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기꾼 증후군 - 불안과 우울 뒤에 감춰진 승자들의 심리학
해럴드 힐먼 지음, 김고명 옮김 / 새로운현재(메가스터디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사기꾼 증후군은 1978년 미국 심리학자 폴린 클렌스 와 수잔 아임스가 처음쓴
용어다 이 말은 사람들이 주로 새로운 도전 혹은 큰도전에 직면했을때 지금까지의 업적을
스스로 일궜다고 여기지 않고 운이 좋았다거나 타이밍이 잘 맞았다는 등
의지와 상관없는 외부요인 덕분에 성공했다고 보는 심리현상을 말한다 - 서문 p9 -
스스로 세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두려워하고 잘못을 저지르거나 타인의
존경심을 잃지않기 위해 극단적인 수단도 마다하지않는다 -p10-
책서문을 읽고 이책에서 말하는 사기꾼증후군이란 무엇일까? 한창 나와 주변의 예를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책을 읽고난후 이책에서 말하는 사기꾼 증후군이란 바로 자신의 본모습을 숨기는 것
일명 페르소나라고 하는 거짓의 가면을 쓰는것 과 동시에 타인의 시선에 너무나도 신경을 쓰게되어
자신을 잃어버리는 것 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책의 표지에 사람의 얼굴 대신 IMPOSTOR 라는 글자가 새겨진것도 바로 이러한
자신의 얼굴을 숨긴것을 뜻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책을 읽으며 알게되었다
사람은 누구나 타인의 시선에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다 특히 한국사람들은
타인의 시선에 더욱 민감하다는 느낌이 강했는데 이는 특별히 자신이 좋아하는 제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명품을 두르고 다닌다거나 자신의 스타일이 아님에도 비싼차를 구입하는 행태에서도 볼수있다
특히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는 이러한 행동패턴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것이 어쩌면
현대인의 새로운 질병이 아닐까 라는 것을 생각해보기도 하였다
내 주변만 보아도 타인의 시선때문에 학교/직업/결혼 이라는 것을 본인의 가면과 맞지않게
선택해서 고통받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것을 볼때마다 안타까웠다
물론 나또한 타인의 시선때문에 가면을 바꿔쓰고 다른모습을 할때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말이다.
이책에서는 우리가 겪고 있는 이러한 사기꾼증후군에 대해 본연의 모습을 찾아라 라는 쪽의
의견이 강한데 과연 그것이 좋기만한 의문이 들기도 하였다
직장생활이나 단체생활에서는 규범이라는 것과 조직문화가 있다는 것인데
그동안 내가 본 직장의 모습은 비록 업무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자신의 모습과 회사의 규범이 일치하지않은경우 즉 회사가 원하는 가면과
본인의 가면의 차이로 인해 본인이 피해를 받는 경우를 수도없이 보아왔기때문이었다
아직은 서로의 개성을 인정하지않는 한국사회라서 그런가? 라는 질문도 스스로 해보았다.
그리고 이책을 읽고난후 내 본연의 가면을 보여줄수있는 상대 그리고 반대로 그것을 나에게 보여줄수있는
신뢰와 믿음을 공유할수있는 진실된 인간관계가 그립다 라는 생각이 들기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