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 경영, 마키아벨리에게 답을 묻다
랄프 리슈 지음, 엄성수 옮김 / 시그마북스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짧은 분량이지만 불멸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제왕학에 대한 명저중 하나인
마키아벨리의 " 군주론 " 한때는 국가에서 금서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파급력이
큰 책이었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의 피렌체 공화국에서 서기관을
지내면서 다양한 정치권 인사들을 만나며 정치와 인간의 본성에 대한
그만의 통찰을 가진 사람이었다 훗날 피렌체의 예전 지배자였던 메디치 가문
이 복귀를 하고 정권을 잡으며 일선에서 물러난 마키아벨리...
그는 유배시절 그 유명한 " 군주론 " 을 써내려가게 된다
세계역사에서 보면 유배나 혹은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불멸의 명저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 정약용의 목민심서 가 그랬듯이 말이다
마키아벨리도 일선에서 물러나며 그동안 얻은 경험과 자신만의 혜안으로
" 군주론 " 을 집필하게 되었고 그 명저를 메디치가에게 헌정했으나
야박하게 거절당했다고 한다...
그후 안좋은 이미지(지금도 남아있다)로 남아 당시에는 금서로 지정되기까지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재조명받고 널리읽히고 있으며
기존의 안좋은 이미지를 탈피하는 분위기에 있다 실제로 읽어보면
상당부분 공감 되는 부분들이 많고 왜 불멸의 고전인지 제왕학의 큰 획을
그었는지 알수있다 마치 동양의 법가사상을 만든 " 한비자 " 가 요즘에
다시 재조명받는 것처럼 말이다
군주론이 왜 금서가 되었을까? 읽어보면 인간본성에 대해 애써 선하다고
믿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마음때문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군주론에서 군주를 가리켜 미덕을 다 갖출필요가 없고 있는척 하는것이 이롭다고
한다 현대로 치면 이미지 정치를 말하는 것이다 선뜻 공감하기 그렇지만
생각해보면 정치권력자로서 그러한 퍼포먼스가 필요없진 않을것이다...
또한 이책은 군주가 되는방법론보다는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한 이야기들이
있는 군주론의 원론에 대해 이야기 해주고 있다 군주론에 의하면
군주에 오르는건 실력이 아닌 다양한 변수가 있으며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때로는 위선 과 때로는 강력한 공포를 이야기
하라라고 이야기 해주고 있는데 현대의 자기계발서에서 사람을 선하게 생각하고
감동시켜서 내사람으로 만들어라 라는 부분과 상당부분 다른점을 느낄수있었다
이 군주론의 이야기에 공감하지 못한다면 읽기 어렵지만
인간의 기본본성에 대해 공감한다면 다른 인식을 느낄수있지않을까
생각하며 즐겁게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