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결한 할리우드 - 악동 감독 케빈 스미스의 미국 문화 뒤집기
케빈 스미스 지음, 조동섭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케빈 스미스? 처음 들어보는 감독이다. 이 감독의 작품중 가장 대중적이라는 <저지걸>도 안 봤으니 당연한 일일 것이다. 처음 들어보는 감독이건 아니건간에, 문자로 쓰여진 것은 읽는다는 모토하게 집어든 책--실은 도서관에서 빌릴게 이것밖엔 없었다.--낄낄대며 읽을만은 했다.
대학교 시절 점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알게된 인간 군상에 대한 이야기를 시나리오로 써서 영화를 만든 케빈은 의외로 그 영화가 대박이 나면서 스타돔이 오른다. 자신이 생각해도 어떻게 내가 이렇게 유명해 졌을까, 감격한다는 그가 들려주는 할리우드 통신, 할리우드의 속 안을 까발려 준다고 보면 되겠다. 물론 그 까발림의 대상은 주로 이름만 대면 알만한 배우들이라 호기심이 동한 것도 사실. 겉으로만 보여진 그들의 모습이 아니라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진진했다. 신명나게, 속 시원하게, 한점의 숨김도 없이, 혹시 점잖은 말을 쓰면 우리가 자신이 진실로 까발리고 있다는걸 안 믿어 줄까봐 비속어를 남발하며 적나라하게 까발려 주고 있던데, 시나리오를 직접 쓴다고 하더니 글을 어떻게 써야 사람들이 좋아할지는 아는 사람인 것 같았다.
다만 문제라면, 지나치게 자기 위주의 글을 쓴다는 것이었다. 기자가 아니니 객관적인 시선을 가지고 소재를 다뤄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자신의 경험을 걸름망도 없이 그냥 직설적으로 쏟아내는데 좀 얼떨떨하기는 했다. 고로 처음 읽을땐 낄낄대면 웃었지만 페이지가 나아갈 수록 얼굴에서 미소가 사라지는 것이 특징, 저자에 대한 의문점이 뭉게뭉게 피어오르더라 하는건 절대 내 탓이 아니다.
특히 이 책에서 가장 꼴불견이었던 것은 친구라는 벤 애플렉에 대한 지나친 찬사와 비속어가 너무 남발한다는 것이었다. 이 책을 읽고 날 좋아하는 친구를 갖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날 존경하는 친구를 갖는건 피곤한 일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정말 벤 애플렉이 그렇게 대단한 배우였던거야? 그의 연기에 한번도 감명을 받아본 적이 없는 나로써는 주구장천 칭찬을 해대는 케빈의 오바가 나를 설득하기는 커녕 아예 이참에 그가 완전히 싫어져버렸다. 더군다나 벤 애플렉은 또 어떤가? 뭐, 이 책으로 인해 성경이 두번째로 위대한 책이 됐다고? 하, 정말 비속어로 욕 나온다. 욕을 싫어하는 관계로 차마 내뱉지는 못하지만 말이다.
아, 그래도 읽을땐 재밌네 싶은 장면도 있었는데, 읽고 나니 생각나는건 안 좋은것 뿐이다. 짜증이 쓰나미처럼 밀려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