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을 죽인 여자들
클라우디아 피녜이로 지음, 엄지영 옮김 / 푸른숲 / 2023년 12월
평점 :
<신을 죽인 여자들>은 아르헨티나의 대표 작가이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인 클라우디아 피녜이로의 작품으로 30년 전 종교로 인한 세 자녀의 비극을 담은 소설이다. 제목의 원제는 Catedrales(대성당들)이다.
신을 죽인 여자들의 줄거리는 세 자매 중 17세 막내 아나가 성폭행 흔적을 가지고 쓰레기 동산에서 토막 난 채 불에 타 발견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좋지 않은 일로 살해당한 아나의 사건은 범인을 찾지 못하고 빠르게 종결되고 30년 후 그동안 아나의 사건을 파헤치던 아버지 알프레도가 남긴 편지로 인해 사건의 진상을 알아가는 내용이다.
"아나는 내 품에 안긴 채 죽었다.
죽은 사람을 또 죽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세상 그 누구도 두 번 죽지 않는다."
소설은 아나의 살인사건의 주변 인물들의 시점을 번갈아가면서 서술되는 형식으로, 무신론자라 밝히면 정신병자라 취급하던 사회적 분위기에서 하느님을 믿지 않는다고 소신을 밝히고 아나의 죽음을 기점으로 30년간 가족을 떠떠난 둘째 리아의 이야기, 가족보다 종교를 우선시하고 남의 눈에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가 더 중요한 첫째 카르멘, 아나의 죽음을 곁에서 함께한 친구 마르셀라, 모든 것을 하느님의 탓으로 돌리면서 자기에 책임을 회피한 카르멘의 남편 훌리안, 카르멘과 훌리안의 아들이자 할아버지 알프레도의 편지를 전달한 마테오, 아나의 죽음 당시 사건 수사 과학자 엘메르의 시선이 담겼다. 30년간 딸의 죽음을 파헤치고 진실을 알아가면서 평생 고통에 삶을 살게 된 아버지 알프레도 그러면서도 마지막 반전까지.
한 사건을 두고 주변 인물들의 관점으로 서술된 터라 아나의 사건을 다양한 관점에서 심도 있게 바라볼 수 있는 반면, 사건의 진척은 늦다는 특징이 있다. 종교를 중점에 둔 소설이지만 무신론자, 유신론자 모두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무신론자 입장에서는 모든 사건의 직접적인 책임 당사자가 '모든 것이 하느님의 계획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라 생각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면서 화가 치밀어 오른다. 반면 유신론자의 입장에서는 이 소설이 의도하는 것 자체가 종교의 어두운 이면을 이야기하면서 신체적 욕망을 갈망하는 부분, 왜곡되고 모순된 신자들의 행동을 유신론자들을 좋지 않은 이미지로 보이게 하는 부분이 못마땅하게 다가올 것이라 생각된다.
종교가 곧 문화인 시절 그들이 종교 탓을 하는 행동 역시 탓을 할 수 없다. 범인을 알고서도 그저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 사람들을 보면서 복합적인 감정이 든다. 범인을 찾는 과정을 쫓는 스릴 장르가 아니며 복수에 성공하는 속 시원한 결말도 없다. 종교가 중심인 시절 주요 인물들의 생각과 상황을 응시할 뿐이다. 그래서 비교적 쉽게 범인을 알려준다. 무신론자 입장에서 책을 읽었고 다 읽은 후에는 그저 안타까움만이 남는다. 17세 아나가 무슨 죄가 있을까. 어린아이가 그렇게 잔인하게 죽을 마땅한 이유가 '고작' 일까. 자신이 전달한 편지로 인해 모든 사실을 알게 된 마테오는 자신의 부모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알프레도가 평생 겪은 지옥을 마테오가 고스란히 느낄 것을 알면서도 진실을 밝혀야 했을까? 종교가 개개인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여실히 느낄 수 있었고, 사람을 잔인하게 죽였어도 하느님으로부터 책임을 전가하는 모습은 마냥 유희로서 이 책을 받아들일 수만은 없었다.
<신을 죽인 여자들>을 읽으면서 온몸 소름 끼친 문장을 적어본다.
"왜냐하면 아나의 죽음은 하느님의 뜻이기 때문이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