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행위
하워드 제이콥슨 지음, 신선해 옮김 / 은행나무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사랑의 행위>는 영국에서 가장 지적인 작가이자 맨부커상 수상작가로 불린다는 하워드 제이콥슨의 작품입니다. 이 책을 만나기 전에는 작가나 그의 명성 혹은 그의 작품에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작가가 보여주고자 했던 도발적인 사랑이 무엇일까? 그것이 사랑이라면 과연 어떤 사랑일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작가는 주인공이 바라보는 시점으로 독자가 함께하기를 바란것 같습니다. 주인공에게 사랑이란, 우리가 생각하는 보통의 사랑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죽음 그리고 무덤에서 시작해서 죽음과 무덤에서 이 책은 끝이 납니다. 그리고 오후 4시. 아주 특별한 시간. 그 시간은 주인공과 독자에게 하나의 질문을 던져줍니다. 그 질문은 그 어떤 하나로 정형화 시키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다만 사랑은 다양하다는 것.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말도 안되지만 그 누군가에게는 그 어떤 형태의 사랑도 가능하다는 것. 바로 그런 사랑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한 여자를 사랑하면서 그녀가 다른 사람의 품에 안긴 모습을 상상해 보지 않은 남자는 없다.' - p. 55

 

  


내게 있어 <사랑의 행위>와 같은 책은 읽기가 조금 힘든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페이지가 넘어가면 넘어 갈수록 그 미묘한 끌림이 이 책을 놓지 못하게 만듭니다. 그의 사랑은 마조히즘이나 관음증 혹은 변태라는 단어에서 찾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보는 방향에 따라 사디즘을 그의 사랑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내의 외도를 바라는 주인공. 다른 사람의 품에 안긴 모습을 상상해 보지 않은 남자는 없다고 하는데...    


 

  나는 그의 불안이 부러웠다. 내 불안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너무 많이 불안할 수 없었기 때문에. - p. 73

  '기대보다 많은 것을 줘서 한 사람을 놀라게 하는 것보다 더 달콤한 쾌락은 없다.' - p. 251

  난 많은 걸 바라지 않았다. 그들이 서로 사랑하기만 하면 되었다. - p. 266

 

  

 


비틀린 쾌락? 아니 그의 사랑에는 분명 쾌락의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내의 외도를 바라는 것은 그의 사랑이였습니다. '그리고 그래서 그다음엔' 이라는 끝이 없이 이어지는 그의 사랑은 어쩌면 일반적인 시선으로는 정신병이나 그 이상의 무엇으로 이야기해야 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책을 덮은 지금은 내가 보는 주인공의 사랑은 그 무엇으로 끝이 나던 '그래 그건 사랑이였어' 라고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그게 주인공의 사랑이고 내가 공감을 하더라도 주인공의 역할을 대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역시 사랑은 너무나 크고 깊고 다양하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사랑하라. 사랑하라. 진심이든 사랑하라. 마법의 주문이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height=90 src="http://api.v.daum.net/widget2?nid=52208944" frameBorder=no width=76 allowTransparency scrolling=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위쳐 : 운명의 검 - 상 위쳐
안제이 사프콥스키 지음, 함미라 옮김 / 제우미디어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처 : 운명의 검>은 북유럽 판타지를 만나보지 않은 독자에게 조금 낯설 수 있지만 조금만 살펴보면 <반지의 제왕>이나 게임 <월드오브워크래프트> 처럼 이미 알고 있는 신비로운 신화 속 이야기를 가득 담고 있습니다. 인간을 비롯하여 엘프, 드워프, 괴물과 트롤, 용과 그리핀, 마법사와 돌연변이 등 다양한 등장인물의 활약상은 북유럽 판타지의 세계로 빠져들게 만듭니다.  


이 책의 주인공 게롤트는 돌연변이 인간이자 위처입니다. 위처는 세상 이곳저곳을 떠돌아 다니며 괴물을 죽이는 대가로 돈을 버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돈을 받고 괴물을 죽이는 위처지만 자신만의 신념을 가지고 행동합니다.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인지 모호한 세상 속에서 옳다고 믿는 일에 신념과 운명의 검을 휘두르고 있습니다. 그 신념 앞에 전설의 용 '빌렌트레텐메르트'를 만나며 자신의 신념이 어디로 향하는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는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위처와 용의 만남은 독자로 하여금 선과 악에 대해, 신념에 대해 생각해보라는 질문을 던지기도 합니다.


위처와 주변 인물의 활약은 액션과 미스터리로 가득하지만 무엇보다 매혹적인 여자 마법사 예니퍼와의 러브라인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처로서의 케롤트가 아닌 인간으로서 예니퍼와의 사랑과 갈등은 지금 이시대 우리네와 별반 다르지 않나 싶기도하고 너무 앞선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인간과 다양한 괴물 그리고 돌연변이 등을 만나는 북유럽 판타지 <위처 : 운명의 검 상>을 통해 신비로운 북유럽 신화를 만난 것 같습니다. 다만, 전개가 조금 더 빨랐다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아직 <위처 : 운명의 검 하>는 만나보지 못했지만 그곳에서는 좀 더 빠른 전개를 기대해 봅니다.

 

 

height=90 src="http://api.v.daum.net/widget2?nid=52164709" frameBorder=no width=76 allowTransparency scrolling=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트렌드 코리아 2014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4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를 알고 싶다는 생각은 누구나 한 번쯤 해보았을 것입니다. 미래학자는 다가올 가까운 미래부터 먼 미래까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여러 상황을 토대로 미래를 예측해 나간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생각해보면 나를 비롯한 우리주변의 수많은 사람들이 미래를 예측하고 활동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정에서 혹은 직장에서 필요에 의해 내일을 준비하고, 일년을 준비하며 미래를 설계해 나가고 있으니 말입니다.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앨런 케이는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미래를 만들어 간다는 것은 어쩌면 그만한 열정과 힘이 있는 누구에게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 소비트렌드에 대해 매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예측을 하는 그룹이 여럿 있을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 2014년 전망을 다룬 <트렌드 코리아 2014>를 만나보았습니다. 서문을 통해 한국 경제 성장의 현실과 글로벌 시장의 경계가 무너져 소비자들의 구매트렌드가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또한 2014년 갑오년 푸른 말의 해에 사회 제반 현상 중 자리를 잡을 것으로 예측되는 10대 키워드를 '다크호스 Dark Horses'로 선정하여 들려주게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문에 들어서면 1부와 2부로 나눠 1부에서는 지난 2013년 소비트렌드에 대한 회고를 만나보고, 2부에서는 이제 시작인 2014년 소비트렌드에 대해 전망해 보고 있습니다. 불안, 불신, 불확실의 2013년을 지나면서 만났던 다양한 이슈와 2013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였던 COBRA TWIST를 통해 뒤돌아보며 다시 찾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부를 시작하기 전 만나본 '신조어로 돌아본 2013'은 이 책에서 잠시 쉬어가는 코너라고 생각해도 좋을 것 같고 또 생각에 따라서는 신조어를 통해 2013년 소비트렌드를 함축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간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2부에서는 수많은 불안요소를 떨쳐버리지 못하고 맞이한 2014년을 나라살림, 행정, 제도, IT와 기술전망 그리고문화, 생활 등 전반적 경제 전망을 시작으로 2014년 10대 키워드인 DARK HORSES 처럼 돌파구를 마련하여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한 해를 만들어보자며 포문을 열고 있습니다. 시대가 변화면 문화도 변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인지 DARK HORSES의 첫 시작은 'Dear, got swag?'로 참을 수 없는 '스웨그'의 가벼움 이라는 주제로 문화에서 기술로 그리고 이를 반영한 트렌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10대 키워드를 타이틀과 함께 핵심에 대한 요점 정리를 해주고 키워드에 대한 소비트렌드를 예측해봅니다. 그리고 이 소비트렌드가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정리를 잊지 않고 있습니다.

 

내일이 두려운 사람, 기업 그리고 나라는 아마도 다가오는 변화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미래를 스스로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다양한 분야중에 소비트렌드에 대한 분석으로 미리 만나본 <트렌드 코리아 2014>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회사원으로서 내가 하고 있는 것과 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똑같지는 않지만 그리고 모두 같은 생각은 아니지만 10대 키워드를 통해 내가 취할 수 있는 것을 충분히 얻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10대 키워드를 통해 나 개인과 내가 다니는 회사에 응용하여 다가올 변화를 준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트렌드 코리아 2014>가 제시한 10대 키워드가 맞거나 틀리는 것은 내가, 우리가 그리고 기업이, 나라가 어떻게 미래를 만들어 나가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책을 내려놓으며 어둡거나 힘겨운 것은 잠시 내려놓고 10대 키워드에 다시한번 빠져봅니다.

 

 

height=90 src="http://api.v.daum.net/widget2?nid=52101273" frameBorder=no width=76 allowTransparency scrolling=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고전에서 명상을 만나다 - 우리 고전에서 세상을 읽고, 명상으로 나를 만난다
손기원 지음 / 새로운제안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최근 고전에서 답을 찾고자하는 사람들이 참으로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서점에서도 도서관에서도 그 어느때보다 옛사람들의 가르침을 받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분들을 많이 봅니다. 오늘은 고전에서 삶의 지혜와 함께 마음을 다스리는 한 권의 책 <고전에서 명상을 만나다>를 만나보았습니다.

 

<고전에서 명상을 만나다>는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주역과 성학십도와 같은 고전에서 하늘과 사람에 관한 진리 탐구와 진리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으로 뿌리를 찾고자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명상법을 소개하며 좀 더 한국인에 맞는 명상법에 대해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명상으로 나아가는 길에는 항상 진리학습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여러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명상법은 결국 진리를 향한다는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둘은 결국 하나가 되어야 참된 진리, 참된 명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명상을 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앉아서 한다고 알고 있지만 저자는 앉아서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외에도 걷거나 누워서 명상하는 방법등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 어떤 명상법이라고 해도 자신에게 가장 맞는 명상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도 빼놓지 않고 말입니다. 명상이라고하면 아무 생각도 하지 않거나, 나를 찾거나, 좀 더 나아가 우주와 하나 된다는 큰 명제를 던지기도 합니다. 명상에 있어 자세와 함께 호흡법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였는데 저자는 '자연호흡'이 가장 좋은 호흡법이라고 합니다. 몸이 이완되고 마음이 편안해져 자연스럽게 호흡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몸을 그냥 맡긴다(?)라고 생각하면 맞는 것 같습니다. 5장에서 한국인에 적합하다는 지혜인 명상법에 대하여 자세와 호흡법 그리고 집중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명상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집중이라는 것도 빼놓지 않구 말입니다.

 

그런데 명상에 대해 잘 모르는 내게 다른 것은 몰라도 맹자가 한 말씀에 내가 찾는 명상이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놓쳐버린 마음을 찾는 것이 나에게 있어 명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손에서 내려놓고도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것은 욕심으로 가득한 마음이 차지하고 있는데 그것을 어찌하지 못하기도 하지만 아직 명상에 기운을 제대로 받지 못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람이 닭이나 개를 잃어버리면 찾으러 갈 줄 알면서, 마음을 놓쳐버리고는 찾을 줄 모른다. 학문의 도란 다름 아닌 그 놓쳐버린 마음을 찾는 것일 뿐이다." - p. 94

 

 지혜인 명상에서는 '나 자신에게 마음을 온전히 집중하는 것'으로 명상을 단순하게 정의했었다. 그만큼 명상은 집중이 중요한 것이다. 호흡법도 사실은 집중을 위한 것이며, 집중이 되면 호흡도 저절로 바르게 된다. - p. 241

  

  

몸과 마음이 지쳐있는 사람들이 찾는 쉼터와 같은 곳. 지난 한 해 그 어느때보다 '힐링'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했습니다. 사람에 따라 쉽게 명상을 할 수 있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와같이 명상에 힘겨운 사람도 꾸준히 지속적으로하다보면 분명 나에게 가장 알맞은 명상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자가 소개하는 지혜인 명상법이 될 수도 아니면 다른 명상법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바로 명상을 시작했으면 하루라도 더 빨랐겠지만 오늘부터 다시 새롭게 시작해보렵니다. 내 몸과 마음의 힐링을 위하여 온전한 나를 찾고자 시작해 보렵니다.

 

 

 

  height=90 src="http://api.v.daum.net/widget2?nid=52045097" frameBorder=no width=76 allowTransparency scrolling=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을 찾아서
실비아 곤잘레스 기라도 지음, 데이비드 가르시아 포레스 외 그림, 이소영 옮김 / 아르볼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지난 9월 카르메시나 첫 번째 이야기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의 도시 http://blog.daum.net/happy.new/799>에 이어 이번에는 두 번째 이야기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을 찾아서>를 만나보았습니다. 카르메시나와 함께 떠나는 여행은 회색을 시작으로 잃어버린 열 한가지 색을 만나봅니다. 그리고 여행을 마치며 카르메시나는 자신이 잃어버린 색깔이 무엇인지,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깨닫게 되는 모험을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습니다. 

 

이 책을 좀 더 쉽게 만날 수 있도록 등장인물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의 도시>에서 만난 주인공들입니다. 물론 카르메시나의 친구 검은 고양이가 상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여행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색깔 없는 세상.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세상은 색깔을 잃은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나는 기억을 합니다. 그리고 카르메시나와 검은 고양이는 기억을 합니다. 이제는 카르메시나 자신이 가지고 있던 색깔을 찾아 나서 여행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 여행에 검은 고양이가 함께 합니다.       

 

그 색깔은 희망이나 용기 등 여러가지 이야기로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카르메시나에게 그것은 창조적인 일을 만드는 중요한 원인이 되는 기발한 생각. 바로 영감일 것입니다. 카르메시나에게서 사라져버린 영감을 찾아, 잃어버린 색깔을 찾아 떠나는 여행으로 동참해 봅니다.

 

 

 

 

카르메시나는 자신이 찾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고민합니다. 열정과 영감 그리고 무엇을 찾아야 할까요?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의 도시>에서 검은 고양이가 들려준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그렸던 세라핀을 여행에서 만나면서 옛 기억을 떠올려 보기도합니다. 그리고 깨닫습니다. 가끔은 머리로 생각하는 것보다 마음이 움직이는 대로 하는 것이 더 낳은 경우도 있다는 것을 말입니다. 또한 용기가 있다면 영감을 다시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림을 잘 그리는지 못 그리는지보다 마음이 가는 곳으로 가다보면 영감은 자연스럽게 되돌아 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을 찾아서>는 누구와 싸워야 하는지, 그 누구가 어쩌면 자기 자신일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누구와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지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그러면서 카르메시나는 삶에 필요한 용기나 열정 혹은 영감, 교휸 등이 인생 곳곳에 숨어 있거나 가까이 있음을 스스로 깨닫게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그 가까이에는 두려움과 같은 가지고 싶지 않은 것도 있지만 이것은 삶에 한 부분임을 인정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또다른 무언가를 제시하기도 한다는 것도 보여줍니다.  

 

 

 

 

잃어버린 색깔을 찾아다닌 여행에서 마음속에서 자라난 지혜를 얻습니다. 답을 찾지 못하는 경우 그 답은 생각보다 더 가까이 있다는 것도 말입니다. 카르메시나가 만난 모든 색깔을 모으면 바로 검은색이 된다고 합니다. 검은색? 모든 것은 바로 거기서 시작한다는 것을 그리고 그것은 모든 것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느끼는 희망이나 절망도 말입니다.  

 

 

 

 

<카르메시나 - 잃어버린 색깔을 찾아서>는 어른들과 청소년을 위한 동화입니다. 아니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색깔을 찾고 싶은 이라면 읽어볼만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height=90 src="http://api.v.daum.net/widget2?nid=51991917" frameBorder=no width=76 allowTransparency scrolling=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