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양장)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선물하고 싶은 책이 한 권 더 생겼습니다. 이번 주에 만난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이 바로 그 책 입니다. 사람에 따라 그냥 유명한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 책 중  한 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내게는 고민을 들어주는 공간과 사람의 잔잔한 감동 그리고 가슴 훈훈한 이야기를 만나고 정서적 힐링을 받았다고 할 수  있는 책이였습니다.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은 아동보호시설 환광원과 보이지 않는 끈으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기묘한 공간 나미야 잡화점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입니다. 나미야 잡화점은 처음부터 '고민'이라는 뜻의 나야미를 해결해주거나 상담해주는 공간은 아니였습니다. 그렇지만 고민이나 이야기를 들어주기만 해도 고마운 사람이 있는 것처럼 나미야 잡화점은 그런 이야기를 들어주고 진진한 답을 보내주는 공간입니다. 그 공간의 기묘함은 그냥 고민을 들어준다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나미야 잡화점의 안과 밖이 서로 다른 시공이 존재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힘이 존재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삼인조 도둑 쇼타, 고헤이, 아쓰야의 방문으로 9월 13일의 기적은 시작합니다. 나미야 잡화점에서의 고민 편지는 달 토끼, 생선 가게 뮤지션, 폴 레논, 길 잃은 강아지의 에피소드를 담고 있습니다. 나미야 잡화점의 앞쪽 셔터 우편함을 통해 고민 편지를 전달하면 뒷문 우유 상자를 통한 고민 편지에 대한 답장을 전달합니다. 고민에 대한 답장은 언제나 열심히 머리를 짜서 답장을 합니다. 인간의 마음은 열고자 한다면 서로 어떻게든 연결이 되는 것 같습니다. 시공을 떠난 편지는 그들을 묶어줍니다. 모든 것은 자신 혼자서 이루어 낼 수는 없다는 것을 담은 교훈을 만납니다. 알게 모르게 그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인조 도둑으로 시작한 이야기는 강강술레와 같이 서로 엮여서 다시 그들의 이야기로 환광원과 나미야 잡화점이 연결된 것을 봅니다.

 

내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이 있다면 좋겠습니다. 아니 생각해보면 내가 스스로를 이야기하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달 토끼, 생선 가게 뮤지션, 폴 레논, 길 잃은 강아지도 그렇기 때문에 속은 셈 치고 나미야 잡화점에 고민 편지를 보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는 고민이 있을 때 그런 고민을 들어줄 사람, 그런 고민에 대해 진진하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에게나 필요할 것입니다.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이 바로 그것을 담고 있습니다. 내 주변에도 이런 곳이 있었으면 합니다. 아니 어쩌면 있어도 고민 편지를 보내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가 된 청소부 - 1987년 칼데콧 수상작 뜨인돌 그림책 35
아서 요링크스 글, 리처드 이겔스키 그림, 고은진 옮김 / 뜨인돌어린이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새가 된 청소부>는 그림책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칼테콧 수상작품 입니다. 일하지 않아도 실컷 먹고 놀 수 있는 좋은 곳으로 안내해주는 이 책은 <피노키오>에서 만나는 몇몇 장면과 <소가 된 게으름뱅이>를 연상하게 만듭니다. 또한 <두더지 실랑>에서의 얻은 교훈까지 함께 담고 있습니다.

 

착하고 부지런한 남자 알과 그의 하나뿐인 가족 에디. 에디는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개 입니다. 욕심이 없다는 그 무엇하나 부러울 것이 없는 생활에 단조로움을 깨는 것은 에디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아주 커다란 새가 알 앞에 나타났습니다. 그리고는 일하지 않아도 실컷 먹고 놀 수 있는 멋진 곳으로 안내한다고 합니다. 생각 같아서는 나도 그 커다란 새를 따라가고 싶습니다. 알과 에디는 어떻게 했을까요? 어쩌면 여기까지는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커다란 새는 알과 에디를 <천공의 성 라퓨타>와 같은 하늘에 떠있는 신비한 섬을 향해 날아갔습니다. 그 섬은 자세히 보니 새의 얼굴을 하고 있는 바위가 보입니다. 아무래도 커다란 새와 관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세상 어디에도 없을 그러한 신비한 섬에 알과 에디는 감탄했습니다. 그리고 신비한 섬의 모든 새들이 둘을 반겨주었습니다. 그런데 온통 새만 가득한 것 같습니다. 아니 날아다니는 나비도 있습니다. 평생 폭포수 아래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즐기며 살고 싶은 생각이 들게 만듭니다. 알과 에디도 점점 그 생활에 익숙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말 일하지 않아도 실컷 먹고 놀 수 있는 좋은 곳이라는 신비한 섬이 존재할까요? 알과 에디는 이후 무언가를 깨닫습니다. 더 늦기전에 신비한 섬에서 결단을 내려야 할 것 같습니다. 알과 에디는 어떤 결정을 했을까요? 알과 에디에게 천국은 과연 어디이고, 행복은 무엇일까요? 

 

 

 

틈틈이 동화책을 만나는 시간은 매우 행복합니다. 간결한 글과 이해를 돕는 삽화는 동화책 읽기를 더욱 행복하게 만들어 줍니다. 간결하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교훈은 그 어느 교과서나 지침서보다 감동과 교훈을 주기 때문입니다. <새가 된 청소부>가 칼데콧 수상작이라는 것에 그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교훈 속에서도 아주 가끔 내 머리속의 공상은 그런 곳을 찾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장면으로 읽는 세계 명작선 2
알퐁스 도데 외 지음, 박정임 옮김 / 부광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세계 명작 9편을 담은 책 <명장면으로 읽는 세계 명작선 2>를 만났습니다. 1권 속에 담겨있는 작품들은 직접 읽어보았거나 들어본 제목 혹은 작가였지만, 2권에서는 벤저민 프랭클린을 제외하면 작가 뿐만 아니라 제목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러서인지 책과 좀 더 친해지고 더욱 열심히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세계 명작 9편을 명장면만을 따로 모아 놓아서인지 그것만으로도 단편집을 묶어놓은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그중에서도 최근 학교폭력이나 성폭력에 대한 이슈 떄문인지 모르지만 <신체검사>를 읽으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있어 학생과 교사에 대한 힘의 균형을 생각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어머니 이야기>에서는 나의 할머니 그리고 어렸을 때 들려주던 동네 삼촌이 생각나게 만드는 작품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끊임없이 들려주던 옛날이야기와 세상이야기가 사뭇 비슷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나의 소년시절>은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 중 어린시절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의 자서전 중에서도 일부를 옅보면서도 그의 삶이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성향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외의 작품들에서도 명장면을 담아서인지 분량을 조절했음에도 크고 작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작품마다 차이는 있지만 분량을 좀 더 넣어 만날 수 있었어도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대략적인 내용을 알았으니 제대로 읽고 싶은 작품을 뽑아 만나보아야겠습니다. 미리 만나보는 명작으로 생각해도 좋은 묶음집이였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의 찬미
손승휘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랑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님을 다시한번 알 수 있는 책 <사의 찬미>를 만나보았습니다. 윤심덕과 김우진의 시대를 초월한 사랑이야기에서 인생은 참옥할 수 있어도 사랑만큼은 참혹한 법이 없다는 저자의 말씀에 공감을 합니다.

 

어떤 사랑을 이야기하던 당사자들에게는 그들만의 사랑이야기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둘의 사랑에 있어 다른이들의 희극이나 비극은 단지 하나의 이야기로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책을 읽는 동안 이들의 사랑이 안타깝기는 했지만 어쩌면 그건 내가 바라보는 관점에서 그렇고 그들에게는 그 사랑이 그들을 지켜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나 아닌 다른 사람과 있어도 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다는 그 사랑에 우리가 말하는 사랑과 너무나 그 사랑이 다름에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2012년 기훈과 나타샤의 만남을 시작으로 1920년 심덕과 우진의 이야기로의 이들의 사랑이야기에 대한 여행을 시작합니다. 심덕과 우진은 나무와 바람에 비유되며 머무는 사랑과 주위를 맴도는 사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라만 보아도 좋은 사랑이 있다면 심덕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대를 떠나 심덕의 사랑은 결코 부끄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녀의 사랑에 안타까우면서도 그녀의 사랑에 응원을 보냅니다. 사랑을 제대로 하냐, 마냐는 그녀의 사랑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냥 사랑하는 것으로 족하다고 하니 그 사랑에 다시한번 응원을 보냅니다. 누가 응원을 보내던 그렇지 않던 변하지 않을 그녀의 사랑이겠지만 말입니다.

 

편지와 일기를 통해 그녀의 사랑을 만나고 왔습니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라는데 두 사람의 사랑에서도 선택이 필요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나의 사랑도, 나만의 방식으로 사랑에 만족하고 더 충실해야겠다는 생각을 두 사람의 사랑에서 배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캐주얼 베이컨시 세트 - 전2권
조앤 K. 롤링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수첩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해리포터> 시리즈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해리포터> 시리즈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로 급부상한 조앤 K.롤링의 5년만의 신작 <캐주얼 베이컨시>는 만나보았습니다. 작가의 첫 번째 성인 소설이라고 하는데 이런 부분에서 '아직 내가 성인이 되려면 멀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였습니다.

 

조용한 시골 마을 패그포드. 자치의원 배리 페어브라더의 죽음으로 시작하는 마을의 변화는 융화와 갈등으로 사람들의 심리를 적나라하게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한 남자의 죽음으로 갑작스런 공석이 되어버린 자치의원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나름의 이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지만 어쩌면 우리들의 모습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옳고 그름의 기준이 너무나 현실적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니 어쩌면 이상적인 기준을 가지고 자신만이 자치의원 자리에 어울리고 그 역할을 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꼭 영웅놀이를 하는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자신만이 진정한 영웅이라고 하는 것처럼...  

 

책을 펼쳐 읽기 시작하면서 너무나도 구체적이며 상세한 인물과 배경의 조합 그리고 심리묘사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유사성과 함께 오히려 너무 섬세한 것으로 인한 이질감을 받게 만들었습니다. 현실을 도피하고 싶거나 부정하고 싶기 때문에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무엇보다 나처럼 깊이 있게 집중할 수 없는 독자들에게는 너무 힘겨운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첨삭으로 되어있는 '패그포드 인물 관계도'가 있어 그나마 인물에 대해 서로 엮여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기에 수시로 인물 관계도를 살펴보아야 했고, 내게있어 책읽기의 가속은 아무 소용도 진전도 없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지치고 어렵게 느껴졌던 책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다시한번 읽는다면 작가의 깊이있는 심리묘사에 감탄을하며 읽을수도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 시간을 두고 아무 생각없이 이 책에만 올인해서 읽을 때가 오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