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은 이미 충분합니다
안셀름 그륀 지음, 김현정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7월
평점 :
내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다는 부정적인 생각이 가득했던 시절이
있었다. 내게 주어진 모든 것들이 충분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세상과
사람들에게 불평불만을 쏟아냈던 시기가 있었다. 그것도 오랜시간을
말이다. 지금와서 되돌아보면 헛되이 보낸 시간이었고 그 때문에 수
많은 기회를 잃어버렸다. 지금 생각해보면 나는 생각만큼 못나거나
부족함이 없었음에도 말이다. 이것이 다 욕심 때문이었다.
이 책은 스스로 만족을 하지 못하는 인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욕심이 만들어내는 자기파괴에 대해서도 심도있게 이야기 하고
있다. 이 책은 '만족' 그 자체가 어떻게 인간을 궁지에 몰고가는지, 그리고
그것을 벗어나 만족하는 방법을 배운다면 삶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심리학자들은 흔히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마음속에는
도무지 만족할 줄 모르는 어린아이가 1명 살고 있다고
말이죠. P53~P54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가 얼마나 다양한 이유로 만족하지
못한 삶을 살고 부정적인 기운에 지배당하는지를 이야기
하고 있는데 사례들을 읽으며 참 마음에 와닿았다. 내 경험이
책에 그대로 나타나서였다. 무엇이 그리도 가지고 싶었던지
정신없이 뛰어다녔던 그 시절이 생각나서였다.
또한 비교를 하기 시작하면 행복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을
누차 강조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내가 바로 새길 부분이라는
것을 느꼈다. 비교를 해봤자 나아지는 것도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러지 못했던 과거의 내 자신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지나친 욕심은 공격적인 사회 분위기로 이어집니다.
또한 자신의 요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스스로를 피해
자라고 느끼게 만듭니다. P70~P71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은 가족이나 친구에게 양심의
가책을 만드는 능력이 있습니다. P136
욕심이라는 단어는 이 책에서 자주 언급된다. 그 만큼
욕심은 인간의 마음을 황폐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심리적, 신앙적인 조언들도 크게 와닿았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만족하는 삶과 욕심을 버리는 삶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 결코 쉽지 않겠지만, 나를 위해 이겨내야할
인생의 숙제라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앞으로 과도한 욕망에
눈이 멀지않기를, 그리고 삶의 작은 행복까지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내가 되기를 바라며 책을 마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