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짝반짝 빛나는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남편이 나를 일컬어 표현하는 것들 중에는... "바른 생활 사나이"가 있다. 나는 사나이가 아니라고 주장해도, 그 표현에는 사나이 밖에 어울리지 않으므로 꼭 "사나이"여야 한단다. 내가 그에게 "바른 생활 사나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융통성이 좀 과하다 싶게 많아 사회 규범이나 규칙 같은 것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그에게 사사건건 잔소리를 해대기 때문이다. 누가 옳은 것인지(지키는 것이 맞는지, 지키지 않는 것이 맞는지... 헷갈리는 세상이다.)는 차치하고 융통성이라고는 손톱만큼도 없는 나는 동화나 소설, 영화까지도 꼭 "권신징악"으로 끝나야 마음이 시원하다.
옳지 않아 보이는(사회 규범상 평범하지 않은) 사람들이 주인공이라도 되면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하다. 옳고 그른 것에는 기준이 없음에도 혼자 좌불안석이다. 내 나름의 기준에 합당하게 결론이 나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혼자 그 책에 화를 내는 것이다. <<반짝반짝 빛나는>>도 지금까지의 내 기준에 따르면 그랬어야 했다.
지금까지 읽었던 수많은 책의 "작가의 말" 중에 <<반짝반짝 빛나는>>이 최고였다. 책에 대해 일일이 설명해주지도 않고, 제목을 짓게 된 아름다운 시가 곁들여져 있었고, 그녀의 말 하나하나가 무척이나 감성적이어서 책의 내용이 시작하기도 전에 푹~ 빠져버렸다. 그녀가 말했다. "아주 기본적인 연애 소설"을 쓰고자 했다고.... 그래서 난 한치의 의심도 하지 않았다. 그 뒤에 시메온 솔로몬이라는 화가를 설명하며 동성애자라는 의심을 사 화단에서 쫒겨난 사람이라는 설명을 굳이 해 주었을 때, 난 알아야 했다. 이 소설 속에 누군가는 동성애자겠구나...라고.
소설은 내 예상을 계속해서 깨나갔다. 연애 소설...이라고 생각해서 연인이 등장할 것이라는 생각(부부가 나온다), 부인은 남편의 애인을 싫어할거라는 생각(남편만큼이나 좋아한다), 결국엔 모두 헤어질거라는 생각(세 사람의 행복한 결말).... 난 참 바보같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그동안 통속적인 드라마를 많이 봤나,라는 반성과 함께....
조(躁) 상태와 울(鬱) 상태를 반복하는 쇼코의 의식 세계가, 마치 내 친동생처럼 귀엽게도 느껴지기도 하고 내가 쇼코인 양 감정이입도 되어 난 쇼코에게 빠져들었다. 그녀를 전부 다 이해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녀가 왜 항상 술을 찾는지, 그녀의 행동은 어디에서 나오는지 속속들이 알 것 같은 기분은... 나를 비참하게도 하고 절절이 가슴 아프게도 했다. 필사적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쇼코의 행동은 자신을 지키기 위한 몸부림이었을 것이다. 그것을 이해해주는 무츠키가 너무 고마웠다.
에쿠니 가오리가 말하는 "아주 기본적인 연애 소설"이란 남자와 여자의, 혹은 남자와 남자의 사랑이 아닌.... 인간과 인간의 사랑을 얘기하는 것이리라.
 |
|
|
|
나는 왠지 울고 싶은 기분이었다. 불안정하고, 좌충우돌이고, 언제 다시 와장창 무너질지 모르는 생활, 서로의 애정만으로 성립되어 있는 생활. |
|
|
|
 |
다른 사람들 눈에는 이상하고 말도 안 되는 생활을 하려는 이 세 사람이 더럽다거나 혐오스럽게 느껴지지 않고, 안타깝지만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인간과 인간의 사랑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겠지.
p.s 소설 속 '곤'이 선물한 "청년의 나무"라는 별명을 가진, <유카알레판티스페스>라는 나무가 너무 궁금했다.
그래서 찾아봤다.^^
집에서 키우는 것은 줄기도 좀 가늘고 잎도 저렇게 억세지 않겠지만, 소설을 읽으며 상상했던 나무와는...조금 거리가 멀어서...실망..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