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종말
제프리 삭스 지음, 김현구 옮김 / 21세기북스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빈곤의 맞춤형 치료.

빈곤은 해결되어야 한다. 왜? 그 이유가 중요하다. 젊은 최연소 하버드 교수의 혈기왕성한 지적 탐구가 해결할 수 없는 의문이 바로 이것이다. 왜 빈곤을 치료하여야 하는가. 최대 부국의 나라에서 최고의 교육을 받은 엘리트가 알 수 없는 문제중 하나. 빈곤이란 어떤것인가.

이 책은 임상빈곤학을 주창한다. 빈곤이란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에 맞는 적합한 빈곤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맞다. 의사는 환자의 아픔에 공감해야 하지만, 때로는 환자의 아픔에 눈을 지긋이 감고 강한 처방을 내려야 할때도 있다. 그것이 옳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사가 정말 환자의 아픔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면, 그가 내리는 아픔을 동반한 처방이 반드시 옳다고 할 수는 없을지도 모든다. 이 책의 주장들이 논리적으로 정연하지만, 그것이 진정으로 아픔을 겪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지에 대한 의문이 드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이 책의 단점은 지나치게 논리정연하다는 것이다. 빈곤을 대하는 감상적인 외침도, 무조건 빈곤을 만든 악의 원흉을 제거하라는 말도 없다. 침착하게 빈곤은 이런 이유로 생겨나는 것이므로, 빈곤의 치유는 이런 방식으로 해야한다고 이야기한다. 젊은 석학다운 방법이다.

이런 객관적인 시각이 문제의 올바른 해결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원조를 늘려 꼭 필요한 맥을 풀어주고, 빈곤의 재순환을 막아주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빈곤은 아픔을 겪는 자들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세계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세계는 인류애 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시장을 위해서, 새로운 사회불안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도 빈곤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그 빈곤에서 벗어나, 그들이 신 자유주의 체계에서 어떻게 자신만의 경제동력을 유지할 것인지, 빈곤에서 벗어나 많이 변한 사회구조에서 어떻게 정치적 안정을 유지할 것인지, 어떻게 그들이 원조국의 경제적 착취에 대한 노력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가 의문스럽다.

내가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인지. 빈곤의 문제란 것이 원래 그리 어려운 것인지. 오랜만에 제대로 된 책을 만났기에 더 많은 욕심이 나는 것인지 모른다. 아무튼 신선하고 참신한 책인 것만은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월은 힘이 셉니다.

세월은 파랗게 싹이 돋던 나뭇가지에서 잎들을 떨구어 내고,

횅한 겨울 나무를 만들어 버립다.

곱던 피부를 거칠게 만들고 윤기가 흐르던 머리에

덤성덤성 흰머리를 수놓는 게 세월입니다.

 

세월이 더욱 무서운 것은 기억마저 바꾸어 놓는다는 겁니다.

세월은 좋았던 시절을 더욱 아름다움으로 윤색해 놓습니다.

좋은 추억과 함께 있었을 법한 고통들은 잊어버리고

온통 아름다움만으로 가득한 시간들을 만들어 놓습니다.

 

그래서 삶의 어느 귀퉁이에서 문득 좋았던 시절의 자리를 마주 칠 때

형언할 수 없는 그리움이 뭍어 나는 한편으로

무언가 이상한 느낌이 느껴집니다. 

이것이 아닌데... 이런 느낌이 아니었는데...

 

그 느낌이 그토록 섬듯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내 가슴에 품고 있던 그 감정과 무척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제야 깨닿게 됩니다.

내가 기억하고 있던 시절들은 꿈이었다는 것을.

 

삶은 그 시절에도 여전히 아픔이었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백일몽

선생님은 말하셨다.

"백일몽은 나빠요"

나는 착한 학생이었다. 비교적.

선생님의 말을 잘 듣는 편이었다. 대부분.

가끔 숙제를 안해가기도 하고, 가끔 장난치다가 벌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선생님의 말을 정면으로 거부한게 하나 있었다.

난 백일몽을 꾸기를 멈추지 않았다.

 

내 백일몽의 세계에선 내가 하늘을 날기도 하고

내가 슈퍼맨이 되기도 했고, 내가 영화속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때로 역사책을 읽고 소설책을 읽으며 눈물을 흘리고 난 후엔

내가 소설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그 소설은 무척 분량이 큰 소설이었다.

책으로 만들면 500page 짜리 책이 수십권도 더 될...

내가 살아 있는 동안 끊임없이 계속 읽어도 다 읽지 못할만한.

 

그런 백일몽을 난 아직도 꾸고 있는가보다.

가끔 책을 읽으면서, 가끔 영화나 그 비슷한 것들을 보면서

난 나도 모르게 무언가 내가 모르는 생각을 하는 것을 느낀다.

난 습관처럼,

내 의식도 자각하지 못하는

그런 백일몽을 꾸고 있는 것인게다.

지금까지도 포기하지 않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난 누군가....

나는 어떤 모습인가....

나는 늘 그렇게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대답은 들리지 않는다.

내 모습은, 희미한 그림자 같은 것인가 보다.

난 모른다. 내가 누구인지.

그러나 난 질문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그것이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질문하는 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황산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세계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산


사람과 사람 사이에 경계가 없어진다면...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로막는 그 무시무시한 침묵의 벽이 사라진다면... 그래서 그 강한 쇠가 황산에 녹아서 없어지는 것처럼, 사람사이의 단단한 무관심의 벽이 녹아내린다면... 이 책은 그런 말을 담아 놓고 있는 책이다. 그래서 책의 제목이 황산이다.


사람이 사람을 지켜보는 사회. 사람이 다른 사람의 고통과 아픔을 지켜보는 것을 오락으로 삼는 사회. 무작위로 추출되어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강제로 수용되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TV로 생생하게 생중계하는 사회. 그리고 그 TV를 지켜보며 하루의 피로를 푸는 사람들...


유명한 영화 '트루먼 쇼'를 연상케 하는, 그러나 그보다도 한결 더 폭력적인 사회. 저자가 이 책에서 그리고 있는 이 엄청난 폭력적인 사회의 모습은 어쩌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인지도 모른다. 먼 미래에 어쩌면 찾아올지도 모르는 디스토피아에 대한 가상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인지도 모른다.


오늘날 우리의 삶에 '오락'이라는 이름으로 이미 그 비극의 씨앗이 뿌려져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이 책을 읽을 때 느끼는 그 기이한 감정은 어쩌면 자각하지 못하고 살아오던 우리들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우리가 배태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비판인지도 모른다. 또한 우리들 스스로도 언제 피해자가 될지도 모르는 그런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염원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