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랑새 ㅣ 네버랜드 클래식 48
모리스 마테를링크 지음, 허버트 포즈 그림, 김주경 옮김 / 시공주니어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행복은 의외로 가까운곳에 있다 " 라는 교훈이 있는책
아마 독서를 좋아하는 분들중에 그 책이 어떠한 주제 인지 어떠한 줄거리인지는 알지만
실제로 읽어보지 못한 책들이 종종있을것이다 이책은 나에게 그런부류의 책중에 하나였다
행복을 주는 " 파랑새 " 라는 존재를 찾아 떠나는 모험 그리고 그 파랑새는 아주가까이 있다는것
이라는 대략적인 내용은 들어봤지만 실제로 못읽어본책 바로 그책을 이제서야 한번 만나게 되었다
이책의 시작은 가난한 남매의 쓸쓸한 크리스마스 이브 저녁 요술쟁이 할머니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된다
딸이 아프니 파랑새를 찾아달라는 뭔가 " 막무가내 " 식의 부탁을 들은 남매는 부탁에 응하게 되고 ㅡ.ㅡ
남매둘은 요술쟁이 할머니가 준 영혼을 불러내는 다이아몬드 모자로
빵의 요정 빛의 요정 불의 요정 빛의 요정 사탕의 요정 그리고 키우는 개 와 고양이의 영혼 을 불러내어
다함께 파랑새를 찾으러 모험(?)을 떠나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이 파랑새 이야기 안에서는 다이아몬드 모자로 세상의 여러가지것들 의 영혼 과 실체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 영혼들 혹은 요정으로 표현되는 이것들이 이야기들의 큰틀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마법의 모자의 실체에는 모든 사물에는 영혼이 있을거라는 저자의 생각이 담겨있는 물건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남매 가 처음 불러낸 요정들은 처음에는 파랑새를 찾으러 가는 모험을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아마도
행복 이라는 키워드를 가진 파랑새를 위험을 감수하고 떠나는 것보다는 " 현실 " 에 안주하려는 모습들을
보여주려는 의미가 아닐까 생각했다
요술쟁이 할머니 " 한심한 녀석들 같으니라고 ! 맙소사 이 어리석은 겁쟁이들아! 너희들은 파랑새를찾으러 가는 이 아이들을 따라가는 것보다 거지 같은 반죽 통이나 수도꼭지나 뚜껑 문속으로 기어들어 가고 싶다는 거냐? - p35-
이책에서 남매 와 요정들은 모험을 떠나면서 신비로운 세계들을 만나면서 행복이란 무엇인가 와 더불어 여러가지 위험을
만나게 된다 오히려 이들은 파랑새 라는 행복의 존재를 찾는것보다 그 모험이라는 과정에서 수많은 것들을 깨닫게 되는데
돌아가신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나는 추억의 나라에서는 " 살아있는 사람들이 기억하고 추억해주는것은 우리를 깨우게 한다 "
와 같은 이야기들 속에서 살아있는다는 것은 누군가에게 기억되는것 이라는 이야기가 떠오르게 되었다
이들의 모험에서는 의외로 파랑새들을 빨리 찾지만 찾는족족 죽어버리거나 색깔이 변하곤 하는데
그것은 아마도 타인의 행복이 더 커보이지만 막상 내손에 들어오면 그것이 행복이 아닐수도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보았다 마치 남의 떡이 커보인다 라는 속담과 같은 그런것말이다
막상 내가 가진 행복은 관심도 안가지면서 타인이 가진것에 대한 욕심 더 커보이는 그런 욕심 말이다...
이책에서 남매의 모험지 중에서 가장 인상이 깊은부분은 다양한 행복의 요정들을 만나는 부분에서였다
그리고 이 부분에서 행복 은 때론 불행을 가져온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불행할수 있는 행복들을 요정으로 투사해서 나타낸 작가의 표현력에 놀라게 되었다
행복이라는 감정은 주지만 잘못하면 사람을 불행하게 만드는 행복과
우리가 너무 흔해서 깨닫지 못하는 행복을 이책에서는 이렇게 나누고 있었다
물론 요정의 모습처럼 말이다
소유하는 행복
허영심이 충족되는 행복
배고프지 않아도 먹는 행복
아무것도 하지않는 행복 -p128-
건강하게 지내는 행복 맑은 공기의 행복 부모를 사랑하는 행복 -p137-
소유함 그리고 아무것도 안하는것 그 자체에는 행복을 느끼게 하지만 자칫하면 소유함은 큰 욕심을 부르고
아무것도 하지않는 행복은 게으름 나태함을 가져오기도 한다 과연 그런것을 행복이라 할수있을까...근데 사실 행복한
게 아닐까..? 라는 내 스스로의 물음도 가졌다 아마 내가 때가 많이 묻어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반대로 건강하게 지내는 행복...부모를 사랑하는 행복 같은 미처 인지하지못한 나의 소소한 행복들에 대해 생각
도 해보았다
결국 이책은 파랑새를 찾으러 가는 과정에서 오히려 " 파랑새 " 라는 것보다는 모험을 하는 과정에서 더많은
깨달음을 준다 그리고 파랑새는 결국 가까이에 있었다는 후반부의 결말은 모험의 모든과정에서 얻은
교훈의 결말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사실은 가장 가까운곳에 행복이 있었다는것 말이다...
읽으면서 행복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한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