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를 위한 집필 안내서 - 궁금하지만 물어볼 수 없었던 작가와 출판에 대한 이야기
정혜윤 지음 / SISO / 2018년 6월
평점 :
이 책을 읽은 나는 '1권의 책'을 낸 '신인 작가'이다.
그래서 이 책은 특별했다. 두 번째 원고를 쓰기까지 소강상태와 슬럼프에
빠졌을때 새로운 에너지와 동기부여를 주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저자는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200권이 넘는 책을
교정, 교열, 윤문,리라이팅, 대필 등 다양한 직업으로
이름은 다르지만 '글'과 함께 살아온 전문가이다.
그녀는 이 책에서
책쓰기의 기술 보다는 책을 쓰는
마음가짐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그 동안
느껴왔던 예비작가들에 대한 아쉬움에 대한 마음들. 그리고
그들이 알아야 할 것들을 이 책에 담아냈다.
신인 작가여서 그런지 몰라도 내 입장에서 이 책은 특별하게
다가왔다. 원고를 쓰고 출판사에 투고를 하고 그리고 책이
출간되기 까지의 과정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감은 물론
다소 희석되버린 '초심'이 다시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거기에 더해 집필에 대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서
'작가'의 길을 걷는 내게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책이었다.
작가의 길을 걷기전인 예비작가들의 경우에는 이 책에
훌륭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리라 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은 작가의 길을 가는 여정에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을 담아냈기 때문이다.
"작가가 되고 싶다면 글을 써야 할 것이고, 그렇다면 무슨 글을
써야 할지 고민이 되는게 당연하다. 그게 바로 작가가 해야 할
일이다." P23
"예전에 내가 쓴 글을 다시 읽었을 때 부끄럽고 어디 내놓기 쑥쓰러우면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P34
중요한 것은 이왕에 글을 쓰기로 했다면 반드시 끝을 내보라는 것이다. P42
"작가라면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바로 '내 원고는 내가 읽으려고 쓰는게
아니라는 점'이다." P50
첫 책을 쓰며 직접 느꼈던 것 그리고 나의 실수 그리고 개선할 점을
이 책에서 모두 느낄 수 있었다. 비록 내가 그것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는
장담하진 못하겠지만 말이다.
예비작가들에게는 훌륭한 집필 안내서라고 말하 수 있으며
신인작가인 내 입장에서는 반성과 개선을 가져다 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