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리로 나온 미술관 - 길 위에서 만나는 예술
손영옥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1월
평점 :
미술에 대해 무지하고, 미술을 보려면 미술관을 가야 한다는 편견이 있는 내게 미술작품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고 예술에 대한 눈을 떼준 책이 있다. <거리로 나온 미술관>에서는 공공미술, 건축 이야기, 역사 이야기, 새로운 공공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 책 다른 책과는 다른 특별한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일상을 예술로 바뀌는 마법을 가지고 있다는 것
미술 작품을 보기 위해서는 미술관에 가야 한다는 편견을 깨고 꼭 유명 작품이 아니더라도 인테리어 소품 속에서도, 화장실에 걸린 작은 그림에서도, 학교에 있는 조형물에서도 우리는 예술작품을 마주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일상에서 공공미술이 이렇게나 많이 포진되어 있다는 사실을 몰랐었는데, 책에서 다루고 있는 공공예술작품들 같은 경우에도 정말 길 지나다가 만났기도 하고 앞으로 만날 수도 있는 작품들이 더러 등장해 반가움 마음도 들고 그때 만났던 그 조형물이 그런 뜻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니 일상이 곧 예술이었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두 번째는 미술에 대한 배움이다.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다 일상생활에서 마주한 예술작품들에 관심이 생기면서부터 이 작품들은 언제? 누가? 왜?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 호기심이 생겼고 그로 인해 미술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넓어지고 있음을 느꼈다. 이 책 한 권이 뭐라고 사람의 관점을 바꾸고 관점 하나 바뀌었을 뿐인데 지식이 넓어지고 보는 시각에 깊이가 깊어짐을 느낀다. 이 책에서 등장했던 미술작품들은 이제 길거리에서 마주했을 때 그전과는 다른 시선을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는 책의 구조, 구성이 너무 깔끔하다.
미술을 설명하는 책이라서 그런지 색상이 다채롭고 적재적소에 등장하는 작품 사진들이 글의 이해를 돕는다. 공공미술에서는 현대자동차 남부서비스센터 외관이라던가, 충무공 이순신 장군상이라던가 익숙하고 알고 싶은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한 것도 좋았고 건축 이야기에서는 스토리텔링이 궁금해지는 독특한 건축물들이 사진만 봐도 재미를 느꼈다.
미술작품들이 거리로 나오게 되면서 좋은 장점들도 많이 있지만 사람들의 무지로 인해 그곳에서 담배를 피워 훼손한다든지 소변을 본다든지 하는 좋지 않은 이야기를 읽을 때면 같은 인간이라는 이유로 창피함을 느끼기도 했다. 아마 나도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거리에 있는 공공미술 작품들의 이해가 부족해서 이게 미술작품인지 그냥 편의 시설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 무지한 행동을 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아찔하기도 했다. 이렇듯 미술에 무지한 사람이 읽기 좋은 책이고 미술관을 가지 않아도 일상에서 작품을 볼 수 있는 눈을 트이게 해주는 책이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