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인에게 애국심은 없다 - 가깝지만 정말 가까워져야 하는 나라, 일본! ㅣ 일본 연구 시리즈 1
신규식 지음 / 산마루 / 2017년 4월
평점 :
태평양 전쟁 때 귀축미영(도깨비나 짐승 같은 미국과 영국) 이란 구호 아래
극단적인 전투를 벌이며 실제로 미군포로들을 상상할 수 없는 잔인한 방법으로 학대하던
일본인들 이들이 패전후 졸지에 점령군 사령관 맥아던 장군을 신같이 섬기며 순한 양으로
돌변한 것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들은 같은 일본 사람들이었나?
일본인에게 도대체 애국심이란 것이 있기는 한 걸까? -p4-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국을 이야기 할때 우리나라 라고 한다 국제경기에서
한국이 이겼으면 우리나라가 이겼다고 하지 한국이 이겼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본 사람들은 자기 나라를 이야기 할때 우리나라라고
하지 않고 일본이라고 한다 따라서 일본이 이겼을 때 일본인들은
우리나라가 이겼다고 하지 않고 일본이 이겼다고 하는것이다
우리나라 라는 말자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잘쓰이지 않는다 -p5-
일본인에게 애국심은 없다 라니 무슨말일까?
한나라의 국민이 자신에 나라에 대한 애국심이 없다라니? 이책의 주제는 신선하면서
의문을 가지게 하며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다읽고난후 에는 개인적으로는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일본인의 애국심은 국가 보다는 단체에 집중되있고
그것이 우리나라보다 강하다는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이 이책이
말하는 바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다읽고나서 하게 되었다
역사속 사건과 인물로 살펴보는 일본의 애국심 이책은 그러한 성격을
가진책으로 우리와는 다른색깔을 가지고있는듯한 일본의 애국심은 물론
역사이야기도 같이 느낄수있는 재미를 가지고있는 책이다
이책을 읽으며 우리나라 의 애국심이라는 색깔과
일본인들의 애국심이라는 색깔을 비교하며 읽어보면
색다른 재미뿐 아니라 이책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파악할수있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무라이 정신과 가미가제 와 같은 폭력적으로
보일수있는 그들의 애국심의 진정한 본질에 대해서도 생각해볼수있고 말이다
이우 왕자가 말을 타고 출근하다 원자폭탄에 피폭되던 그 시간 전속 부관 요시나리
히로시는 어디에 있었을까? 그날 따라 그는 엉덩이에 종기가 나서 말을 타고 출근하는
주군인 왕자를 수행할 수가 없었다 그는 이 일로 인해 너무나 큰 자책감을 느꼇다
그는 자신의 노력과 바람에도 불구하고이우 왕자가 죽자 시신을 지극정성으로 모신 후 비행기에
실어 조선 땅으로 보냈다 그러고는 머리에 총을 쏘아 주군의 뒤를 다랐다 -p100-
이책에서는 역사적 사건 과 그 사건안에 있는 일본인을 통해 일본인들의 애국심이란
어떤것인지에 대한 접근을 하고있는데 저자의 의견과는 별도로 이들의 애국심 에 대한
범위가 나라가 아닌 다른 여러곳에서 폭넓게 나타나는게 아닐까 라는 개인적 생각도 해보았다
유독 무속신이 엄청나게 많은 일본의 종교 문화도 같이 떠오르면서 말이다
그리고 저자의 의견처럼 조직충성도가 애국심으로 나타나는건 아닐까 라는
생각과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 조직충성도는 엄청나게 강하고
때로는 누군가가 살짝 끌어주면 엄청난 힘으로 폭력적으로도 변할수도
아니면 엄청나게 선하게 할수도있지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이책속 역사속 이야기들에는 조선왕조의 이우왕자 이야기도 나왔는데
그를 모신 부관의 이야기는 일본인 의 애국심에 대한 약간의 단서같은것을
나타내는것과 같이 느껴지기도 하였다
일본인들에게 애국심은 없다 다만 일본이건 미국이건 한국이건 우연히 그들이
속하게 된 조직에 충설할 DNA로 충만한 준비된 조직원일 뿐이다 -p54-
나는 이책을 읽고나서 일본인의 애국심에 대하여 저자의 의견뿐만이 아닌
다양한면에서 생각해보는 계기도 얻었지만 그렇다면 애국심이란 것은 무엇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
하기도하였다 그저 그나라에서 태어났기에 애국심을 의무적으로 가져야 하나? 라는 생각부터
여러가지 생각까지 말이다 이책은 그런면에서 애국심이라는 것과
우리와는 다른 색깔을 가진거 같은 일본인에 대해 생각해볼수있게한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