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우리는 끊임없이 거짓말을 할까
위르겐 슈미더 지음, 장혜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신문기자인 저자는 왜 우리는 거짓말을 할까? 라는 생각을 하다 그렇다면 거짓말을 하지 않고 산다면 어떻게 될까가 궁금해진다. 평소 미국 작가 A.J.제이콥스의 <미친척하고 >성경 말씀대로 살아 본 1년에 깊은 감명을 받고 있던 그는 이참에 자신도 그처럼 거짓말 하지 않고 40일간 살아보기에 도전해 보기로 한다. 뭐, 그게 그렇게 어렵겠어? 라고 배짱좋게 도전한 그는 첫날부터 고전을 겪는다. 맘에 들지 않는 것에 침묵하는 것도 거짓말이라고 정했던 그는 열차 판매원의 빙퉁맞은 처사에 가만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갖은 용기를 다내서 "이런 싸가지가 있나" 호통을 친 그는 조금은 할말을 다 했다는 점에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그래, 이거야~~용기 있게 말 했다는게 중요한 거야. 진실을 말하니 좋네...라면서 잠시 그는 희희낙낙 한다. 그 다음에 올 재앙을 미처 예상하지 못한 채...
그렇다. 싸가지 없는 인간에게 욕을 하는 것만이 진실은 아니니 말이다. 인간관계에서 거짓말을 하는건 어느정도 유용한 점이 있어서가 아니겠는가. 곧 그는 진실을 말한 댓가를 지불하게 된다. 친구가 바람 피운 사실을 전 여자친구에게 발설했다가 얻어 터지고, 정직하게 세금 신고를 했다가 세금폭탄을 맞는다. 회사에 출근해서는 '좋은 아침'이라는 화이트 라이없이 자신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를 셈 하게 된다. 임신한 아내에게 진실을 말하다보니 늘 소파 신세고, 교수인 형에게는 늘 앞서나가는 형이 부담이었다는 말을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아버지에겐 진심으로 자신을 칭찬해준 적이 없던 것에 화를 내고, 엄마에겐 신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포커 게임에서 자신에게 들어온 패를 다 알려 주지만, 평소보다 더 잃지 않았다는 것에 재밌어 한다. 음식 맛이 형편없다는 것에 항의하려던 그는 아이들의 말엔 왜 어른들이 상처를 입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그리곤 비난이나 조롱이 섞이지 않는 담백한 진실이기에 그렇지 않을까 추론해낸다. 그렇게 거짓과 진실 사이에서 많은 것을 알게 되지만, 그에게 있어 가장 큰 난관은 그 자신 안에 있었다. 자기 자신에 대해 거짓말 하지 않기. 그것이 생각보다 어려웠던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거짓말은 자신에게 하는 거짓말 아니겠는가. 평소 자신을 다정하고 핸섬하며 근육질의 보기만 해도 여자들이 뽕 가는 외모의 소유자라고 여기던 사람이라면 더 그럴 것이다. 몽땅 내려 놓고 현실을 마주하는거 쉽지 않다. 거짓은 안 돼! 라면서 거만한 자신과 대면한 그는 확 자신감을 잃고 만다. 하지만 진실한 본인을 만방에 그대로 소개하면서 그는 처음으로 홀가분해진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 어떻게 볼지 생각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내보여도 괜찮다는걸 알게 된다. 거짓말이란게 일시의 마취제가 될 수는 있을지 모르나, 영원히 진실을 가릴 수는 없는 것이니 말이다.
왜 우리는 거짓말을 하고 살까? 진실만을 말하며 사는 것보다 나은 점이 있어서가 아닐까? 우리 인간이 하루에 몇 번이나 거짓말을 하는지 계산을 하는 사람도 있던데, 만약 자신을 속이는 것까지 거짓말의 범주에 넣는다면 우리는 항상 24시간 내내 거짓말을 하면서 산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렇게 거짓말 없이는 살 수 없을 것 같은 이 현실에서 진실만을 말하고 산다면? 그게 100% 정답이라곤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책은 별 쓸모 없는 일을 장황하게 나열한 책에 불과한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고 본다. 어느면에선, 거짓말에 중독되어 사는 현대인에게 그리고 진실을 이야기하기 어려워 하는 당신에게 경정 정도는 울려줄 수 있으니 말이다.
아는 사람중에 고매한 인격에 남에게 나쁜 소리라고는 한마디로 못하는, 소위 선비라 불리는 선배가 있다. 평소의 언동 그자체로 남의 귀감이 되는 그에게도 반전이 있으니, 어찌된 일인지 그는 맥주 한모금에 별별 험한 인격모독과 비난과 조롱을 다 털어내신다. 지킬박사와 하이드의 일상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처음 그를 본 사람들은 모두 그에게 호감을 가지지만 , 한번 이상 술 자리를 한사람들에게 그는 밉상이다. 가족들은 학을 떼면서 치를 떤다. 그가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꾹꾹 숨기고 착한 척을 한다는 배신감 때문이다. 이런 경우엔 두 배로 곤란하다. 차라리 앞에서 솔직하라. 그게 더 낫다. 뒤에서 뒤통수 치는 것보다 라고 사람들은 말해준다. 그럼에도 그는 변하질 않는다. 아마도 자신이 설정한 거짓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이 쉬운게 아닌가보다. 당신은 어떠신가? 혹시 하고 싶은 말을 앞에서 다하지 못하고 뒤에서만 종알대고 있는건 아닌가? 그게 진실이라고 여기면서 말이다.
그렇다면 40일간의 거짓말 하지 않기 프로젝트를 끝낸 저자의 심정을 어떨까? 홀가분해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과거처럼 살지는 않을 거라고 한다. 진실을 말해서 좋은 점들을 발견한 것이다. 무엇보다 일상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습관적인 거짓은 생각을 요하지 않지만, 마음을 담은 진실을 말하려면 신중한 생각이 필요하니 말이다. 덕분에 그는 아내와의 사이도 좋아지고, 형과의 해묵은 앙금도 풀었으며, 앞날이 걱정되는 친구에게 자신의 근심을 털어놓았다. 그리곤 깨닫는다. 소심하게 마음에 담아두는 것보단 진심을 이야기 하는 것이 관계를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말이다.
브라보~~~ 놀라운 일이다. 단지 40일만에 이런 깨달음을 얻었다니, 프로젝트 자체가 대단히 성공적인 것인지, 아니면 그 자신이 이미 그런 싹을 내재한 사람이었는지 모르겠다. 본인이 무슨 예수도 아니고, 거짓말 단식 40일만에 철이 들고 성숙해졌으며 자신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했다니, 그렇지 않는가. 그 영리한 제이콥스도 적어도 1년은 걸렸는데 ...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이것이 다소 기획된 프로젝트란 생각이 들어서다. 흘러가는데로 두는 것이 아닌, 이런 말로 심금을 울리고 말겠다는 의지가 느껴졌다고나 할까? 어느면에선 작가가 그만큼 재치가 있고 글을 제대로 쓸 줄 안다는 뜻이기도 하겠지만서도. 유머감각 넘치는 데다 어떻게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 같아 보였으니 말이다.
그건 그렇고, 이런 저런 이야기를 늘어 놓지만, 딱히 나쁜 말을 한 적은 없지만, 이 책을 보고 진실만을 말하며 살아야 겠다고 다짐하는 사람은 없을 거라 본다. 왜냐고? 본질적으로 이 책은 심심풀이로 읽기 위해 쓰여진 책이니까.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하니, 진실의 가치를 드라마 형식으로 읽고 싶다시는 분들에게 강추! 나 대신 그가 어떻게 진행되어 갈지 실시간으로 보여드립니다. 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