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 중국 최고 석학 장치청 교수의 건강 고전 명강의 ㅣ 장치청의 중국 고전 강해
장치청 지음, 오수현 옮김, 정창현 감수 / 판미동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황제내경 아마 이책의 이름을 들어본것이 동의보감 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 였을거같다
단지 짧게나마 이런책이 중국에 있었구나 라는 이야기만 들어봤을뿐...읽어보고 싶다라는
생각대신 중국의 의학서이니만큼 읽어볼기회는 없겠지 하며 무심코 지나쳤던 책의 기억만
있었을뿐이었다 그러다가 이책이 나오고 흥미로운 마음에 읽게되었다
현대의학이 주가된 지금시대에서는 병의 진료나 치료는 과학적인 기기들의 힘을 빌어서
한다 그래서 혹 어떤이들은 과거의 이러한 의학서들은 가치가 없다고 하지만 과연 그럴까 라는
것이 내생각이다 과거 조상들이 직접체험하고 겪은 치료행위와 인간의 몸에 관한 의서들은
지금의 의학상식보다는 뭔가 사람냄세 와 더불어 흥미롭기 때문이다
이책에서도 그러한 흥미점 뿐 아니라 재미도 느낄수있었다
황제내경이라는 책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의학경전으로 황제 와 명의 기백 이라는 의사가
대화하며 대화체로 남긴 양생이론을 남긴책이라고 한다 때문에 병 과 그에따른 약제 에 대한
의료및 처방의 이야기보다는 인간의 몸과 자연 그리고 우리가 흔히 많이 들어본
음양의 조화 와 인간에 대해 주로 이야기를 하고있다
동양의학의 큰시작틀이었던 중국이었고 그 영향을 많이 받은 우리나라인 만큼
이책에서는 흔히 들은 단어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음양오행 이라거나 칠정육욕 과 같은
단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 기 " 라는 신비로운 무형의 에너지로부터 시작해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움 그리고 정신 과 육신의 조화가 건강에 어떤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사계절의 기운 과 인간의 몸과의 조화등 동양의학 특유의 " 기 " 와 같은 부분이
이책에는 많이 나오고 있었다
동의보감에 관한 책을 예전에 읽은것이 있었는데 동의보감에서는 병의 예방 이라는 부분이
많이 나왔다고 느낀반면 이책에서는 인간의 몸자체 와 세상의 기운에 대한 조화라는 부분이
더 강하게 강조된느낌이 있었다 현대의학에서는 DNA라던가 인체내부의 조직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있는데 기 와 음양오행에대해 말하고 있는 이책의 내용또한 신선하고 관심이 갔다
이책을 읽으며 느낀것은 예나 지금이나 인간의 몸 그리고 건강에 관한 고민과 생각이 많았다라는
것을 느낄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