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정신병원에 놀러간다 - 편견을 깨고 문턱은 낮추는 원무과 직원의 단단한 목소리
원광훈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유난히 깔끔하고 단조로운 하얀색 표지가 기억에 남는데, 정신병원을 주제로 한 책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을 책을 다 읽고 이해됐다.
<나는 정신병원에 놀러간다>는
'정신병'하면 우울증 정도 밖에 모르는 나는 송재우 작가의 '검은 개가 온다'를 인상 깊게 읽은 기억으로 정신병원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이 궁금했다. 외부에서 바라본 정신병원에 대한 카더라와 괴담?은 많았지만 을 접할 기회는 없었기 때문이다.
유독 비밀스럽고 정보가 없는 정신병원은 어떤 곳일까?
이 책에서는 정신병원 선택하는 방법, 원무과에서는 무슨 일을 하고 왜 불친절한지, 입원하기 싫어하는 환자 병원에 데려오는 팁, 입원 시 필요한 서류, 입원비가 어느 정도 되는지, 병동 생활은 어떤지, 치료가 가능한지, 면회 진행 방법, 퇴원 이후 생활, 정신병의 전조증상, 외부 편견에 대한 답변 등 다채로운 내용이 많이 담겼다. 에세이지만 자신의 이야기의 비중보다는 궁금해할 만한 실용적인 '정보'가 많이 담겨있어서 유용했다. 저자는 정신과의 편견과 부정적인 시선을 타파하고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병원에 입장이랄까? 미묘하지만 어떤 분위기를 어느 정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혹시 나에게도 있을 지도 모르는 정신병원 입원을 가상해서 생각해 보니 이 가장 유용했다.
저자는 유독 한다. 아무래도 정신병원은 폐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정신병은 의사가 독단적 판단에 의해 결론을 짓는 방식이라서 그런 것 같았다.
정신병원을 고르는 방법은 전화로 친절한지, 직원들이 눈 맞춤을 잘 해 주는지, 개방 병동 공개 여부 등 다양한 방법을 알려주었는데 정신병원은 내부정보가 없어 막막한 사람들에게 정말 좋은 팁이다.
그 외에도 새롭게 알게 된 사실도 많았지만 기억에 남는 것은 6개월 이상 차도가 없다면 과감하게 다른 병원을 가야 한다는 것, 정신과는 약물 복용이 치료의 절반이라는 것, 정신병원에서 환자를 괴롭히려고 혹은 군기를 잡으려고 절대 구타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신병은 나와는 관계가 없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다.
하지만 코로나 블루 시대이기도 하고 알코올중독자도 정신병원에 입원한다. 또 우울증 같은 건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병이자, 정말 가까운 사람에게도 감추는 병이라서 아내, 남편, 부모님, 친구까지 우울증이 심각할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책은 상식으로 읽고 가도 좋다고 생각한다. 나 같은 경우에도 정신병이 있는 이웃 때문에 폭행, 공공장소 난동 등 피해를 받고 있는 모습을 직접 눈으로 보니(허공에 말을 하고 집에 있는 도자기 같은 것을 복도에 던지고, 쩌렁쩌렁 고성을 지르던 할머니) 당황스럽고 무작정 신고를 해야겠다는 생각만 했었다. 결과는 뭐 경찰이 와도 조치할 것이 별로 없었는데, 하거나 정신건강센터,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정신병은 생각보다 가까이 있고, 정말 많은 편견에 둘러싸여 있다.
정신병원 원무과 직원이 들려주는 병원 안쪽의 풍경들, 입원부터 퇴원까지 정신병원이 움직이는 형편과 까닭을 잘 정리해 준 책.
보험과 같은 책이다. 지금은 상관없어도 혹시 몰라 상식으로 읽어두면 좋겠다 싶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