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문의 시작과 끝을 여닫는 대학·중용 ㅣ 옛글의 향기 5
주희 지음, 최상용 옮김 / 일상이상 / 2018년 8월
평점 :
개인적으로 역사를 좋아합니다. 그래서인지 관련 책도, 사극도
매우 좋아라 합니다.
사극을 보다보면 관료들이 종종 <대학>과,<중용>을 인용하며
정치와 이치에 관해 논하는 것을 보곤 합니다. 그 때는 왠지 멋있으면
서도 이런 생각을 하곤 했습니다.
"그렇게나 좋은 말씀을 알고 있음에도 그들의 행실은 왜 저럴까?"
라는 생각을요. 그러면서 궁금했습니다. 이렇게나 좋은 문장들
이 있는 <대학>과 <중용>을 읽어보겠노라고요.
시간이 흘러 생각했던 대로 이 책들을 만나게 됐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너무 어려워 읽다 포기했던 책들이 손에 꼽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달랐습니다. 저자 스스로 원문에 담긴 본연의
뜻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매우 신경을 썼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읽어보면 생각해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 저자의 정성이
느껴지는 부분이 었습니다.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는 <대학>을 본다음 <논어>를 읽고
<맹자>를 읽으면 <중용>의 반절은 마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논어와 맹자가 아무래도 더 익숙하기에 이 책은 듣기만 했지
어쩔 수 없이 주희가 말한 순서대로 읽지는 못하지만 이 책들은
연결되 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가 이 책에서 더욱 눈길이 간 것은 중용보다는 대학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물질만능주의 시대에 있는 지금의 시대에 대학은
물질에 대한 경계에 대한 글이 많아서였습니다.
"재물을 모으려들면 민심이 흩어지고, 재물을 잘 배분하면 민심이
한데 모인다"라는 대학의 글은 왠지 현재의 시대를 관통하는
문장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으니까요.
어릴 적 부모님에게 항상 들었던 말이 사람답게 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책에는 사람됨을 밝히는 글들이 많기에 저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혼란하고 마음이 어지러운 시기에 고전만큼 좋은 것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시대는 달라졌어도 사람의 본성은 변하지 않았으니까요.
저는 이 책을 읽으며 마음가짐과 삶의 태도에 대해 성찰했습니다.
좋은 시간을 가지게 된 거죠. 앞으로 자주 고전을 읽고 자아를 개발
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며 책을 마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