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 경제사 - 음식이 만든 인류의 역사
권은중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9월
평점 :
어떤 욕망도 식욕보다 앞서지 않는다. 문명도 권력도 끼니 다음의
일이다. 그래서 인간의 역사는 음식의 역사다. 모든 문명은 칼로리
위에 세워졌다. 예외는 없다. P8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들의 숙명은 영양분을 끊임없이 섭취해야 하는
운명에 있다는 점에 있다. 저자가 이 책의 서두에서 말하는 것처럼
먹을 것이 해결되야 그 다음이 있는 것이기에 음식의 소중함은 무엇보다
소중하다 크게는 생명이 걸린 일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는
굶어죽는 사람들이 많다. 하물며 과거에는 지금보다 더 심했다. 음식은
그래서 세계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 책은 바로 그 지점을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경제사라는 제목이
붙어있지만 책을 읽다보면 음식과 인류의 역사가 어떻게 서로 같이 걸어왔는지
에 대해 이야기 해주고 있다. 크게는 한 국가의 흥망성쇄를 가르기도 했고
또 어떤 면에서는 의외의 영향을 주는 것, 그것이 음식이라는 것을 이 책에서
는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며 새로움을 알아가는 것에 재미를
느꼇다. 생각보다 음식이 인류와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컷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구성은 인류를 부양해온 여러 음식들과 그에 따른 영향 그리고 각 음식들의
장단점을 이야기하며 그것이 어떻게 인류와 국가와 역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눈에 다가왔던 저자의 주장중에 하나가 내 눈에 들어왔는데
농업이 발달한 아시아 국가들은 초기에는 그것을 토대로 성장하고 강력한 중앙집권을
이뤄냈다는 것과 반대로 농업이 동양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밀렸던 유럽은 오히려 외부로의
진출, 가령 바다로의 진출이나 농업이외에 먹고살 상공업의 발달이 이루어졌다는 이야기들이
특히 와닿았다. 결국 그 중심에는 음식이라는 것인데 이것이 어떻게 동/서양의 차이를
냈는지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는 참신했고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물론, 그 주장에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음식과 인간의 역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그것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최근 유전자 변형으로 만든 음식에 대한 찬반이
일고 있는데 이 역시 음식과 역사가 함께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음식과 경제, 역사를 아우른 참신한 책으로 내게 다가온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