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요 엄마
김주영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목을 보자마자 끌렸다. 왜 "엄마"라는 단어를 보면 마음이 끌리는 것 같다. 내가 나이가 들어가고 엄마가 자꾸 약해져 가는 모습을 보니 그런 느낌이 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예전 신경숙 작가의 < 엄마를 부탁해 >를 읽었을 때 감정이 생각이 났다. 그저 내이야기 같아서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던 그런 기억...

 

"잘가요, 엄마"는 주인공인 내가 엄마의 유골을 뿌리면서 하는 말이다.

잘가요, 엄마. 안개처럼 씨앗처럼....

결혼식을 하지는 않았지만 두명의 남편을 맞이했던 어머니... 그래서 배다른 동생을 갖게 했던 어머니...그런 탓에 '나'는 어려서부터 고향을 떠나와 객지 생활을 했었다. '나'는 그것을 엄마 탓으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아우는 그런탓에 같은 엄마이지만 온전히 배다른 형에게 엄마를 빼앗겼다고 생각을 한다. 아우가 곁에서 모시지만 늘 엄마에게는 '형'밖에 없었다고.... '나'는 지인에게 알리지도 않고 그렇게 고향땅에 내려가서 병원비와 장례비를 대는 것으로 아들의 노릇을 다하는듯 그렇게 성의없이 어머니의 장례를 진행하고선 곧바로 서울로 올라오려 했지만...

 

아우와 고향 곳곳을 돌아다니며 옛추억을 더듬어본다. 아우에게 들은 이야기, 자신이 옛이야기를 생각해보면서 너무나도 가난했기에 그런 상황을 만들어준 자식들에게 너무나도 미안스러워 끝없이 희생만을 했던 엄마의 삶을 느끼게 된다.

 

예전에 엄마의 나이가 몇살인지 가늠했을때의 그때의 엄마 나이가 되고부터, 그리고 이제는 엄마의 보호자가 되는 입장으로 바뀌고 나서 왠지 모르게 더 애틋해지는 "엄마".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라는 것이 나도 과연 주인공과 같았을때 엄마에게 미처 미안하다 말할수 있는 후회를 만들어내지는 않았는지.. 나는 과연 "잘가요, 엄마"하면서 잘 보내드릴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세상에 그렇게 아무런 후회없이 잘보내드릴 자식은 없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참자 재인 가가 형사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도감이 꽤 있었고, 몰입도가 상당했던 그의 작품들과는 달리 약간 지루한감이 없지 않은듯 하나(나만 그렇게 느낀 것일런지도..) 나름 다른 측면의 한가지를 생각해보게끔 하는 작품이었다. 어쩌면 그의 소설을 읽으면서 브레이크 없이 계속 달리기만 했었던 나를 약간 속도를 줄이게끔 해주는것도 같다.

 

어느날 중년 부인이 목이 졸려 살해된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사건 자체가 주 이야기가 되지 않고 새로 이동한 가가 형사가 주변의 탐문수사를 하는 것으로 단편소설이 여러편 연결되어 있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마치 다른 이야기 같으면서도 한가지에 집중되게 하는 형식. 저자의 스토리 체계는 항상 신선하다. 피해자에게 주목하거나 가해자에게 주목하지 않고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 알리바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알게 모르게 경찰조사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까지 배려하는 모습이 매우 인간적이다. 어쨌거나 경찰조사를 받는 것은 그다지 기분 좋은 것은 아니다. 운전을 시작하면서 잘못한 것도 없는데 경찰을 보면 주눅이 드는 것과 똑같으려나.. 하지만 가가 형사는 그런 사람들 하나하나 그들의 사연까지도 고려하면서 배려를 잘해주고 또 사건과는 관계없지만 본인의 뛰어난 감각으로 그들의 문제점을 풀어주기도 한다.

 

모든 경찰들이 다 그러기를 바라지는 않치만서도 가해자의 인권보다는 피해자의 인권을 그리고 참고인 조사를 받는 이들의 인권을 고려해주는 그런 경찰들이 많이 계시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타 아줌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스기타 히로미 그림,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가 이런 동화를 썼다니... 조금 의심스럽기만 했다.

물론 이야기를 통해 사회의 이야기를 현란하게 비판하는 저자를 생각한다면 이런 이야기도 있을수 있다는 생각을 했지만 이제껏 읽었던 저자의 분위기와는 사뭇 달라서 조금은 낯설었다는...

 

특히 이 < 산타아줌마 >는 그의 다른 소설 < 짝사랑 >에서 언급이 된다. 그래서 이 이야기가 더욱더 궁금했다. 과연 또 그는 어떤 이야기를 < 산타 아줌마 >라는 이야기로 풀어나갈까 하고.. 헌데, 정말 놀라운 반전! 그림동화같은 이야기가 있을줄은....

 

어쩌면 더 큰 의미가 있는 책이기도 하다. 왜, 산타는 꼭 할아버지여만 하는가? 항상 그랬다. 산타하면 우리는 하얀 수염이 덥수룩한 풍만한 할아버지를 생각한다. 하지만 산타는 우리 아이들에게 아주 커다란 의미이다. 착한사람에게만 몰래 굴뚝타고 내려와서 선물을 주고 가는... 산타의 존재를 믿지 않는 우리딸도 크리스마스 시즌만 대면 언제 그랬냐는 듯.. 여전히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주고가기를 고대한다. 그런데 말이다. 왜 꼭 산타는 백인이어야만 하는가에 이 소설은 질문을 던진다. 아시아에서는 아시아 사람이 산타를 해야 어울리지 영어를 쓰는 백인 할아버지는 어울리지 않는다. 또, 아프리카에서는 흑인 할아버지가 또한 빨간색에 달려드는 맹수들을 피해 초록색 산타복을 입으면 된다. 지금 이시대에는 많은 일에서 남자, 여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그저 우리네 관습상 그렇게 나누는 것뿐이다.

 

참 짧은 이야기이고 간단한 책이지만 그 이면에는 많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리엣 1 - 관 속에서 만난 연인
앤 포티어 지음, 서현정 옮김 / 노블마인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재구성했다고 해야하나?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이야기가 이미 한 세기 전에 존재했으며, 그 실체가 살인과 복수, 저주였다는 사실에서 시작한다. 그래서 그 저주를 풀기위해 후손들이 나선다. 마치 불교의 윤회사상을 보는듯 하다. 1340년에 시에나에서 사랑을 키웠던 줄리에타와 로미오가 현재에서 다시 만나 운명적으로 사랑을 느끼게 된다. 마치 그들이 환생한것처럼...

 

현재의 줄리에타와 1340년의 줄리에타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묘사되면서 이야기는 진행된다. 600여년이 시간적 공간이 있긴했지만 그 둘 줄리에타는 다른듯 같아보인다. 1340년의 줄리에타는 로렌조 수사의 도움으로 로미오와의 사랑을 이뤄가기 위해 노력하지만 살림베니의 방해로 그둘을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다. 그리고 로렌조 수사에게는 가혹한 고문이 이어졌고, 그의 저주가 시작되었다.

 

현재의 줄리에타는 왜 부모님이 돌아가신후 자신이 이탈리아에서는 살 수 없이 쫓기듯 이모할머니와 쌍동이 동생 자노차와 미국에 왔는지, 로즈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남기신 편지를 근거삼아 엄마가 남겨준 보물을 찾게된다. 옛고문서를 쫓다가 만난 줄리에타에게서 자신의 가족들의 비밀을 찾아가게 된다. 믿었던 집사 움베르토에게 배신(?)을 아군인지 적군이지 구별가지 않는 안토니오에게 호감을...

 

순간 셰익스피어의 < 로미오와 줄리엣 >이라는 이야기보다 더 앞선 실제 이야기들이 있었다라는 착각이 들게했다. 그리고 후반부로 가면서 새롭게 밝혀지는 사실에 더욱더 흥미진진했다. 과연 사람들의 상상력을 어디까지일까?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했던 작품에 새로운 이야기가 덧붙여지는 것이 마냥 신기할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담 :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문학동네 청소년 13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들은 왜 괴담에 열광하는가?

굳이 청소년이라고 국한시키는 이유는 경험에서가 아닐까 싶다. 나도 예전엔 괴담을 많이 이야기했던것 같다. 청소년 시절 " 너 그거 알아? "부터 이야기가 시작된 괴담이야기.. 지금은 그다지 괴담이라는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것 같다. 이제 중학생이 된 딸아이가 친구들과 괴담이야기를 하며 무섭다고 하면서도 괴담이야기에 열을 올리는 것을 보면 어쩜 괴담은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해소의 돌파구가 아니었나 한다. 그래서인지 모르겠지만 이 책은 내게 예전에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만 같았다.

  

2012-09-24_13-47-55_200.jpg

 

두번째 아이는 사라져야 해. 그들이 첫 번째 아이를 없애고, 첫 번째 아이가 되기전에...

 

경쟁의 사회, 언제부터 우리 청소년들은 이런 경쟁의 사회에서 살게되었을까? 유독 청소년 자살도 많고, 학교 폭력도 많은 사회... 그래서랄까, 그래서 나와 경쟁이 되는 아이는, 혹은 나를 괴롭히는 아이는 이 세상에서 사라지게 하고픈 열망에서 만들어진 괴담.. 두번째 아이는 사라진다는...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더 무서운 것은 어떤 아이가 사라지게 되면 그 아이에 대한 기억도 다른 사람들에게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 대목에서 가장 섬뜩했던 것 같다. 단순히 두번째 아이만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를 기억하고 있는 모든 추억을 사라지게 하는, 이 세상에 존재했다는 사실마저 없애게 하는 무서운 괴담... 무엇이 그렇게 우리의 아이들을 잔혹하게 만들었을까? 메말라 가는 청소년들의 심리를 저자는 대변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었을까?

 

2012-09-24_13-48-14_896.jpg

 

저자의 책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다른 이야기는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아무래도 비슷하게 사춘기의 불안과 공포를 각렬하게 호러동화로 써내는듯하다. 그래서 관심이 간다. 그건 아마도 내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직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청소년들을 만나는 자리인지라, 그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충분히 이해할것만 같다. 나의 학창시절에서도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있었지만, 지금의 아이들이 느끼는 것은 그에 비할데가 아닌것 같다. 현재 아이들은 늘어난 학습량, 과열된 사교육, 그리고 갈팡질팡하는 교육정책들.. 그리고 예전에는 그다지 많지 않았지만 현재는 수면위로 드러나 꽤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들.. 그래서 아이들은 괴담에 더 열광하는지 모르겠다. 단순히 귀신이 4층 창문에서 길을 묻던 단순한 공포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경쟁자가 되는 아이는 이 세상 어디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수도 없게 잔혹함을 가진 이야기로...대리만족이라도 하려는 듯...

 

괴담.JPG < 여고괴담 中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로 대변되었던 그 옛날의 청소년 문제들. 1등을 강요하는 공부하는 기계뿐이라는 생각에 자살을 했던 그 이야기가 이제는 우정이 지독한 질투로 변했을 때, 서슴치 않고 그 우정을 흔적부터 없애버리고자 하는 무서운 사회가 되어 버렸다.

 

실제로는 흔적마저 없어지는 그런일을 없겠지만 정말로 두번째 아이가 사라지는 연못은 없겠지만, 흥미롭고 재미있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점점더 자신의 내적 갈등에서 빚어지는 것에서 남을 해쳐서라도 첫째 아이가 되고 싶다는 그런 사회상이 씁쓸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