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는 마지막에 먹는다 - 숫자가 아닌 사람을 귀중히 여기는 리더의 힘
사이먼 사이넥 지음, 이지연 옮김, 김도형 감수 / 36.5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리더는 마지막에 먹는다!!!
이책의 제목을 보고 나는 이러한 생각을 한적이 있다.
" 과연 리더가 마지막에 먹는 곳을 내가 본적이 있는가? "였다 여기서 " 먹는것" 이란
때로는 말그대로 밥이나 혹은 다른 의미에서 이익을 말할수가 있는데
적어도 내가 보아왔던 리더들의 대다수는 맨처음 먹는 이익만 취하고 리더로써 부하들
예컨대 관리하는 사람들에 대한 먹을것들은 챙겨주지 않는것이 대부분이 이었다
그러한 생각에서 만난 이책 " 리더는 마지막에 먹는다 " 는 리더쉽에 대한 리더로써의 자질을
이야기 해주는 책으로 수많은 리더쉽서적들과는 다른점은 그동안 유행처럼 되버린 강력한
추진려과 카리스마의 리더쉽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조직내에서 " 안전감 " 을 최우선적으로 그리고 수치적인 통계나 스프레드시트로의 자료가아닌
원시적인 " 인간미 " 에 중점을 둔책으로 어느새 커져버린 사회내 조직내에서 과거 소규모
인간사회에서 느낄수있었지만 요즘에는 거대화 되어버려 추상화된 인간미에 단기성과에
매말라버린 인간미에 대한 걱정도 토로하고있는책이다
일명 " 무한경쟁사회" 라고 일컬어지는 현대사회에서는 회사조차도 직원내부에서 무한경쟁화시켜서
동료 에서 서서히 적 으로 변하는 풍조가 심화되고 있다
상사와 부하직원간의 성과에 대한 견제
입사동기간의 경쟁 혹은 나같은 경우는 신입사원으로 입사를 하였는데 자신의 기술을 가르켜 주지않는
직장상사들을 직접 경험해보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쟁체제는 회사가 성과를 내기 위한 전략중 하나로
직장내 경쟁을 유도하여 " 단기성과 " 를 내기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할수 있는데
이책의 저자 사이먼 사이넥은 오히려 이러한 경쟁체제가 " 단기성과 " 에 의존한 나머지
회사내의 장기적인 플랜을 망쳐놓는다고 이야기 하고있다 또한 협업과 회사에 대한 충성도도 망쳐놓는다고
이야기 하고있다
" 직원들이 조직 내부의 위험에 대처하는데 급급하다면
외부 위험에 대한 전체 조직의 대처 역량은 줄어들수밖에 없다 " -p31-
이말에 공감하는것은 회사내의 이러한 경쟁관계가 과해지면 동료는 없어지고 적만 남게 된다
그러한 조직에서 외부 위험보다는 내 자신의 일만 생각하게 될것이며 또한 나를 위협하는 직장에
대해서는 가슴속에 " 사표 " 를 안고 언제든지 내 이익을 위해서 떠날 준비를 하게 될것이다
나도 그랬으니까.....말이다..
" 우리는 리더들이 자신의 지위에 따른 여러 사치를 누리는 만큼 우리를 보호해주기를 기대한다
문제는 과도한 보상을 받는 많은 리더들이 돈과 갖가지 특전만 을 챙기고 정작 직원들은
보호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심지어 어떤경우에는 사리사욕을 채우고 지키기 위해 직원들을 희생시키기까지 한다 " -p120-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그리고 리더 보다는 구성원들이 많은것이 사실이고 이책을 읽는 사람들또한
구성원들이 많을것이다 아마 이말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을거같았다 정말 공감이 되는 말이었다
조직내의 안정감이란 리더들이 제공해주어야 하는것일테인데 오히려 본인의 안정만을 찾고
성과를 위해 부하직원들간의 반목과 경쟁을 이끌어내는 상황 들이 그럴것이고 실제로 많이 보아왔을것이다..
그래서 더욱 공감이 되었던 부분이었다
이책을 읽으며 비록 저자는 한국인이 아닌 타국사람이지만 조직내 안정감에 대한 이야기들에 대해 크게 공감하였다
나또한 안정감이 없는 직장들을 전전하며 이책에서 말하는 직원들에게 안정감은 제공하지 않으며 충성과 협조만을
원하는 집단들을 만나보았기때문일 것이다.
이책을 읽으며 그동안 내가 최우선으로 쳤던 직장내 조건들 중에 " 안정감 " 이라는것을 알게 되었고
또한 중요하다고 느꼇고 새로운 리더쉽에 대한것을 느낄수 있어서 참많은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