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비자, 스파이가 되다 ㅣ 탐 철학 소설 11
윤지산 지음 / 탐 / 2014년 6월
평점 :
중국의 철학 그리고 우리가 가장 가깝고 또한 잘알려진
철학중 하나는 유교사상의 본체인 공자의 사상이다
조선시대 내내 지배해왔고 아직까지 우리시대에도 남아있는
사상이기도한 유교사상
하지만 이 유교사상에 정반대의 입장을 고수한 사상이 있었으니
바로 법가 사상이다 서양에 마키아벨리가 있다면 동양에는 한비자가
있다는 말처럼 한비자의 법가 사상은 유교사상의 정반대점에서
정면으로 충돌하는 사상이라고 할수있다
이책의 저자는 이러한 공자 노자와 같은 제자백가들에게 집중되어있는
우리들에게 오히려 정반대의 성격의 철학을 알아야 유학을 더 잘알수있는
계기가 될수있다는 서문을 달며 이책을 시작하고있다
우리가 제일많이 접한 유교사상과 정반대점에 있는 한비자의 사상은
어떨까? 이책은 그런점을 소설형식을 빌어서 설명하고 있다
일반철학서의 경우에는 특히 동양철학의 경우에는 한자어와
그에따른 주석으로 인해 자칫 딱딱할수도있고 또한 이해하기보다는
난해한점은 넘어가는 경우가 나 같은경우는 흔했었는데
소설형식을 빌어서 서술한 이책의 경우에는 스토리텔링이 가미되어
다소 쉽게 읽어갈수있었다.
성악설 즉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그래서 교육을 통해서 개조시켜야 한다
라는 주장을 한 순자의 제자인 한비자는 이러한 사상을 이어받아
자신만의 학설을 집대성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인간의 악한습성을
엄격한 법으로 바로잡는다는것이다
이책에서 그리고 그가 살았던 시대는 새나라가 열리고 망하기를 반복하는
혼란스러운 구조였으며 또한 유교사상에 대한 의문을 제기됬던 시기라고한다
그런시기에 등장한 인과 덕 보다는 강력한 법과 악한 인간의 본성을 법으로
잡아야 한다는 한비자의 이야기 그리고 그가 그만의 사상을 남기고
세상을 떠나기까지의 이야기가 소설로써 재미와 함께 남겨주고있다
나의 개인적견해로는 지금의 시대에서 한비자가 과거보다 주목받는것은
어쩌면 그의 생각대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것일까 지금의 시대가 그렇다는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고 저자의 말대로 한비자의 사상을 통해 반대편에
있는 유교사상을 더 잘알수있는 계기가 된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