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몬 - 권여선 장편소설
권여선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그냥 보기에는 표지에 레몬이 약간 몽환적으로 보이더니, 형광등 아래서 사진을 찍고나니 레몬이 더 선명하게 보인다. 예쁘게 보이려고 한 것일까, 아니면 그 또한 담긴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이 책을 읽다보면 2002년 언니가 살해 당한거 외에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것은 없다. 경찰 조사를 받는 이는 있는데, 과연 그가 범인이 맞는 것인지... 드디어 오랫동안 열리지 않던 문이 열리고 노란 빛이 폭포수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듯했다. 노란 천사의 복수가 시작되었다. 레몬, 이라고 나는 의미 없이 중얼거렸다. 복수의 주문처럼 레몬, 레몬, 레몬이라고... 복수를 결심한 다언이, 과연 그 복수는 어떠한 것인지 언급은 없다. 아니, 직접적인 언급은 아니고 슬쩍 그 뜻을 내비친 것을 독자들은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 그렇다고 어렵지는 않다. 읽다보면 그냥 깨달아진다. 이 책을 보면서 마치 시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 속에 함축된 의미를 독자들은 알게 된다. 그야말로 절제미가 아주 뛰어나다고 할수 있겠다.
언니를 잃고 엄마와 다언이는 매우 힘들었다. 어린날 아빠는 교통사고로 돌아가셨기에 세상에는 엄마와 다언이 뿐이었다. 잠을 자다가 먹기만 하다가 일상으로 돌아가는건 너무나도 힘들었다. 엄마는 원래 언니의 이름은 혜은이었는데, 경상도 출신의 아빠가 늘상 해언아 해언아 불러대는 통에 언니의 이름은 혜은이가 되었다. 그런데, 엄마는 언니를 잃고 나서 언니의 이름에 집착을 했다. 혜은이가 아니라서 사고를 당했다고, 언니의 이름에 집착하더니 내 얼굴에서 자꾸만 언니의 얼굴을 찾는다. 그래서 성형을 했다. 한참을 흘러 언니가 사고를 당한 곳에 가볼수 있었다. 남겨진 피해자의 가족들의 고통이 고스란히 전해져 오고 있었다. 우리는 늘상 가해자의 인권만 생각을 한다. 그들의 가족을 위해 얼굴공개를 하지 않고, 그러면서 우리는 남겨진 피해자의 아픔은 생각하지 않는다. 다언은 눈물을 흘린다. 우는게 누구인지 모르면서, 앞으로 누구로 살게 될지 모르면서 울었다. 누군가 봄을 잃은 줄도 모르고 잃었듯이, 나는 내 삶을 잃은 줄도 모르고 잃었다.
나는 궁금하다. 우리 삶에는 정말 아무런 의미도 없는 걸까. 아무리 찾으려 해도, 지어내려 해도, 없는 건 없는 걸까. 그저 한만 남기는 세상인가. 혹시라도 살아 있다는 희열과 공포가 교차하고 평온과 위험이 뒤섞이는 생명 속에 있다는 것, 그것 자체가 의미일수는 없을까....(생략)... 찰나에 불과한 그 순간순간들이 삶의 의미일수는 없을까.(본문 中)
아직 잘 이 구절에 대해선 이해가 가지는 않는다. 워낙에 함축이 되어 있는 시를 잘 못읽어서 그런가. 이 책을 읽으면서 중반부터 마치 이 이야기는 시와 같다는 생각이 들기는 했다. 요즘 들어 조금 후에 그 시가 뜻하는 바가 문득문득 떠올라 다시 읽고 있는데, 시와 같은 이 소설도 생각날때 마다 다시 읽어봐야 할것 같다. 그럼 이 속에 숨겨져 있는 뜻을 더 잘 알게 되리라 생각된다.
그래도 다언이가 다시 일어서서 행복하게 살아갔으면 좋겠다. 비록 엄마와, 어린 혜은, 그리도 아무도 모를 죄책감과 기나닌 고독이 그녀의 곁을 지키더라도, 그녀가 잃어버린 삶을 부디 찾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