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무늬영원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회복하는 인간>에서 보여주는 회복에 관한 강한 거부는 되찾을수 없는 기억을 움켜쥐는 것과 같다.
끝끝내 회복하지 못한 언니와의 관계, 살아남은 자식으로서의 부채감, 오래되어 단단해진 내면의 상처. 그런 것들을 이렇게 담담하고 치열하게 그려낸다.
이따위... 라고 중얼거리면서.

<훈자>
가보지도 않았고 앞으로 갈 일도 없을 이국의 고산지대에 그토록 빠져들었을까.
퍽퍽하고 감당할 일 많은 현실도 그곳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무의식은 꿈으로 발현되는데.
신경이 곤두서는 불면의 감각이 잘 드러나 있다. 그래서 조금은 불편하다.

<에우로파>
무너진 자신를 일으켜 세우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어떤 작품 하나 빠지지 않고 감정의 너울이 넘실거린다. 조금 시무룩하게. 활기 찬 한강은 상상하기도 쉽진 않지만. :)

2015. Jun.

그해가 지나가기 전에, 당신은 늦은 밤 그녀의 방에서 물었다. 난 정말 모르겠어, 사람들이 어떻게 통념 속에서만 살아갈 수 있는지, 그런 삶을 어떻게 견딜 수 있는지. 당신에게 등을 돌린 채 화장을 지우고 있던 그녀의 얼굴이 거울 속에서 얼핏 어두워졌다. 거울을통해 당신의 눈을 마주 보며 그녀는 대꾸했다. 그렇게 생각하니, 하지만 그럴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통념 뒤에 숨을 수 있어서. - p. 20회복되는 인간 중

마침내 수술실에서 걸어나온 그녀는 울먹이는 당신을 위로하려고 했다. 커다란 멸균 가제와 반창고를 우스꽝스럽게 이마에 붙인 채 머뭇머뭇 반복해 말했다. 괜찮아. 진짜 금방 낫는대. 시간만 지나면 낫는대. 누구나 다 낫는대. - p. 31회복되는 인간 중

모든 통각들이 너무 허약하다고, 당신은 수차례 두 눈을 깜박이며 생각한다. 지금 당신이 겪는 어떤 것으로 부터도 회복되지 않개 해달라고, 차가운 흙이 더 차가워져 얼굴과 온몸에 딱딱하게 얼어붙게 해달라고, 제발 다시 이곳에서 몸을 일으키지 않게 해달라고, 당신은 누구를 향한 것도 아닌 기도를 입속으로 중얼거리고, 또 중얼거린다. - p. 34. 회복되는 인간 중

잊을 수 없는 여름밤의 한 순간이었다. 인아의 노래가 아름다웠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내가 청춘의 한복판에 있었기 때문도 아니었다. 그 순간 인아를 사랑하게 된 것은 더더욱 아니었다. 다만 인아의 노래가 갑자기 끝났을 때, 지난 20 여년 동안 억눌러왔던 생생한 갈망이 단박에 빗장을 끄르고 내 심장 밖으로 걸어 나온 것을, 그 어둡고 남루한 골목 한가운데서 나를 마주보며 서 있는 것을 알아 보았다. - p. 69. 에우로파 중

내 안에서는 가볼 수 있는데까지 다 가봤어. 밖으로 나가는 것 말고는 길이 없었어. 그걸 깨달은 순간 장례식이 끝났다는 걸 알았어. 더 이상 장례식을 치르듯 살 수 없다는 걸 알았어. 물론 난 여전히 사람을 믿지 않고 이 세계를 믿지 않아. 하지만 나 자신을 믿지 않는 것에 비하면, 그런 환멸을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할 수 있어. - p. 91. 에우로파 중

<파란 돌>

거긴 지낼 만한가요. 빗소리는 여전히 들을 만한가요. 영원히 가져오지 못하게 된 감자 생각은 잊었나요. 오래전 꾸었다던 꿈 속의 당신, 부풀어오른 팔로 파란 돌을 건지고 있나요. 물의 감촉이 느껴지나요. 햇빛이 느껴지나요. 살아 있다는 게 느껴지나요. 나도 여기서 느끼고 있어요 - p. 215

<노랑무늬영원>

놀라운 일은 그 직후부터 시작됐다. 가까스로 유예되고 있었던, 격렬하고 부정적인, 가장 원초적인 감정들이 밀려오기 시작한 것이다. 공포, 후회, 수치, 분노, 원망, 증오, 억울함, 비참함, 살의. 그리고 혼자라는 것. 철저히, 당연히, 언제까지든 혼자라는 것. - p. 240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15-06-24 23: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최고라 생각하는 단편집!

hellas 2015-06-24 23:58   좋아요 1 | URL
초식성인듯하지만 은근히 살벌한 육식성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보물선 2015-06-25 00: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그 의미를 되새겨 보고 싶네요. 다시 읽고 싶은 책이예요.

hellas 2015-06-25 00:18   좋아요 0 | URL
:)!!!!
 

이젠 좀 더 여유롭게 식사중.

나를 좀 더 관찰하는 느낌. 쟨 뭔가. 왜 나에게 먹을것을 가져다 바치는가. 뭐 이런.

이른바 야외 자율 급식 모드. 허겁지겁 배채우기 급급하던 지난주완 달리 적당히 먹고 나중에 또 찾아와 먹는 모양.

그런데 오늘 꼬리를 자세히 보니 끝 삼센치 정도가 아예 구부러져 굳어진 모양. 어쩌다 그랬는지. ㅡㅜ

여튼. 장마 땐 어쩔까나. 지붕이 없는 곳이라 그게 좀 걸린다.

2015.6.2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후즈음 2015-06-25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마동안 무사하길 ㅠㅠ

hellas 2015-06-25 00:11   좋아요 0 | URL
밥때만이라도 비가 안오길 바라고 있어요.
 
전락
필립 로스 지음, 박범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토록 강렬한 커튼콜이란.

바닥에 곤두박질 직전의 아슬아슬함이 문장의 마지막까지 전해져온다.

더 이상 무대에 설 수 없게 된 천재 배우의 추락.

단순한 재능의 소진이 아닌, 이제껏 자신을 지탱해오던 단단한 지지와 자기 존재의 상실이라고 할 수 있겠다.

3장으로 구성된(연극의 3막과 같은 느낌:)) 흔적도 없이, 변신, 마지막 연기가 마치 이 이야기를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는 느낌을 준다.

볼륨은 150 페이지로 얼마 되지 않지만 거대한 파도에 휩쓸린듯 몰입해서 끝까지 정신없이 읽게 된다.

거장은 역시 랄까. 일흔 여섯해의 공력이랄까.

뭐 그런 것이 느껴지는 짧고 강렬한 이야기다.

2015. Jun.

액슬러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 대신 주저앉고 말았다. 그의 몰락은 엄청났다. 최악은 그가 자신의 연기를 바라보듯 자신의 몰락을 바라본 것이었다. 고통이 정말 극심 했는데도 그는 그것이 진짜인지 의심했고, 그때문에 상황은 한층 더 악화 되었다. 그는 한 순간에서 다음 순간으로 어떻게 넘어가야 할지 알 수 없었다. 정신이 녹아내리는 것처럼 느껴졌고, 혼자 있는 것이 두려웠다. 밤에도 두세 시간 정도밖에 자지 못했고, 거의 먹지도 않았으며, 매일 다락방에 있는 총으로 자살할 생각만 했다. 그런데도 그 모든 게 일종의 연기, 아주 엉터리인 연기처럼 보였다. 무너져내리는 인물을 연기할 때 거기엔 체계와 질서가 있다. 그러나 무너져내리는 자신을 지켜보는 건, 자신의 종말을 연기하는 건 전혀 다른 일이다. 극도의 공포와 두려움으로 가득한 일이다. - p. 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평선 자락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안토니오 타부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재했다는 것은 존재와 비존재에 근본적으로 이질적인, 어떤 ˝제3의 종류˝에 나름의 방식으로 속한다. 라는 구절을 시작으로 지극히 중요하지 않은 어떤 죽음을 쫓는 이야기.

구체적인 서사가 없는 이야기이기에, 전체적인 느낌이 어떤지 묘사한다면 아마도 ˝피로˝ 였던것 같다.

나른하고 몽롱한 피로감.

이 책을 읽고나면 필연적으로 느껴질듯.

좋다 말다를 표현하기 애매한데, 이 전의 타부키는 매우 좋았으므로, 다시 읽어볼수밖에...

2015. Jun.

존재했다는 것은 존재와 비존재에 근본적으로 이질적인, 어떤 "제3의 종류"에 나름의 방식으로 속한다. - p. 9

스피노는 헤카베에 대한 질문을 썼던 종이를 테라스의 빨랫줄에 집게로 매달았다. 그리고 원래 자리로 돌아와 앉아서 그걸 바라보았다. 종이는 세찬 바람에 깃발처럼 펄럭였다. 그것은 드리워지고 있던 밤에 대항하는 선명한, 바스락거리는 얼룩이었다. 그는 희뿌연 어둠 속에서 흔들리는 종이와 아주 서서히 어둠으로 해체되어가는 수평선 자락 사이의 연결을 다시 구축하면서, 그 종이를 오랫동안 그윽이 바라 보았다. 그는 천천히 몸을 일으켰다. 엄청난 피로가 엄습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마치 어린시절로 돌아가듯 그의 손을 침대로 이끈 것은, 조용하고 평화로운 피곤이었다. - p. 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료를 잘 먹어 그런가.

예뻐진것 같기도. >_< 팔불출!

2015. 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