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툰 작별 - 아버지의 죽음 앞에서 마주한 것들
김인숙 지음 / 지와수 / 2022년 6월
평점 :
아버지가 병상에 눕고 돌아가시기까지 딸의 시선으로 본 1년 동안의 기록이다.
요 이틀 이 책과 함께한 시간 동안은 무언가 가슴을 누르고 있는 듯 우울하고 답답한 마음이 함께했다. 그렇다고 저자가 직면한 상황이 마냥 저자의 일만은 아니기에 외면할 수만은 없어 나 또한 남의 일 같지 않은 시선으로 책을 읽었다.
"아버지는 햇빛과 바람에 투명하게 물든 가을날 나뭇잎이 사그라들 듯 백지장 같은 얼굴빛으로 병상에 납작하게 누워있었다"
이 책은 미사여구가 많고 자극적인 단어들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우울한 분위기의 책을 읽으면서 과도한 미사여구가 어울리지 않아 읽는데 거슬렸다. 그러는 반면, 자극적인 단어들을 사용하여 흡입력이 대단했다. 여러모로 감정이 많이 녹아들었고 과정이 지루하지 않고 스펙터클하다고 느꼈다.
저자는 이 책을 쓰면서 무슨 감정을 많이 느꼈을까. 책을 읽는 동안 나는 저자가 지옥에서 사는 것 같아 보였다. 도뇨관 삽입 일로 죄책감이 많이 느껴지고 여유가 없어 보였다. 본인이 마음의 여유가 없어 예민해지고 병원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을 비난하며 힘들어 보였다. 자신과 같은 정성으로 아버지를 돌보기를 바라는 마음이야 십분 이해하지만, 자신의 사정만을 생각하고 사회적인 시스템의 사정은 고려하지 않고 생각하는 부분은 이해하기 힘들었다.
"이번에도 요양원 담당자로부터 아버지의 병세와 퇴원 날짜를 확인하는 연락을 받았다. 아버지의 안부를 묻는 전화가 아니라 입원 기간이 규정된 일수 보다 길어지니 퇴실 된다는 통보였다."-97p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도 아버지의 고통을 손 놓고 바라볼 수밖에 없는 무기력과 자책감이 더해졌다. (..) 아버지와 함께한 순간마다 기억 속에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었다. 앞으로 아버지에게 일어나는 무슨 일이든 받아들이기로 마음먹었다."-135p
아버지는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내가 아버지의 입장이라면 그런 식으로 생을 마감하고 싶지는 않을 것 같다.
저자의 말처럼 '자신이 살아온 삶의 터전에서 존엄을 유지하면서 맞이하는 죽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이 수명이 많이 단축되는 상황이라도.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벌써 5년이 지났지만 저자의 글에선 아직도 눌어붙은 감정들이 살아있어서 놀랐다. 이제는 그 괴로운 마음에서 벗어나시길 바란다.
“이기심이 아닌 아버지를 위한 선택이었는지를 묻고 또 묻는다. 자신의 욕심을 내세워 상황을 더 힘들게 하지는 않는지, 무엇이 최선인지 혼란스럽기만 했다." 117p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