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모에 - 혼이여 타올라라!
기리노 나쓰오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사랑으로 맺어진 결혼은 아니었지만 평생 남편만 보고 살아온 도시코는 59세의 나이에 갑자기 과부가 되버린다. 샤워를 하던 중 남편이 심장바미로 급사를 한 것...남편을 잃은 슬픔이 채 가시기도 전에 도시코의 삶은 아수라장이 되 버린다. 나름 열심히 키웠다고 생각한 남매는 호시탐탐 상속 재산을 노리며 그녀의 눈치를 보질 않나, 남편에게 살아생전 애인이 있었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무려 10년동안이나 남편이 자신을 속여 왔다는 사실을 알게된 그녀는 배신감보다 그녀가 남편을 제대로 알기나 했던 것일까 어리둥절해 버린다. 속절없이 늙어간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미래에 대한 막막함, 남편에 대한 배신감과 당당하게 나오는 남편 애인의 뻔뻔함에 속이 상한 도시코는 평소 자신의 조신한 이미지를 뒤로하고 처음 만난 사람과 호텔로 향한다. 과연 육순을 바라보는 그녀의 홀로 서기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철썩같이 믿고 살던 남편에게 죽음과 불륜으로 배신당한 아내의 이야기라... 명품 드라마 소재로는 쓰일 일이 전혀 없는 식상하고 진부하기 그지없는 소재, 한물간  <사랑과 전쟁>정도의 드라마에나 에피소드 한 귀절로 등장할 법한 소재라서 보는 내내 실소가 지어졌다. 늙는다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젊은 네가 알아! 라고 선언하는 장면에선 좀 모골이 송연해지긴 했지만서도...그렇다고 해도, 속절없이 남편만 바라보며 늙어가다 대책없는 신세가 되어버린 도시코에게서 배울만한 점이 없으면 도대체 무슨 낙으로 읽으라는 것인지,  어쩜 그리고 등장인물 하나하나에게서 매력적인 구석이라곤 도통 보이지 않던지 실망이었다. 그래도 쌈박한 결말이 있지 않겠나 기대했는데, 마지막까지 주인공은 오락가락 망설이기만 하면서 자신의 상황을 잘 파악하지 못하니 참 미련해 보이기만 했다. 같은 동양인이라 정서가 다소 비슷하게 흐르긴 했으나, 적어도 우리나라 드라마 주인공들은 도시코보단 영리하고 당차단 말이지. 시련에 밀려 주체적이지 못한 여자 주인공을 보는 것은 이젠 보는 것만으로도 답답하다. 한마디로 속시원한 장면 하나 없이 내내 갑갑하던 소설이었다. 혹 늙어감에 대해 두려움을 팍팍 느껴보고 싶다시는 분들에게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끝에서 시작되다
론 홀.댄버 무어 지음, 린 빈센트 엮음, 마영례 옮김 / 어부의그물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기독교 영성을 가르치기 위한  이야기들의 진부함을 한데 모은 듯한 소설이었다. 루이지애나 목화 농장에서 태어나 노예같은 농장생활에 이은 감옥 생활, 전과자에서 끝내 노숙자로 전전하던 흑인 덴버는 거리를 떠돌면서 구슬픈 삶을 마감하는 그 날을 기다리며 산다. 그와 정반대에 있는 남자, 백인 론 홀은 그야말로 승승장구의 삶이었다. 사랑하는 여인과의 순탄한 결혼 생활, 우연히 뛰어든 미술 중개상에서의 성공,  백만장자로써의 편안한 삶을 누리고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삶의 무료함을 견디지 못한 그는 불륜에 빠져들게 되고, 눈물로 회개를 호소하는 그를 용서한 아내 데보라는 그를 데리고 교회로 향한다. 선교회의 자원봉사자 삶에 함께 나선 둘은 덴버를 만나게 되고 냉소적이고 무덤덤한 그의 마음을 되돌려 달라고 기도 하게 된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던 덴버와 론 홀은 데보라의 중재로 친구가 되고, 신분이 다름에도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서로가 기뻐할 즈음 데보라가 병에 걸려 죽고 만다. 데보라의 죽음을 가까이서 경험하게 된 두 남자는 절망과 허무를 넘어서 영성을 체험하게 되는데... 

 

설마 이렇게도 진부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는데, 유치할 정도로 진부했다. 아뿔싸. 요즘에도 이런 소설이 하나님을 더 잘 알고 싶은 분들에게 안성맞춤이라고 생각하는 듯 하더라. 그럴까.요즘 같은 냉소적인 세상에서 이렇게 뻔한 스토리에 사람들이 반응할지 의문이다. 더불어 세상에 지쳐 믿음마저 흔들리는 크리스턴에게 힘이 되는 책이라고 하던데...세상에 지친 크리스천으로써 내 한마디 하자면 조금도 힘이 되지 않았다. 내 아무리 지치고 힘이 든다고 해도 이런 책 하나 읽고서 힘이 난다면 내가 아니겠지. 그리고 하나님 당신의 뜻은 무엇이란 말입니까? 라는 질문에 답을 해준다고 광고하는 것 같던데, 아무것도 대답해주지 않으니 답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패스하시길 바란다. 더불어 깊이 생각할 기회도 전혀 주지 않는다. 하니, 깊은 명상을 원하시는 분들도 왠만하면 패스 하시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eepsilence 2010-10-26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게 소설이라면 정말 진부한데, 이게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는 얘기를 듣고 여전히 상상이 잘 안 됩니다-_-;;

이네사 2011-01-27 16:29   좋아요 0 | URL
와, 그랬군요. 그런데 실제 일이라하니 더 진부하긴 마찬가지네요.
하여간 별로 안 와닿는 소설이었어요.
물론 다른 사람들이 다르게 본다 해도 상관없지만서도 말여요.
어떤 책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는 본인에게 달린 것이니까요.
 
나랑 놀아 줘! 미래그림책 87
니코 드 브렉켈리어 지음, 해밀뜰 옮김, 로즈마리 드 보스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안녕! 내 이름은 줄콩이야, 나랑 놀아줘..." 라는 말로 시작하는 동화책이다. 그 인사말 하나만으로 아가들의 귀를 쫑긋하게 하는걸 보곤 놀랐다. 아마도 아가들에겐 인사가 제일 처음 배우는 말이라 그런가 보다. 그런데, 문제는 놀아달라고 인사를 하는 이 가여운 줄콩이의 말이 누구에게도 먹혀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거미인 줄콩이의 다정한 인사에 다른 곤충들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나비는 그가 날지 못한다고 퇴짜, 무당벌레는 잡아 먹을 속셈이지라며 퇴짜, 벌 아줌마는 좁쌀처럼 작다고 또 퇴짜...그리고 무엇보다 줄콩이를 충격으로 빠뜨린 한마디, 곤충이 아니라고 퇴짜... 자신이 곤충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 줄콩이는 그만 자신감을 잃어 버리고 만다.  더 이상 놀아 달라는 말은 꺼낼 생각도 못한 채 한쪽 구석에서 울고 있는 줄콩을 발견한 달팽이는 천천히 다가와 그 이유를 묻는데... 

 

몇 페이지 되지 않는 동화책 속에 이런 깊은 감동이 들어있을 줄 몰랐다.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고 싶어하지만, 거절만 당하는 아이들에겐 자신의 처지를 생각나게 하지 않을까 싶다. 갖가지 이유과 다양한 핑계로 외톨이가 되어버린 줄콩이. 다쳐버린 그의 여린 마음이 안스러워질 즈음 그를 보듬어주는 달팽이가 나타난 것은 얼마나 다행스럽던지...신나게 놀던 거미와 달팽이를 보면서 조카와 난 그만 뿌듯해져 버렸다.

 

그림은 그다지 예쁘지 않지만 조카 자신의 처지를 생각나게 해서인가, 아님, 누군가를 도와주고 싶어하는 선한 심성을 자극해서인지 조카가 엄청 좋아하는 책이다. 동화책이라도 역시 줄거리가 관건임을 깨닫게 해준 책....그리고 무엇보다 거미는 곤충이 아님을 알게 해준 책이다.  여러분은 아셨나요?  거미는 곤충이 아니랍니다. 줄콩이가 ' 내가 어떻게 곤충이 아니라는 거지'라고 항변하던 말을 잊을 수가 없네요. 하지만 어쩌겠어요. 다리가 8개인 거미는 정말로 곤충이 아니라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힘을 내! 벨피거 맑은가람 맑은아이 그림책 6
로랑스 부르기뇽 글, 빈센트 하디 그림, 여우별 옮김 / 맑은가람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아, 불을 뿜고 귀여운 짓을 하는 용에 대한 전설을 얼마나 조케에게 들려주고 싶었는지...내 어릴적 나를 황홀하게 했던 이야기들이니 말이다. 그래서 용에 대한 이야기라 잡은 동화책인데, 생각보다 용이 귀엽지 않아서인지 아이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이야기 자체도 어리버리한 아기 용 벨피거가 아버지의 조언에 힘 입어 실수는 덜하는 아가 용으로 거듭난다는 것으로 식상했다. 그러니까, 아기들 동화책은 그림이 귀여워야 한다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델과 사이먼, 미국에 가다! 베틀북 그림책 98
바바라 매클린톡 지음, 정지혜 옮김 / 베틀북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아델과 사이먼...글을 모르는 조카가 보기엔 다소 복잡하다는 것이 단점. 미국이 개발되던 초창기 미국을 재현했다고 하던데, 별로 감동적인 점은 없었다. 언제나 뭔가를 잃어 버리는 사이먼과 그것에 화를 내면서도 어쩌지 못하는 누나 아델. 전작에 비해선 별로  재밌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