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관 읽는 시간 - 도슨트 정우철과 거니는 한국의 미술관 7선
정우철 지음 / 쌤앤파커스 / 2022년 11월
평점 :
미술을 잘 하는 아이가 아니었던 나는 성인이 된 이후로도 미술을 어려워했다. 아무렇게나 그린 듯한 그림을 많은 돈을 주고 사는 사람을 보며 이해를 못 하기도 하면서도 미술이라는 영역을 탐하는 마음이 한편에 자리 잡았다. 자주 보면 그나마 나을 거라는 기대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으로 미술을 이해보려 찾은 책이 바로 <미술관 읽는 시간>이다.
누가 미술 관련된 책 아니랄까 봐 책 외관이 독특하고 도전적이며 예쁘다. 책등이 그대로 노출되는 모습인데, 찢어지지는 않을지 조심히 넘기곤 했다. 우려와는 다르게 페이지 넘김도 시원하면서 짱짱했다. 이 책에서는 #환기미술관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이중섭미술관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 #수원시립미술관나혜석기념홀 #이응노미술관까지 국내에 위치한 7개의 미술관을 기준으로 화백과 그들의 작품을 설명한다. 작품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다른 책과는 다르게 미술관을 기준으로 구성된 게 특이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미술관의 위치와 특징, 꼭 봐야 할 작품, 그림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기억에 남는 작품은 처음 강렬한 질감의 하트가 눈을 이끈 김환기화백의 <성심> / 심플하지만 자꾸 보게 되는 장욱진화백의 <진진묘> / 물방울이 자신의 내면의 모든 것이라 말한 김창열화백의 <회귀> / 그림보다는 화백의 생이 더 짙게 느껴지는 이중섭화백의 <가족에게 보낸 편지> 등이 있었다. 특히 이중섭화백의 일대기는 무척 인상적이었고 40대라는 젊은 나이에 병으로 죽었다는 게 마음이 쓰였다. 제주도 관광을 하면서 우연히 이중섭거리를 거닐곤 했었는데, 그때 이 책을 읽었더라면 더 좋았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미술관을 읽는 시간>의 난이도는 미술을 하나도 모르는 초보자가 읽기에 적합하다. 미술관과 작가 그리고 작품에 대한 설명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이해하기가 쉽다. 전문적이고 어려운 단어가 거의 없고 있어서도 설명이 잘 되어 있는 편이다. 저자 사적인 감상과 설명이 더해졌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작품을 어떤 눈으로 바라봐야 할지 무지한 상태에서 저자의 감상이 차오른다. 접근성이 좋은 국내 미술관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 서양 작품에 비해 부족한 한국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는 점, 더 나아가 비교적 대중적인 국내 작가들에 대해 알 수 있다는 점 등이 좋았다.
무엇보다 좋았던 건, 우리는 왜 미술관에 가는지에 대한 저자의 답변이었다. 저자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하며 일상에서 느끼기 어려운 감정을 자극받기도 하고, 잠들어 있던 감각 세포가 살아나는 느낌이 든다고 한다. 그동안 미술작품을 보며 무엇을 느껴야 하나?라고 고민했던 필자에게 작품을 보는 이유는 일상에서 느끼기 어려운 새로운 자극을 받는다는 답변이 무척 와닿아 목적이 생긴 기분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도슨트라는 직업을 가진 저자가 미술관이 어려울 독자들을 위해 건네는 말들이 정말 좋았다. 미술관이라는 공간에 대한 이해와 미술관에 가기 전 알아야 할 에티켓은 뭔지, 도슨트를 언제 듣는 게 좋은지, 추천하는 관람 방식은 뭔지에 대해 다정하고 또 사려 깊게 알려주고 있어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을 읽고 정말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 거 자체로 좋은 책이라는 것을 알았다.
< 미술관 이용 꿀팁 >
● 주말보단 평일이 여유롭고, 가능하다면 평일 중에서도 14~16시는 피하는 편이 좋다
● 미술관 가는 날엔 운동화와 평상복을 입는 것을 추천
● 작품이 더위에 손상되지 않게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미술관이 추울 수 있으니 겉옷을 챙기는 것이 좋음
● 조용히 소규모로 도슨트를 듣고 싶다면 18시 내외를 추천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