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도 짝을 찾고 싶다 - SBS『짝』PD가 출연자 677명을 통해 본 남자 여자 그리고 인간
남규홍 지음 / 예문사 / 2014년 12월
평점 :
SBS에서 한때 인기리에 방영되다가 종영한 " 짝 " 이라는 프로를 TV를 보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보셨거나 혹은 보지않으셨어도 들어봤을것이다 나는 후자에 속하는 편인데 이 프로를 영상으로는
보지 못했지만 그저 주변에서 이 프로에 대한 이야기들 그리고 신문기사가 전부였다
한번인가 두번인가 봤지만 그때 개인적으로 느꼇던 일종의 이 프로그램에 대한 거부감때문에
프로그램 자체를 안본것이 가장큰 원인이었지만 말이다...
방송이니 어느정도 조작이 들어가있을것이다 라거나 혹은 출연진들이 대부분 대한민국 평균이상
의 스펙 혹은 외모들이었기때문에 나로써는 다소 현실감에서 동떨어졌다고 느꼇던것도 있었던듯
하다...뭐 일종의 열등감이라고 할까 그렇지만 그렇게 외면했던 그 프로그램을 나는 책으로
만나게 되었다..이책에서 작가는 남녀의 겉으로보이는 외면보다는 사랑의 본질을 추구했다고
했지만 방송에서 출연진은 대부분 일반인보다는 외부로써는 평균이상인건 부정할수없지만 말이다..
나만 그렇게 생각하나 ㅡ.ㅡ
이책은 " 짝 " 이라는 프로그램의 남규홍PD님이 느낀 " 남 과 여 " 에 관한 체험 그리고
연예와 사랑에 대한 소감과 느낌을 이야기 하는 책이다 수많은 남 과 여의 공중파데이트를 진행하며
느낀 그의 소회는 어땟는지 느낄수있는 느낄수있는 책이다
" 짝을 찾는데 남자 와 여자 라는 본질이 중요하지 이름은 장식품과 같고 쓸데없이 복잡하기만 하다
단순화 시키고 본질만 강조한것이 남자1호 여자1호라는 명칭이다 사람을 이름대신 호로 부르는 것은
프로그램의 차별화와 개성을 붙여넣는데 기여했다
군인이 군복을 입는 것처럼 애정촌 구성원은 지정된 옷을 입기 때문이다
동등하게 번호를 부르고 동일한 옷을 입는 순간 그들은 평등한 애정촌 사람이 된다
- 시작하는 글에서 -
이 프로그램은 남자 x호 여자 x호 라는 명칭을 씀으로써 이름을 배재하고 또한 애정촌이라는 동등한 장소
그리고 하루가 지나 자기소개를 함으로써 일종의 인간이 가지는 선입관을 배재하고 남과여의 순수한 만남을
본질로써 접근하고 싶다는 저자의 마음이 담겨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느꼇다
어쩌면 사랑이라는 본질에서 어느정도의 겉으로 보이는 소위 배경이나 스펙 등 여러가지를 따지는 시대에서
저자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그런것을 배제한채로 남녀의 순수한 원시적 사랑을 보고 싶고 그것을 시청자들에게
보여주고싶어한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그게 힘들지만 말이다....
그래서 하루가 지난 다음 자신이 무엇을 하는 사람이고 나이가 어떤지를 소개하는 자기소개 시간을
다음날로 미룬것이지만 말이다
이책에서는 애정촌안에서의 다양한 커플들의 사랑이야기 와 또한 복잡미묘한 연예심리에 대해
저자가 느낀바를 그대로전달해주고있다 프로그램의 뒷이야기 보다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저자가 느낀
남녀의 심리 그리고 사랑의 복잡스러움 같은 것들이 더욱 진하게 느껴지는 책이다..
역시나 이책에서 저자가 본 사랑또한 복잡하고 알수없는것이지만 말이다 그래서 사랑은 정말 어려운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로 한사람만 사랑하는 순애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 또한 놀랍지만 오히려 그런 순애보들은 대부분
실패한다는 저자의 경험담....아 나도 순애보에 속하는 스타일인데....하며 놀라며 페이지를 넘기는 순간도
있었고...또한 심한 밀당으로 인해 줄이끊어져 아쉽게 이루어지지 못했던 남여의 이야기들또한 사랑은
어렵구나 라는 느낌도 들게 했고 그리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이상하리만큼 인연이 맞아 잘된 커플들의
이야기 도 있고 그렇게 이책은 다양한 사랑들에 대해 엿볼수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청춘 그 화려한 날은 가고 우리들은 모두 어머니 아버지가 되어있겠지 -p115-
사랑하는 것은 천국을 살짝 엿보는 것이다 -p130-
사랑...정말 어렵기도 하면서 의외로 쉽게 풀리는 것이기도한 이 복잡한것
나도 이책의 제목처럼 정말 사랑을 찾고싶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