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은 반드시 다시 온다 - 헤어질까 말까 머뭇거리는 당신에게
미라 커센바움 지음, 장은재 옮김 / 라의눈 / 2014년 10월
평점 :
사랑을 하면서 처음의 콩깍지로 불리는 그것(!?) 이 깨지고 나서 혹은 다른 계기로
떠날까? 말까? 고민해본경험이 사랑을 해본경험이 있고 이별전 단계 혹은
현재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본 고민중 하나일것이다.
이책은 떠날까 말까 고민하는 마음을 가지는 단계에 있는 사람들..
혹은 그러한 마음을 가져보았던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마음이 들었을때 어떤 질문을
자기 스스로에게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책이다.
" 관계를 유지해야겠다면 의심에서 벗어나고 머뭇거림에서 빠져나와서 당신의
사랑과 에너지를 관계에 쏟아부어라 그리하여 모든것을 원래 상태도 되돌리는 것에
전념한다 관계를 끝내고 떠나가야겠다면 혼돈과 고통에서 해방되어 관계로부터 자유
로워져 새롭고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가도록 하자 " - p13 -
관계를 유지해야 할까? 아님 머물러야 하나? 하면서 확연한 답을 내리지 못한채 우물쭈물
스스로 고통스러운 관계를 유지하거나 혹은 유지하기로 결론을 내렸으나 고통스러운 관계를
유지하거나 혹은 떠났는데 후회하거나 하는 경우는 주변에서 생각보다 흔히볼수있다.
누군가는 관계를 끝내지못하면서 고통스럽다고 하소연 하고...
다른 누구는 관계를 끝낸게 후회스럽다고 말하기도 한다...
또는 이러지도 못하면서 고민만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렇다면 이책에서 제일 핵심주제로 삼고있는 떠날지 말지 주저하는 마음이 생기는 마음은
무엇일까? 저자는 그 이유로 " 양가감정 " 이라는 것을 제일 첫번째 이유로 두고있다
"결정을 내리지 못한 막연한 상태에 머무는 것이 가장 안좋은 일이 아닐까 의심했다면
그 생각이 옳다. 사실 어느쪽으로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양가감정(다른사람이나 사물. 또는 상황같은 하나의 대상물에 대해 서로 대립하는 감정과
태도. 경향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라는 의미의 심리학 용어) 상태에 머물러 있으면
엄청난 상처를 입는다. 이런 상태에 붙잡혀 있으면 떠나야 하는 데도 머물다가 정신적인
죽음에 이를수있다 마찬가지로 에너지만 쏟아부으면 제자리를 찾을수 있는 관계에서도 항상
떠날 생각만하다가 결국 관계를 죽여버리고 마는 실수를 저지를수 있다. -p18-
떠날지 말지 모르겠다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게 하는 양가감정 은 저자의 말대로
정서적인 죽음에 이르게 하거나 혹은 좋은 관계를 유지시키게끔 할수있는 방법이 있는대도
에너지만 쏟아부으며 제자리걸음만 하는 부정적인 역활을 하게한다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쉬운가?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에게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하기 위한 질문들을 이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스스로 관계에 대해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답하면서 깨닫게 되는 그러한 질문들말이다
질문1. 당신과 파트너 사이에 모든것이 최고였던 시간을 생각해보자
돌이켜 보면 그때 둘 사이의 일들이 진짜로 아주 좋았다고 지금 말할수 있겠는가?
-p38-
진단1. 관계가 " 최고 " 였을때조차 둘 사이가 제대로 된것같지 않고 삐걱거린다고 느꼇다면
예후가 좋지 않다 관계를 정리하고 떠나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고 장담할수 있다
아주 좋았던 적이 없었다면 앞으로도 아주 좋을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p44-
임상 연구자이자 심리치료사로서의 내경험과 방대하게 축적된 연구결과를 감안해서 이야기 하면
이렇다 망가진것을 수리할수는 있다 하지만 애초에 제대로 작동한 적이 없는 것을 수리할수는 없다
-p45-
이책에서는 이렇게 고민하고 있는 자신에게 한번쯤더 깊게 관계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게 하는
질문들이 여러가지 있다 공감되는 것도 혹은 공감하지 못하는 것도 있지만 관계 속에서 몰랐던
부분을 스스로에게 묻고 더 깊게 생각할수있는 질문들이다
그러면서도 저자 는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 떠나야 겠다 " 라고 답을 느꼇지만 그럴수없는 상황
에 대해서도 논하는데 그것은 이러한 질문들이 떠나야 한다! 라고 말을 하지만 사랑 이라는 것이
그 반대정점에 있다면 어렵다는 것이다 이부분은 저자 스스로도 사랑이라는 알수없는 힘에대해서
100퍼센트 알수없다는 고백과 동시에 사랑의 위대함이라는 것을 말해주고있었다
칼융은 그의 자서전인 <기억 꿈 회상>에서 신약성서를 인용해서 말한다
" 사랑 " 은 " 모든것을 참고 " "모든것을 견딘다 " 융은 이말들이 사랑에 관해
" 말해야 할것을 모두 말하고 있다 " 고 느꼇다 하지만 그는 다음과 같이
자신의 한계를 솔직하게 인정한다 " 나의 의학적 경험과 내 삶자체에서
나는 사랑이란 신비와 마주치고 또 마추쳤었다 그러나 사랑이 무엇인지는 결코 설명
할수 없었다 -p141-
그 유명한 심리학의 대가 칼융조차 사랑이라는 것은 알수없다고 하였고 아직도 사랑은
확실히 무어라도 표현하기 힘들정도로 광범위하다..그래서 하느님이 사랑이 최고라 하신건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떠나야 할지 말아야 할지...다시 그런마음이 들면 쉽게 결정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책에 있는 질문들은 관계속을 더 깊고 자세하게 들여다볼수있는 내용들이 있어서
읽으면서도 많은 사색에 잠기게 하였다 내가 겪어온 과거의 기억들도 떠올렸고 말이다
이책이 설명하는 떠날지 말지 답을 얻기 위한 답을 얻어낼수도 있겠지만
관계에 대한 깊은 생각을 얻고자 하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거같은 책이라고 읽으면서 느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