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 논어 속 네 글자의 힘 ㅣ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논어 하면 공자가 떠오르고 공자하면 유교가 떠오른다
공자가 말하는 유교에 대해서 몰랐던 시절 이미지로써만 다가온 유교정신은 나에게는
꽉만힌 그리고 소위말하는 꼰대정신이 가득한 그런 안좋은 이미지가 사실있었다...
그러던 언젠가 철학에 관한책을 읽고 공자의 인생 그리고 이야기를 읽었던적이 있었는데
내가 생각했던 그런이미지가 아니라서 놀랐었고 반성한적이 있었다
그리고 한번은 다시 한번 공자 그리고 논어에 대해서 알아가야지 라고 생각하고 잊던중
이책을 만나게 되었다
이책의 전작인 논어를 읽어야할시간1을 읽어보진 못한상태에서 만난 이책
1편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 읽어도 괜찬을까 라는 걱정과는 다르게 이책은 나에게
궁금했던 공자 와 그의 생각을 쉽게 알수있도록 다가왔다
그리고 여러모로 유교에 대한 아주예전에 가졌던 편견또한 깨졌다 그리고 유교가 후에
아주 많이 변질된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하게되었다
논어를 지은 공자에 대해서 이책에서는 성인군자로만 추앙하는것이 아니라
인간 공자라는 점에 저자는 더 초점을 둔 인상이 깊었는데 그것이 오히려 공자에 대한 거리감
을 좁히면서 읽기 쉽게 다가갈수있는 장점으로 느껴졌다
인간 공자 그 자체는 어려서부터 고생을 했다고 한다 오죽하면 훗날 다른사람들에
군자가 어떻게 그렇게 자잘한것까지 아십니까 라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공자는 그들이 말하는 자잘한일들을 숨기지 않고 그것이 경험이었다고 떳떳하게
밣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또한 제자들의 신분을 가리지않고 배움의 의지만 있다면
거둬들이는 모습까지 이책을 보며 인간공자에대해 알수있었다
한편으로는 조선시대의 공자를 따르는 유학자들이 공자와는 다르게 자잘한 일이라고 하는것들
을 기피하고 또한 공자가 그렇게 주창했던 가르침 그리고 신분을 가리지않고 가르쳤던 그런모습들이
안보이며 오히려 무시했던 모습들이 교차하면서 여러가지 생각도 들곤하였다
나같은 경우는 이책을 읽으며 평소 오해했던 유교에 대한것들을 알아가는것을 큰재미로 읽었는데
그중에 하나가 대체로 유교라고 하면 보수적이고 새것을 기피하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흔히 들어본 고사성어중에 온고지신 즉 옛것을 익혀서 새것을 안다 라는 말이 논어속에 있다는
것에 놀랐었다 공자 그자신도 꽉막힌 사람이 아닌 오히려 새로운것을 배우고 익히는것을 즐거워한
모습을 본다면 오해였었나 라는 생각도 들곤하였다
나에게는 이책은 그런 목적 그리고 그에따른 재미로 읽을수있었다
수천년을 내려오는 고전에는 힘이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러한 사상적인 이야기 그리고 논어속의 이야기는 아직도 힘이있다고 생각한다
공자가 상대로한 인간이나 현재의 인간이나 비록 사는 시대가 다르고 기본적인 생각이 다르지만
같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고전을 좋아하고 읽어보려고 하는거같다
이책은 고전으로써의 재미 그리고 그걸 쉽게 풀어썻다는 장점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여러가지로 오해했던 공자에 대한면을 알아갈수있어서 좋은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