 그들의 고통이나 두려움을 생각하지 않고 오직 상품의 가치만을 따지는 냉혈한들이 아닌가. 언젠가 털코트를 위해 가죽이 상할까 기절시켜 가죽을 벗기는 장면, 구스다운을 위해 억지로 털을 뽑기도 하고 요리를 위해 지느러미만 자르고 상어를 그대로 바다로 쳐넣기도 한다. 지느러미가 잘린 상어는 헤엄도 치지 못하고 고통스럽게 죽는다고 한다.
비록 인간은 생명이 있고 감정이 있는 그들을 무참하게 저지르며 얻은 것들을 입고 먹고 하면서 우리는 과연 행복한 것이 맞을까. 발전하는 과학과 기술로 인간의 생명만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에 있는 모든 생명이 행복해지는 미래를 택하는 것이 맞는것 같다.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생명공학의 결정체, 클린 미트! 사육과 도살이 사라진 미래는 어떨까. 더 나은 지구를 위한 발걸음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