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 13세기에서 21세기까지 그림을 통해 읽는 독서의 역사, 개정판
슈테판 볼만 지음, 조이한.김정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발칙하다.
이 제목을 처음 봤을 때의 느낌이다. 어쨰서 책읽는 여자는 위험하단 말인가?
하지만 부제로 따라오는 "13세기에서 21세기까지 그림을 통해 읽는 독서의 역사"라는 말을 보면 그럴듯도 하다.
13세기즈음이라고 하면 여성의 지위가 그다지 높지 않았을 터이다. 또한 여성은 한 인격체라기보다는 남성의 소유물정도로 인식되던 시기가 아니었을성 싶다. 따라서 소위 '책읽는 여자'는 사고를 하고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듯 어쩌면 남성이 주체가 되는 시기에는 당연히 위험한 존재였으리라.
남자는 여자에게서 지나치게 핵심을 꿰뚫어보는 능력을 보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저 여자의 본분은 책읽는 것이 아니라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는 것뿐이다. 18세기에조차 이러한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독서가 중요시되고 있다. 남자는 물론 여자들에게.. 아니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그 중요함이 대두되고 있다. 독서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얻을수도 있음은 물론 세상을 바로 볼수 있기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의 문제라고 하면 그 옛날 책읽는 여자들을 경계했던 것처럼 오늘날은 청소년들에게 책읽는 것을 경계하는 것만 같다. 물론 겉모양새는 그렇지 않다. 온갖 권장도서들과 독서인증제 등을 내세우며 독서를 강요하지만 실상은 여러 사교육과 집중이수제에 치여 아이들은 좀처럼 책을 읽을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 독서라는 것은 스스로 원하는 책을 읽을 때 사색과 더불어 독자의 배경지식으로 자리잡게 되는 것이지 강요로 인해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이 책에서 보여지는 그림들을 보면 그녀들에게 누구 하나 강요하지 않는것 같다. 오히려 독서하는 여성들의 편견때문에 더욱더 열정적으로 책을 읽는것 같다. 본의의 의지를 담아 이루어내는 것만큼 정열적인 것은 없다. 따라서 그 정열적인 것이 오히려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스로의 무서운 열정으로 자신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그녀들의 저력이 대단한 것이다. 겉으로는 평온해 보일수 있는 휴식같은 독서가 그 이면에는 상당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어느 누가 그 저력을 예상하며 독서를 하겠는가. 그저 단순하게 책읽는 기쁨에 빠져들었을 때 나도 모르게 그 사람의 경쟁력이 커져가는 것이다.
결코 책읽는 여자가 위험한 것이 아니다. 지금 이세대는 스스로 책읽는 자들이 위험함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