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백산맥 청소년판 10 - 제4부 전쟁과 분단
조정래 원작, 조호상 엮음, 김재홍 그림 / 해냄 / 2016년 11월
평점 :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10권이 시리즈로 엄두가 안나서 읽지 못했던 책이다
그러나 이번에 해냄 출판사 서포터즈를 하면서 청소년판으로
만났다
정여니와 방학동안 함께 읽어내려가 드뎌 10권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제 4부 전쟁과 분단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청소년판은 그림이 같이 들어있어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든다.
지리산에 숨어든 빨치산의 가을 모습
예로부터 지리산으로 숨어들어 죽은 이들이 그리 많다는데..
빨간 단풍이 사람들의 핏빛과 같다는 말이 참 처연하다.
p20 사실 지리산은 투쟁지가 아니라 투쟁의 마지막
장소일 뿐입니다.
지리산으로 들어오면 더는 갈 곳이 없고, 길목을 다
막아 버리면 꼼짝할 수 없게 됩니다.
싸워서 죽지 않으면 긴 겨울에 굶어 죽을 수 밖에
없지요
지리산은 보면 그리 높지 않아 깊어 보이지 않는 산이지만 들어서면
정말 깊다고 한다더니
그 말대로 그대로 지리산으로 모여든 도당들이 토벌대의 동계 대공세와
그에 대응하는 도당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자신의 신념과 사상에 따라 인민 해방의 날을 꿈꾸며 자신의 목숨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들의 투쟁이 역사를 알려준다.
같은 민족이지만 사상이 달라서 자신이 추구하는 신념이 달라서
서로에게 총부리를 껴누고 있지만
그들이 갑작스럽게 맞닥뜨리는 장면에서는 서로를
배려하며 헤어지는데 그럴수도 있겠다 싶었다.
왜 이런 장면 영화에서 종종 보곤 했는데 실제로도 그러지 않았을까
싶다는.
이념의 문제이지 사람이 밉고 싫고 죽이고 싶을 정도는 아니니
말이다.
김범우가 있는 거제도 포로수용소는 우리 나라 사람들을 미군이 잡아다
반공 세력과 친공 세력으로 나뉘어 싸움이 일어나기도 하고 미군에게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는데..
김범우가 말해주는 미군의 태도를 보면 약소국의 입장이 얼마나
비참한지를 알 수 있었다.
일제 식민지 지배하에 있는 것이나 해방후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하에
있던 것이나 무엇이 달랐을까?
그것이 결국엔 한국전쟁자체를 종전으로 매듭짓지 못하고 결국엔 또
강대국들의 힘의 논리에 의해 휴전으로 마무리가 된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런 힘의 논리는 지금도 진행되고 있지만 말이다.
지리산 토벌대에 의한 대공세로 많은 이들의 죽음이 나온다.
천점바구와 김혜자의 죽음
많은 이들의 죽음이 있지만 인민 투쟁으로 사랑도 뒤로 미뤄야했던 두
사람은 결국 같이 죽게 되는데..
이들의 사랑은 저 세상에서는 이루어졌을까?
북에 의해 결국은 버려진 남로당은 휴전의 책임마져도 떠안게
되는데..
그런 것에 대한 의구심을 품으며 질문하는 이해룡에게 답을 해주는
김범준의 이야기를 들으며 인민해방을 위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하고 또 누군가는 살아남아 당의 사명을 전달해야한다고 말한다.
그들은 그래서 당의 명령에 따라 인민속에서 해방을 위한 노력을 하기
위해 김범우처럼 반공 포로로 풀려나기도 하고
잡혀서 무기징역을 살기도 한다
그리고 누군가는 끝까지 투쟁하며 죽어간다.
죽음으로 가족에게 온 염상진의 무덤앞에서 하대치와 대원들의 마지막
인사후 어둠으로 사라지며 태백산맥 10권의 막이 내린다.
잘 알지못하는 우리의 어두운 근현대사의 한 부분을 소설로 만난
대하소설 태백산맥
한국전쟁 이야기야 말로만 들었지 이렇게 민족간에 서로를 죽이며
싸웠다고는 상상도 못했다
아마도 그건 전쟁을 겪어보지 못한 세대라 그럴지도 모른다.
광복이후 잘못된 과거 청산으로 인해 지금도 우리는 강대국 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며 살고 있다.
왜 이렇게 살아야하는지..
우리민족이 우리민족 자체로 목소리를 내며 떳떳하게 살 날은 과연
오기나할까 싶다는..
이념때문에 결국엔 한반도가 반으로 나뉘어 지금까지 통일이 안되고
휴전상태로 있는데 언제즈음 남과 북이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면서 하나된 나라에서 살지 궁금하다.
해냄출판사의 태백산맥 청소년판으로 우리 청소년들이 좀더 우리의
암울했던 근현대사를 제대로 알고
왜 민족통일이 되어야하는지에 대해 곰곰히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