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땅 곤충 관찰기 3 - 냠냠 쩝쩝 곤충의 밥상 ㅣ 우리 땅 곤충 관찰기 3
정부희 지음, 최미란.조원희 그림 / 길벗스쿨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어린이 곤충책 길벗스쿨의 우리땅 곤충 관찰기 3번째 책
국립생태원장 최재천 원장님이 추천하시고 한국의 파브르라 불리우는
정부희 선생님이 쓰신 책이지요.

어린이 곤충책 우리땅 곤충 관찰기 3권은 냠냠 쩝쩝 곤충의
밥상입니다.
곤충들의 먹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네요
곤충들은 지독한 편식쟁이라고 하네요
편식을 한 덕에 다양한 100만여종의 여러 곤충들이 함께
살아남았다네요
하긴 그리 많은 종류의 곤충이 모두 한가지만 먹는다면 ㅎㅎ 먹이가
씨가 말라 다 공멸하고 말았을겁니다.
곤충들은 그렇게 보면 참 지혜로운 동물이네요.
길벗스쿨의 어린이 곤충책 우리땅 곤충 관찰기 3권의 차례를 보면
먹이에 따라 나눠 곤충이야기를 실고 있어요
잎사귀만 먹는 곤충
줄기와 뿌리를 먹는 곤충,
열매, 과일이나 버섯을 먹는 곤충
그리고 곤충을 먹는 곤충

여기서 참 특이한 벌레를 보게 되었어요
황금옷을 입은 모시금자라남생이잎벌레
생김새가 정말 자라처럼 생겼네요.
나팔꽃처럼 생긴 메꽃의 잎사귀만 먹는 곤충이래요
주둥이가 약해서 잎맥쪽은 씹을 수가 없어 메꽃잎의 부드러운 잎살만을
골라 먹는다고 해요
그래서 여기저기 구멍이 뽕뽕~
어린이 곤충책 우리땅 곤충 관찰기는 직접 찍으신 사진이 주로
많구요.
삽화를 통해 곤충의 짝짓기나 일생을 그려놓아 쉽게 설명 하기도
합니다.

잎사귀를 먹는 곤충중에 약간은 더러웠던 벌레...
바로바로 몸에 똥칠을 하고 사는 왕벼룩잎벌레 애벌레들
역시나 이 부분에 완전 초집중해서 보는 석군..
아이들은 똥이라면 사죽을 못쓰는군요.ㅎㅎ
왕벼룩잎벌레 애벌레의 똥에는 붉나무의 독이 함께 들어있어 천적에게
잡아먹히지 않게 해준다고 하네요.
참 살아남기위해 똥칠까지..ㅎㅎ

어린이 곤충책 우리땅 곤충 관찰기의 곤충이 더 궁금해는 앞에서 나온
이야기를 더 자세히 설명하고 보충합니다.
곤충마다 잎사귀 먹는 방법도 다르다니 참 신기하네요~

일생의 대부분을 땅속에서 지내다가 한 여름 울다 죽는 매미
매미중에 밤낮없이 울어대는 말매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네요
아마도 곧 이녀석이 울 동네에도 나타나지 않을까 싶어요
매년 여름이면 특히 맑은 날 새벽부터 울어대는 통에 잠을
설치지요..ㅠㅠ

말매미는 나무즙을 먹는다고 합니다
성충은 나무즙을 애벌레는 뿌리즙을~ 말매미 애벌레와 성충이 있는
나무는 이러다 말매미한테 수액을 다 빨리는 건 아닌가 몰러요~
드라큐라가 사람의 피를 빨아먹듯이 말이어요. ㅎㅎ

말매미 애벌레가 성충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찍은 사진을 보니 참
신비로와요~

곤충을 사냥하는 곤충 중에 놀란 건.. 새노란실잠자리입니다
저렇게 가녀린 몸의 예쁘게 생긴 곤충인데 곤충을
잡아먹다니~~~~~~눈이 번쩍
정부희 선생님이 새노란실잠자리를 만난 곳은 제주라고 하네요
곧 제주 여행을 갈까하는데 새노란실잠자리 함 찾아봐야겠어요.
새노란실잠자리는 성충은 파리나 나방같은 걸 잡아먹고 애벌레는
물벼룩이나 실지렁이 등을 잡아먹는 육식이래요.
저 작은 몸으로 대단합니다용~

참 곤충을 겉보기로만 판단하면 안될 것 같아요
무섭게 생겼어도 채식을 하는 곤충이 있는 반면
여리여리하게 생겼어도 육식을 하는 곤충들도 있으니 말입니다.
곤충들이 편식을 한다고 우리 어린이들도 편식을 하면
안되겠지요?
사람은 편식을 하다보면 오히려 사람이 지구상에서 사라질지도
몰라요..
한가지 음식만을 먹고 우리몸을 유지할 수도 없으니 생명유지가 힘들
수 있어요.
그러니 골고루 잘 먹어야한다는~ㅎㅎ
곧 여름 방학이 되면 아이들과 도심을 떠나 시골이나 바다, 강,
숲으로 휴가를 많이 떠나는데요
이럴 때 우리땅 곤충 관찰기를 챙겨가서 아이들과 함께 우리땅에 살고
있는 곤충에 대해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합니다~
책에서 봤으니 이제 실물도 봐야되지 않겠어요?
어린이 곤충책으로 참 좋은 우리땅 곤충 관찰기... 3권은 곤충의
밥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