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딜레마
B. A. 패리스 지음, 김은경 옮김 / arte(아르테) / 2021년 5월
평점 :
품절
들어가는 말
책 표지 띠에 분명 가족 심리 드라마라고 적혀 있는 것을, 방금 봤다. 그만큼 책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전체적인 흐름과 문체, 서술방식 등이 꽤나 기시감이 있었는데, 얼마 전에 읽었던 '걸 프렌드'라는 소설과 매우 흡사했다. 심지어 같은 작가의 소설이 아닌가 싶어 검색해봤지만, 전혀 다른 작가. 번역의 문제인가 싶을 정도로 흡사해서 출판사와 번역자, 작가까지 다시 검색해봤다.
결론은, 그런 기시감이 의혹이나 불쾌함으로 남지 않을만큼 재밌는 소설이었다. 특히나 소설에 대한 사전 정보가 일절없이 읽었던터라 불륜이나 배신, 가족간의 비밀(비밀이 아주 중요한 소재기는 했지만, 필자가 상상했던 비밀은 아니었다.)을 예상한 필자의 마음을 온통 혼란하게 만들어서 거의 추리소설을 읽는 듯한 긴장감을 내내 주었고, 생각보다도 매우 빠른 시간에 독파해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마음에 들었던 것은, (스포일) 정말 주변에 흔하디 흔한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되지 않아서 '혹시나'하고 기대하고 있던 필자의 마음을 책을 덮는 순간 다른 의미로 후려친 결말이었다.
모두에게 비밀은 있다.
가족 사이에도 비밀은 있다. 그 구성원 누구에게도 각자의 비밀이 있고, 그 구성원 간에는 서로의 비밀을 아는 사람이 있으며, 그 비밀을 아는 사람이 비밀을 안다는 사실을 아는 구성원과, 그것을 모르는 구성원과, 그런 구성원들간의 사이에 대해 불편해하는 구성원도 있다. 그것은 인간이 오롯이 '혼자'인 생물이기 때문이면서 인간이 오롯이 혼자는 '설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원래 스포일을 매우 싫어하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소설의 내용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피하는 편이다. 특히나 이 책에 대해서는 더욱 더 피하고 싶은데, 그 이유는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으며, 완성도가 매우 높은 소설이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고, 최근에 이렇게 가족에 대해, 그리고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감내해야하는 것들에 대해 이렇게 절절하게 써진 소설은 오랫만이기 때문이다.
리비아는 애덤과 혼전임신을 계기로 부모와 연을 끊었지만, 혼인 초반 방황을 끝내고 자신을 너무나 사랑해주는 남편 애덤과 그런 남편 때문에 유년의 상처를 지녔지만 그런 이유로 더욱 심성이 깊은 아들 조시, 그리고 세상 누구보다 이쁘고 사랑스러운 딸 마니와 행복한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나, 리비아는 어떤 비밀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 비밀은 온 가족을 모두 슬픔에 빠뜨리고, 가족 모두가 서로에게 등을 돌릴 수도 있는 비밀이었고, 마니는 그런 비밀을 지켜줄 것을 요청한다. 하지만 리비아는 영원할 수 없을 비밀을, 자신의 인정받지 못했던 결혼에 대한 보상으로 치뤄지는 마흔살 파티에서 밝히고자 한다.
애덤은, 그런 리비아의 파티에 최고의 선물이 될 이벤트를 마니와 함께 준비하지만, 예상하지 못한 사건으로 인해 이벤트는 가족을 구렁텅이에 빠트릴 함정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애덤은 비밀을 알게된다고 해서 변할 것이 없다는 '사실'과 20년 간 리비아가 기다려온 파티를 마무리함으로써 '사실'을 알기 전에라도, 혹은 그 이후 절대 누리지 못할 수 있을 행복을 잠시 누릴 수 있도록 비밀을 지킨다.
비밀은 비석처럼
하지만, 서로가 가진 그 비밀을 '같은 사실'이라 오해한 둘은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비밀을 각자 이야기하고, 결국은 서로에게 그것을 비밀로 한 상대방에게 분노하고 실망하며 절망한다.
결국 둘은 서로의 비밀이 결국은 서로를 보호하기 위한, 가족을 지키기 위한, 가족을 사랑하기에 지켰어야만 하는 비밀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고, 긴 시간이 흐른 뒤에는 그 비밀을 딛고 일어서 다시 가족의 굴레로 살아가게 된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소설 속의 이야기일 뿐. 우리는 흔히 주변에서 '가족 간의 비밀'이 드러났을 때, 어떤 비극이 벌어지는지 익히 알고 있다.
비밀은, 특히, 가족이라는 굴레 안에 있는 사람 간에 비밀이라는 것은 비석처럼 처리해야한다. 그것은 만들어진 시점에 이미 땅에 묻힌 것이어야하고, 절대 그 자리에서 살아나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져서는 안된다. 아무리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결국 서로를 용서하고 끌어안게 되더라도. 희미해질지언정 그 상처는 비문처럼 영원히 남을 것이므로.
혹시나, 누군가가 자신에게 비밀을 들켜 실망했거나, 본인이 어떤 비밀을 갖고 있다면. 그리고 그 비밀이 본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상대를 위한 것이 명백하다면, 필히 이 소설을 권해주고 싶다. 분명, 어느 시점에서는 애덤에게, 리비아에게 '그러지 마라'고 외치고 싶을 것이고, 또 어느 부분에서는 '그래, 나도 알아. 괜찮아.' 라며 안아주고 싶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